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지워터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빌지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식당의 주문서에 대한 내용은 문서
5번 문단을
빌#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Bilgewater

1. 배의 가장 밑바닥에 고이는 오물
2. 대중문화에서의 빌지워터



1. 배의 가장 밑바닥에 고이는 오물[편집]


목재 범선에는 닻줄을 타고 해수가 비집고 들어오거나 이슬이 생기거나 해서 배 안에 물이 생기는데 그 물이 선저부로 고이곤 한다. 이 고인 물을 빌지워터라 칭한다. 당연히 배 안의 온갖 오물들이 섞여 들어가거나 해서 매우 더럽다. 특히나 닻줄을 주로 내리는 곳은 항구인데 항구는 인간이 사는 곳이니 만큼 항구의 물에는 인간들이 버리는 온갖 오물들이 섞여있고 이게 닻줄을 타고 선내로 들어와 고여 있으면 그 냄새는 그야말로 재래식 화장실의 그것(...)

위생상의 문제 뿐 아니라 배의 균형을 해치기도 해서, 때문에 이것을 바다로 비워내는 것도 선원들의 중요 일과 중 하나였다.

현대에는 기관실의 윤활유가 새어나오거나 파도 등으로 들어온 바닷물 등이 고여서 생기며,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범선과는 달리 바다로 퍼내지 않고 따로 저장해 뒀다가 입항 후 전문처리업체에 위탁처리한다.

벌크선의 경우 카고홀드 내에 빌지가 생기는데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화물에 의해 생기는 경우
벌크선의 화물은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3대화물의 경우 곡물, 석탄, 철광석이며 이 중 석탄과 철광석의 경우 선적공정 상 어쩔 수 없이 화물 내 공률에서 물이 생길 수 밖에 없다. 선박은 항해일수가 길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빌지가 생겨 축적될 수 밖에 없으며 이는 카고홀드 바닥에 고이기 시작하여 화물에 데미지를 주거나 WIDS(Water Ingress Alarm System) 등의 홀드 내 침수를 미리 알려주는 경보센서시스템을 울리는 등 여러모로 운항 애로사항을 발생시킨다. 자세히 설명하면 홀드는 바닥에 빌지박스라는 홀드 구석 네군데에 물이 고일 수 있게하는 구조가 있다. 단어 그대로 빌지를 모이게 하는 박스형태의 구조물이며 대부분의 빌지는 일반 민물이 아닌 화물을 포함한 약간의 슬러지 형태이다. 빌지박스 내에는 로즈박스라고 하는 작은 구멍이 여러 개 있는 더 작은 플라스틱 구조물이 있는데 이곳에서 빌지를 배출시키는 파이프와 연결된다. 대부분의 빌지박스 상단에는 화물이 흡수되지 않도록 벌랩(Berlap)을 설치하여 파이프의 손상을 방지하지만 혹시 모를 침입을 대비해 한 번 더 안전조치를 해놓은 셈이다. 이렇게 빨린 빌지는 별도의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이덕터로 향하게되고 이덕터에서 곧바로 선외밸브로 이어지는데 이러한 빌지를 아무데서나 배출하는게 아니고 반드시 가까운 연안에서 12해리 이상 벗어난 곳에서 배출해야하며 더욱이 PSSA(Particularly Sensitive Sea Area) 그리고 더 엄격한 규정이 적용되는 ESSA(Environmently Sensitive Sea Area)에서는 무슨 연유든 배출해선 아니된다. 이는 국제해양오염방지규칙(MARPOL)에 해당하는 국제규정이므로 어길 시 무거운 패널티 또는 벌금을 먹게 된다.

2. 외부온도와 화물창 내의 온도 차이에 의한 Sweat
빌지는 어느 경우든 배출 방식은 같다. 하지만 생성원리가 다를 뿐이다. 2번의 경우 흔히 겨울철의 집안 유리창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겨울철 외부온도는 상대적으로 내부온도보다 낮다. 집 내부의 따뜻한 공기가 유리창에 닿으면 차가운 바깥공기로 인해 낮아진 온도 차이로 응결되듯이 선박은 한 계절에 국한되어 항해하는 것이 아니므로 화물창이 제대로 밀폐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외부온도와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물론 열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평형이 이루어지겠지만 예를 들어 겨울철 러시아에서 공창으로 출항한 선박이 밀폐상태로 남쪽으로 쭉 항해한다면 외부온도는 상승하므로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창과 접한 해치커버 틈새로 물이 고일 것이고 반대로 적도에서 공창으로 출항하여 추운 지방으로 간다면 화물창 내에 응결된 수증기가 빌지를 생성하여 홀드 내에 물이 고이게 되는 것이다. 1번에 비해 2번의 경우 상대적으로 깨끗한 빌지에 속하긴 하나.. 어찌됐든 사람이 직접 사용하기에는 껄끄러운건 마찬가지다

얼마나 더러운 액체인지는 이쪽을 참조.


2. 대중문화에서의 빌지워터[편집]



2.1.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빌지워터[편집]




2.2. 리그 오브 레전드의 빌지워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1:22:57에 나무위키 빌지워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