상원수

최근 편집일시 :

1. 개요
2. 설명
3. 알려진 상원수 역임자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上元帥

고려 시대에 설치됐던 무관 관직. 도원수, 부원수 등과 함께 각 도의 군지휘부를 구성하는 원수로서 3명이 임명됐다.


2. 설명[편집]


고려 전기에는 당제를 이어 상설 관직은 아니었고, 전시 5군(五軍) 혹은 3군(三軍)의 특별군이 편성되면 총사령관 도원수, 부사령관 부원수와 함께 설치되어 군 지휘부를 구성했다.

1374년(공민왕 23년), 고려의 탐라(耽羅) 정벌시 양광도·전라도·경상도 도통사(都統使) 최영(崔瑩)의 지휘 아래에 양광도·경상도·전라도 상원수(上元帥), 부원수(副元帥)를 각각 1인씩 배속시키면서 상설직화 되었다.

이 때 상원수와 부원수는 도명(道名)을 관칭하며 해당 도에서 징발한 군사들을 지휘하였다. 조금 뒤에는 각 도마다 도원수(都元帥)·상원수·부원수 각 1인씩 모두 3인의 원수가 임명됐다. 도원수는 개경에서 자신이 분정된 도의 시위군(侍衛軍)을 관할하였고, 부원수는 대개 각 도의 도순문사(都巡問使)를 겸하여 해당 도에 남아 외적을 방비하였으며, 상원수는 평시엔 개경에 있었으나 유사시엔 임지로 내려가 해당 도의 군을 지휘했다.

1388년(우왕 14년), 위화도 회군(威化島回軍)으로 이성계(李成桂)가 정권을 장악한 뒤 1390년(공양왕 2년), 각 도 원수의 인장을 회수하고 이듬해 삼군도총제부(三軍都總制府)가 설치되면서 원수직제는 혁파되었다.


3. 알려진 상원수 역임자[편집]



4. 관련 문서[편집]



[각주]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15 04:34:19에 나무위키 상원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