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양

덤프버전 :


1. 염소의 한자어
2. 산양
2.1. 대한민국의 산양
2.1.1. 산양 복원 산업
2.2. 매체
3. 창작물
3.3. 네이버 웹툰 오!주예수여의 등장인물


1. 염소의 한자어[편집]


山羊. 중국에서는 염소를 면양(緬羊)과 산양(山羊)으로 부른다. 십이지에서 가리키는 은 면양이 아닌 산양 즉 염소다. 일본에서는 羊(히츠지, 양)과 山羊•野羊(야기, 염소)로 쓴다. 이 때문에 일본어 번역시 산양(2번 문단)과 염소가 혼동되는 사태가 잦다. 2번 문단의 동물은 중국에서는 中華斑羚(중화반령), 일본에서는 尾長ゴーラル(오나가 고랄)이라고 부른다.


2. 산양[편집]




⠀[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51~1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101~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151~2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201~2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251~3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301~3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351~4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401~4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451~5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501~5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551호~]⠀



산양(긴꼬리고랄)
Long-tailed goral

파일:산양들.jpg
학명
Naemorhedus caudatus
Milne-Edwards, 1867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경우제목Cetartiodactyla

소과Bovidae

산양속Naemorhedus

산양N. caudatus

위의 1과는 전혀 다른 별개의 동물인 Naemorhedus caudatus(영문명: long-tailed goral)을 한국에서 부르는 말이다. 천연기념물 제217호인 산양은 이 동물을 가리킨다. 산양은 이 아니다. 다만, 같은 양아과(Caprinae)에 속해 있어 친척뻘이라고는 할 수 있다. 긴꼬리고랄이라고도 한다.

십이지에서 여덟 번째 동물이 인데, 거기서의 양 종류가 사람들이 흔히 아는 면양이 아닌 이 산양이라고 하지만, 사실 이것도 은근히 헷갈리기 쉬운데, 이 산양은 십이지의 산양이 아니다. 1번 문단에도 나와 있듯이, 고대에는 우리가 흔히 아는 '양'의 모습을 한 동물, 즉 '면양'은 존재하지 않았다. 면양은 사람이 직접 가축화시킨 것으로, 야생에서는 살아갈 수 없는 동물이다. 면양의 조상은 털이 적고 염소와 흡사한 모습이었기 때문에, 염소와 함께 '양'이라고 부른 것이다. 때문에 이 문단의 산양과 십이지의 산양은 엄연히 다르다. 고로 십이지에서의 양은 염소나 야생 양을 의미한다.

히말라야 지대의 아이벡스로키 산맥큰뿔양이 크고 멋있는 종류들과 한국의 산양은 전혀 다르다. 앞서 설명한 외국 종은 아이벡스(ibex), 큰뿔양 등이고 한국 종은 caudatus이다.[1] 아이벡스종과 큰뿔양은 고트, 즉 한국에서 염소라고 불리는 동물 및 면양과 근연 관계이다.

천적으로는 검독수리 같은 대형 맹금류와 늑대[2], 스라소니, 아무르표범, 시베리아호랑이, 타이완구름표범, 승냥이, 아시아흑곰, 우수리불곰, 울버린이 있다.


2.1. 대한민국의 산양[편집]


약 800마리 정도가 국내에 자생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 비무장지대설악산에 집중 서식하고 있다. 이중 설악산 서식지는 케이블카 공사 사업으로 서식지 파괴 위협을 받고 있다고 한다. 가장 큰 문제는 산양의 이동경로와 케이블카 설치구간이 겹친다는 것인데 공사 추진하는 쪽은 영향이 거의 없다고 말하고 있다. 결국 설악산 케이블카 공사는 백지화 되었다.

2.1.1. 산양 복원 산업[편집]


일반인들에겐 잘 알려져 있진 않지만 반달가슴곰에 이어 두 번째로 복원이 시도되는 야생동물 종이다. 일반인들의 인식과 달리, 반달가슴곰 복원이 나름 성공적으로 유지되자 후속 사업으로 산양이 선정되었다. 반달가슴곰이 대형 육식 포유류라면 이쪽은 대형 초식 포유류로 한반도에서 서식 중인 초식동물 중 최상위에 위치한다고 봐도 된다.

다만 반달가슴곰과 달리 산양은 그 동안 간헐적인 개체 방사 등도 있었고, 자연적으로 존재하던 숫자도 어느 정도 있어서 개체군 숫자가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산양 복원 사업은 산양의 개체군이 목적이 아니라 산양의 서식권 보존이 목표이다. 이유는 산양의 숫자는 어느 정도 있지만 소규모의 개체군들이 따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근친교배 위험이 있어서 서식권 중간에 산양 개체군을 복원해 근친교배를 막고 다른 개체군끼리 교배가 가능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월악산 산양 복원 사업은 1994년부터 시작됐다. 1982년까지 산양이 서식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후 서식 흔적이 사라진 월악산이 복원 사업 대상지가 된 것이다. 1994년과 1997년, 1998년 에버랜드에서 각 두 마리씩 월악산에 방사했지만 2004년 국립공원공단은 월악산 산양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모두 같은 부모의 혈통으로 확인돼 유전적 다양성 확보 차원에서 타 지역으로부터 새로운 개체 도입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2007년 국립공원공단이 월악산에서 산양 복원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 2007년 4월 두 차례로 나눠 10마리의 산양이 월악산에 추가로 방사했다. 2008년 가을에는 월악산에 방사된 산양 가운데 일부가 백두대간 생태 축을 따라 이동해 문경새재 도립공원의 조령산으로 옮겨가 사는 것이 확인되기도 했고 2009년 12월에는 월악산에 방사한 산양들이 번식에 성공한 사실도 처음 확인됐다. 이후 2012년 9월에는 산양 4마리, 2014년 5월에 4마리, 2016년 10월에 다시 산양 4마리를 월악산에 방사했다.

국립공원공단은 백두대간 중부권역 산양 서식지를 연결하는 중요 지역인 월악산에 서식하는 산양이 100마리로 늘어난 것과 관련, 백두대간 산양 생태 축 복원이 성공적으로 진행된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국립공원공단에서는 전수 조사를 통해 2019년 현재 월악산에 100마리 외에도 설악산에 260마리, 오대산 95마리, 소백산 13마리, 속리산 16마리, 태백산 10마리, 주왕산 4마리, 울진 93마리, 인제 117마리의 산양이 서식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월악산 산양 100마리로 늘었다…"종 복원 사업 성공"


2.2. 매체[편집]


  • 눈물을 마시는 새: 유료도로당이 매우 숭상하는 동물로 나온다. 어찌나 숭상하는지 맹수에게 사냥 당하는 걸 구하지 않으면 저주를 받을 거란 미신이 만연할 정도. 숭배하는 이유는 초대 당주가 잃어버린 산양을 찾다가 시구리아트 산맥을 안전하게 넘을 수 있는 길을 발견했고 그곳에 최초의 유료도로와 징수소를 세웠기 때문이다. 덕분에 케이건 드라카의 대금으로 산양을 준비했고 마루나래가 산양을 잡은 걸 보고 유료 도로당이 기겁을 하여 인질극이 벌어지기도 했다.[3] 다만 역사 및 전승에 밝은 케이건도 산양이 길을 알려줬다는 전설보다는 시구리아트 같은 험지에서도 기를 수 있는 몇 안 되는 가축이라 그런 전설을 만들만큼 아끼는 것이라 추측했다.[4]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탈것으로 나왔다.
  • 호빗 실사영화 시리즈: 산양 기병대와 산양이 끄는 전차가 나왔다.


3. 창작물[편집]



3.1. 괭이갈매기 울 적에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산양(괭이갈매기 울 적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 썬더 일레븐 GO의 태산양(카리야 마사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리야 마사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3. 네이버 웹툰 오!주예수여의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오!주예수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3:47:37에 나무위키 산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수컷끼리 싸움할 때 쓰라고 커지기만 하고 무기로써의 실용성은 없는 아이벡스 등과 달리, causatus는 좀 더 뿔이 흉기 구조가 되어있다. 그렇다고 괜히 아이벡스에게 가서 성질 건드리지는 말자. 인간한테는 어차피 뾰족한 뿔에 찔려서 내장이 걸레짝이 되어 죽나 단단한 뿔에 받혀 내장이 파열되어 죽나의 차이일 뿐이다.[2] 유라시아늑대, 몽골늑대.[3] 다만 일부 오해와는 달리 이들도 산양을 먹긴 한다. 대신 제대로 장례를 치르고 혼을 위로한다고 한다. 애초에 수시로 폭풍이 불어닥치는 고산지대에서 산양젖만으로 연명할 수 있을리가 없다.[4] 작중 세계관에서 십수 미터짜리 대형 호랑이가 있고, 그 호랑이가 뛰어넘을 수 없을 정도로 높은 벽을 대수롭지 않게 뛰어넘는 레콘이라는 종족도 있지만, 시구리아트 산맥은 저 도로 하나를 제외하면 수십 미터씩 도약할 힘과 내구성이 있는 레콘조차 못 넘어가는 마경으로 묘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