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 바자우

덤프버전 :



오스트로네시아족

[ 펼치기 · 접기 ]
민족
대만 원주민
부눈족 아미족 아타얄족 파이완족
말레이-폴리네시아인
말레이계
다약 따오족 마두라인 마카사르인 말라가시인 말레이인 모로인 미낭카바우 바탁 반자르인 반튼인 발리인 부기스인 비콜라노인 비사야인 사마 바자우 사삭인 순다인 숨바와인 아체인 오랑 라우트 일로카노인 자바인 찌아찌아인 참족 카다잔두순 타갈로그인 테툼인
멜라네시아인[1]
니바누아투 솔로몬 제도인 카낙인 피지인
미크로네시아인
나우루인 마셜인 차모로인 추크인 카핑인 캐롤라인인 키리바시인 팔라우인
폴리네시아인
니우에인 라파 누이인 마르키즈인 마오리족 사모아인 타히티인 토켈라우인 통가인 투발루인 하와이 원주민

지역
독립국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파일:괌 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나라티왓, 빠따니, 사뚠, 송클라, 얄라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누벨칼레도니 파일:니우에 기.svg 니우에 파일:미국령 사모아 기.svg 미국령 사모아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북마리아나 제도 파일:왈리스 푸투나 기.svg 왈리스 푸투나 파일:이스터 섬 기.svg 이스터 섬 파일:쿡 제도 기.svg 쿡 제도 파일:토켈라우 기.svg 토켈라우 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파일:하와이 주 기.svg 하와이

언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신화
말레이 신화 멜라네시아 신화 미크로네시아 신화 폴리네시아 신화
[1]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를 쓰는 멜라네시아인에 한함




파일:바자우족문어사냥.jpg
Sama-Bajau

파일:Bajau hair color.jpg
아이들 머리는 염색한 것이 아니라 바자우족 유전인자가 발현된 것. 바다속에 워낙 오래 잠수하면서 발현되는 자연 살색 유전인자이다. 외양상 백인들의 금발과도 빛깔이 비슷해 보이지만 대부분의 검은 머리와 함께 나타나고, 진화요인 또한 서로 다르다.

1. 개요
2. 잠수 유전자
3. 언어
4. 인구



1. 개요[편집]





낚싯대 없이 낚싯줄 만으로 참치를 잡을 수 있을까?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의 동남아시아의 육지에 근접한 해상[1]에 거주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계통의 소수민족이다. 먼 옛날 말레이시아의 조호르 술탄국에서 유래된 이슬람계 소수민족으로 추정된다. 본인들은 바자우라는 이름보다는 사마라는 이름을 쓴다. 일생 동안 생활의 약 60퍼센트를 물속에서 보내며 페라후라는 작은 나무배 위에서 살아간다. 해안가에 수상가옥을 짓고 사는게 일반적인데 국적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들의 조상들처럼 여전히 일부 사람들은 태풍속에서도 바다수영이 가능하며, 잠수의 달인들로 아주 오래전부터 유명했다.

카다잔두순처럼 서로 다른 여러 작은 민족들을 합쳐서 부르는 말이다.

EBS 다큐, 인류 원형 탐험 - 바다 위의 작은 마을, 말레이시아 바자우족(Bajau)


2. 잠수 유전자[편집]



2분 10초부터.

평생 바다에서 이곳저것 옮겨다니며 유유자적 살아가는 생활방식 덕분에 바다의 집시라는 별명이 붙었다. 단순히 낚시만 하는게 아니라 잠수해서 작살로 사냥하기도 하는데, 전문 잠수부들이 사용하는 공기탱크 없이 10분 넘게, 최대 70m[2]까지 잠수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최고 잠수시간 기록은 13분이며, 최대 잠수깊이는 70.1m(230ft).

최근 예일대학교 및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마바자우인들의 비장[3]이 근처에서 농경생활을 하는 살루안족에 비해 1.5배 가량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다른 산소공급 유전자에도 변이가 나타났다.


바자우족이 아닌 사람이 이걸 시도하면 어떻게 되는지 볼 수 있다.

원시부족탐험! 수상가옥에서 살아가는 '바자우족'의 삶



3. 언어[편집]


시나마어바자우어 등을 사용하고, 사는 국가에 따라 마인어타갈로그를 구사하는 사람들도 있다.

4. 인구[편집]


필리핀에 약 47만명, 말레이시아에 약 43만명, 인도네시아에 17만명, 브루나이에 12,000명 정도가 거주한다. 모두 합치면 약 백만명 정도가 존재하는 셈.

파일:바자우족지도.jpg

초록색으로 표시된 곳이 바자우족이 살아가는 곳이다. 노란색과 파란색은 각각 오랑 라우트족과 모켄족의 활동 영역이다.[4]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4:14:08에 나무위키 사마 바자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완전한 망망대해에서 거주하는 건 아니고, 육지에서 가까운 얕은 바다에 거주한다.[2] 이 정도 깊이까지 잠수하려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공기통 안에 넣는 기체를 트라이믹스라고 해서 산소+헬륨 조합의 기체를 사용해야 한다. 탱크 없이 하는 프리다이빙은 제외[3] 혈구세포를 만들고 제거하는데 관여하는 기관이다. 적혈구 저장공간인만큼 이게 발달하면 산소 운반능력이 증가한다.[4] 이들도 바자우족과 비슷하게 해상에서 살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