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호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김치 치즈 스마일'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산호(김치 치즈 스마일) 문서
산호(김치 치즈 스마일)번 문단을
산호(김치 치즈 스마일)#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산호
Coral, 珊瑚


파일:열대 산호.jpg

학명
없음[1]
분류

동물계

자포동물문(Cnidaria)

산호충강(Anthozoa)

언어별 명칭
한국어
산호
한자

영어
coral
일본어
サンゴ
프랑스어
corail
에스페란토
koralo

파일:산호 보석.webp
보석으로 가공된 산호
1. 개요
2. 종류
3. 사라져가는 산호
4. 사육
6. 보석



1. 개요[편집]


자포동물문 산호충강 산호속에 속하는 동물을 총칭한다. 자웅이체이다.

산호의 색상은 단순한 갈색에서 매우 화려한 색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산호의 색상은 공생조류(주잔델러)의 색상과 산호가 가지고 있는 색소 단백질의 색상 조합으로 나타난다. 색소 단백질은 파장이 짧은 빛을 흡수해 파장을 길게 만들어 방출하는 형광 단백질과 빛을 반사하는 반사 단백질이 있다.

산호의 화려한 색상은 주로 형광 단백질의 작용 혹은 형광 단백질+반사 단백질의 작용으로 이루어진다. 공생조류는 그냥 갈색이다. 따라서 공생조류가 산호의 화려한 발색의 기원이라는 주장은 완전히 틀린 말이다. 이놈들은 독립적인 생활을 하다가 산호에 의해 잡아먹히는데 산호는 자신에게 알맞은 공생조류를 소화시키는 대신에 몸속에 받아들여서 광합성을 하게 한다. 광합성을 통해 생산된 유기물의 상당 부분이 산호에게 공여된다. 대신에 산호는 공생조류에게 서식 장소와 자신이 배출하는 질소 화합물과 이산화탄소를 제공한다.

산호초가 광합성을 통해 생산하는 산소량이 규조류 다음갈 정도로 엄청날 수 있는 이유는, 산호 구조물 내부에 광합성을 할 수 있는 SAR계 와편모조류인 '공생조류(zooxanthellae)'가 공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산호는 골격을 성장시키기 위해서 자신이 호흡을 통해서 내뿜은 이산화탄소와 바닷물 속에 녹아있는 중탄산염과 칼슘을 활용한다. 또한 산호가 호흡을 통해서 형성하는 이산화탄소는 이른바 '공생조류'에게도 공여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보다는 산소를 절대적으로 많이 생산한다. 즉, 온난화가 지속되던 원시 지구를 지금처럼 살기 좋게 테라포밍한 공신 중 하나인 셈이다.

성장 속도는 느린 편이지만 한번 자란 곳에서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한 계속 쭉 자라서 '산호섬'을 이루기도 한다. 이것과 해안수림이 있는 지대는 쓰나미의 피해를 적게 받는다. 산호는 체내에 광합성을 할 수 있는 공생조류(zooxanthellae)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먹이를 먹지 않아도 얼마든지 생장이 가능하며 먹이를 먹는 것은 단지 부수적인 영양공급 수단일 것이라는 가설이 기존의 정설이었다. 하지만 산호 중에서도 체내에 공생조류가 전무한 종이 있으며 이들은 먹이 활동을 통해 모든 영양분을 얻는다. 또한 공생조류가 있는 산호 역시 당분과 같은 유기탄소는 공생조류로부터 충분히 공급받지만 질소원은 먹이 활동을 통해 공급받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겉으로는 나무처럼 생긴 산호가 식물이 아닌 동물이라는 사실은 프레드릭 윌리엄 허셜이 밝혀냈다. 현미경으로 식물에겐 있어야 할 세포벽이 산호에는 없다는 걸 보고 동물임을 밝혀냈다. 허셜은 천왕성을 누이동생 캐롤라이나와 함께 발견하는 등 천문학 분야로 더 유명하지만, 허셜이 활동할 당시에는 과학이란 학문 자체가 분야별로 뚜렷하게 나뉘지도 않았고, 학자들도 여러 분야를 동시에 연구하던 시절이어서 이상한 일이 아니다.

2. 종류[편집]


보통 '연산호'라고 부르는 뼈대가 없는 '팔방산호류'는 본질적으로는 여과 섭식자이다. 이들은 자신의 촉수에 있는 아주 작은 털과 같은 구조물을 이용해서 부유하는 유기물이나 식물성 플랑크톤 따위를 주로 먹는다.

반면에 우리가 일반적으로 산호라고 알고 있는 뼈대가 있는 육방산호류(경산호)는 사실 상당히 강력한 포식자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들의 촉수에는 자포세포(Sting Cell)라고 불리는 세포가 존재하는데 구조나 기능에서 사촌뻘인 해파리말미잘의 것과 차이가 거의 없다. 사냥감이 촉수를 자극하면 자포세포내의 독액낭에서 독액을 짜내어 사냥감의 몸에 주입하여 마비시킨 후 잡아먹는다. 재미있는 사실은 산호의 체강내에 있는 내장 섬모가 밖으로 나와서 체외에서 이미 사냥감을 소화시키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산호는 위를 토한다는 표현을 하는 경우도 많다.

산호는 그야말로 안 먹는 것 없이 다 먹는데 해저에서 올라오는 다양한 종류의 부유물은 물론이고 박테리아, 동식물성 플랑크톤, 물고기의 배설물, 작은 물고기 등등 거의 모든 유기물을 다 먹어치운다고 할 수 있다.


3. 사라져가는 산호[편집]


산호가 바다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1% 밖에 안되지만, 해양생물의 1/4이상이 산호지대에서 서식하고 있어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수온에 몹시 민감한 생물이라, 지구온난화 + 인간의 남획까지 겹친 관계로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 현재 호주의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가 점점 해수면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점점 백화상태가 진행되어가고 있다. 2021년 기준 이미 전세계 산호의 절반 이상이 죽었다. 또한 2020년 중반쯤이면 백화현상이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전체에 거의 진행되어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2018년 이후론 경각심을 가진 사람들 덕분에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고 한다. 백화가 된 산호는 스트레스 상황이 해결이 되면 다시 공생조류를 섭취하고 재생하지만 백화 상태가 너무 오래 지속되면 딱딱하게 굳으면서 죽음에 이른다. 산호의 백화 원인에는 빛, 수온, 화학물질, 수류의 급작한 변화 등 여러가지가 있으나 자연 상태에서는 대체로 수온의 상승이 문제가 된다. 특히 지구 온난화로 인해 수온 상승이 가속화 되면서 21세기 들어서는 그야말로 대재앙급의 백화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참고로 백화 현상(bleach)은 산호가 죽는 현상이 아니라 산호가 '공생조류'를 배출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공생 조류의 배출과 더불어서 산호의 색소 단백질의 탈색이 일어나기 때문에 산호가 흰색으로 변하는 것이다. 백화는 어떤 스트레스로 인해 공생조류의 광합성 기관이 파괴되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자유 전자가 산호에게 손상을 입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공생조류를 배출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언론에서 기본적인 사실 확인조차 없이 공생 조류가 산호를 떠난다는 주객 전도식의 왜곡된 사실로 알려져 있다.

산호를 위협하는 또 다른 문제는 오염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부영양화이다. 산호는 광합성을 하는 원핵생물규조류, 매생이파래 등의 녹조류, 김(음식)이나 우뭇가사리 등의 홍조류, 미역이나 다시마 등의 갈조류 등에 해당하는 조류, 특히 해조류와 경쟁관계에 있는데, 이들의 성장을 돕는 물질이 현재 산호초로 대량 유입되고 있다. 해조류는 기본적으로 산호와 태양을 놓고 경쟁 관계에 있는 데다가, 주간에는 광합성을 통해 산소 농도를 지나치게 올려서 산호의 산소 손상을 유도하며 야간에는 호흡을 통해 이산화탄소 농도를 올려서 해수의 pH를 하락시켜 산호의 성장을 저해한다.

가시왕관불가사리도 주요한 피해를 유발하는데, 그래도 '가시왕관불가사리'의 발생은 주기가 있으며, 서식 지역도 제한적이기 때문에 산호초 전체에 대한 심각한 위협은 아니다.


4. 사육[편집]


파일:해수어항_ㄱ형.jpg
국내 모리퍼의 ㄱ자 해수어항
산호를 사육할 경우에는 산호가 서식하는 환경을 최대한 수조에 재현해줘야 한다. 깨끗한 수질은 물론이고 풍부한 수류, 강한 조명, 적절한 돌 또는 라이브락, 알맞은 염도와 온도, 경도, 칼슘 등의 항상성을 유지시켜 주는 것이다. 산호는 섭식활동도 하므로 먹이를 주면 건강하게 키울 수 있다. 산호 먹이라는 이름으로 제품화된 매우 미세한 분말 사료나 현탁액 형태의 사료를 급이한다. 또한 촉수가 큰 산호들의 경우에는 새우나 조갯살, 생선살, 물고기 사료도 먹는다.

산호 사육의 핵심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공생조류의 광합성과 산호 발색의 주된 인자인 색소 단백질을 자극할 수 있는 산호용 조명
  2. 항상성의 유지: 염도, 온도, 경도는 기본이고 여기에 칼슘, 마그네슘, PH 등을 신경써 줘야 한다.
  3. 수류

이 세 가지만 만족하면 웬만한 산호는 키우는 게 어렵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연산호와 LPS류는 특별히 고가의 장비가 아니더라도 충분히 키울 수 있다. 그러나 나뭇가지 모양의 딱딱한 경산호를 키우려면 얘기가 달라진다.

산호사육이 어려운 이유는 욕심을 내기 때문이다. 소박하게 니모와 말미잘만 키우려고 해수어항을 시작하다 보면 연산호도 조금 넣어보고 싶어지고, 쉬운 산호를 키우다 보면 좀 더 어려운 산호 키우기에 도전하고 싶고, 어려운 산호 키우기에 성공하면 발색내기에 도전하게 되는데, 이쯤되면 고가의 장비에도 눈이 돌아가고 시간과 정성도 만만치 않게 든다. 더욱이 해수어와 함께 키우는 짬뽕수조에서의 산호사육 난이도는 더욱 올라간다. 고기에겐 큰 영향이 없는 질산염이 일부 산호에게는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해수어도 산호도 감당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당히 키우면 되는데 그게 말처럼 쉽지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호의 아름다운 색상이나 성장함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은 사람을 매료시키기에 충분하다. 대체로는 민물 고기나 수초 사육을 할 만큼 해서 권태기를 느낀 초고수들이 산호 사육으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으나 요즘은 처음부터 산호를 사육하는 경우도 많다. 아무래도 중국산 장비의 수입으로 인해 가격 장벽이 낮아진 것이 주된 이유인 듯하다.

아무리 장비가 중국산이 많아졌다 해도 정말 산호 사육은 돈과 시간 들어가는 데는 끝판왕급이다. 일단 수백만 원은 기본으로 깨질 각오를 해야하고 최소 3개월 이상의 물잡이, 매일 철저하게 각종 퀘스트를 지키는 규칙성이 필요하다. 네이버 블로그에 올라온 바에 따르면 산호어항을 만드는데 실패만 몇 번씩 반복한 후에 부인한테 돈낭비 한다며 쪼인트 까이면서 간신히 완성한 사례가 있을 정도인데, 거의 자동차 한 대 가격 깨졌다고 한다. 그 대신 한 번 산호가 살 수 있는 환경을 제대로 만들어놓으면 1년 이상 물관리를 따로 안 해도 될 정도로 안정된다. 그러나 경산호 등 예민한 종류를 키울 경우 주기적인 관리가 없으면 순식간에 산호들이 전멸할 수도 있다.


5. 산호초[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산호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보석[편집]


이것을 보석으로 가공하기도 하며, 동양에서는 3월의 탄생석으로 여긴다.

산호의 주성분은 탄산칼슘이어서 경도가 낮으므로[2] 파손에 주의를 해야 하며, 유분에도 영향을 받고[3], 불에 닿으면 검게 타는 등 관리하기가 어려운 보석 중 하나이다.[4] 대충 관리의 요령과 어려움은 진주 정도로 보면 편하다.

고대에는 바다를 볼 수 없던 육지 지역에서 귀한 대접을 받았으나, 산업혁명 이후로는 성분이 탄산칼슘이라 화학적으로도 많이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예전보다는 보석으로서의 가치가 많이 떨어져 있다. 다만 최근 유통되는 인공 산호들은 이런 탄산칼슘 산호가 아니라, 레진이나 수지 같은 재료를 이용한 모조석들이 대부분이다.

게다가 산호초가 환경 오염으로 파괴되는 상황에서 이런 산호를 보석으로 가공하기 위해 채집한다는 것이 문제로 제기되면서 보석을 다루는 브랜드들도 산호를 거래하지 않겠다고 밝히곤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3:18:01에 나무위키 산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산호류를 총칭하는 라틴어 학명은 존재하지 않고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그냥 coral reef라고 부른다.[2] 대략 3-4정도.[3] 비슷한 유기질 보석인 진주도 지방 성분에 취약하다.[4] 다만 어느 보석이던간게 불에 닿아서 좋을 보석이란 없다(..) 다이아몬드는 아예 연소되어 이산화탄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