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의 왕국

덤프버전 :




문영남의 [[문영남/작품 목록|{{{#FFFFFF 작품 목록
]]

[ 펼치기 · 접기 ]
파일:문밖의 행복 로고.png
(1991)
파일:검은양복 로고.png
(1991)
파일:분노의 왕국 로고.png
(1992)
파일:대리인 KBS 로고.png
(1992)
파일:폴리스 KBS 로고.png
(1994)
파일:미개인 KBS 로고.png
(1994)
파일:바람은 불어도 로고.png
(1995~1996)
깊은 바다
(1996)
파일:정 때문에 로고.png
(1997~1998)
파일:남의 속도 모르고 로고.png
(1999~2000)
파일:결혼의 법칙 로고.png
(2001)
파일:그 여자 사람잡네 로고.png
(2002)
파일:애정의 조건 로고.png
(2004)
파일:장밋빛 인생 로고.png
(2005)
파일:소문난 칠공주 로고.png
(2006)
파일:조강지처 클럽 로고.png
(2007~2008)
파일:수상한 삼형제 로고.png
(2009~2010)
파일:폼나게 살거야 로고.png
(2011~2012)
파일:왕가네 식구들 로고.png
(2013~2014)
파일:우리 갑순이 로고.png
(2016~2017)
파일:왜그래 풍상씨 로고.png
(2019)
파일:오케이 광자매 로고(B).png
(2021)
파일:드라마 빨간 풍선 로고.png
(2022~2023)





1. 개요
2. 특징
3. 등장인물
4. 여담
5. 참고 자료



1. 개요[편집]


1992년 4월 6일부터 1992년 5월 26일까지 방영되었던 MBC 월화드라마로, 문영남 작가가 1991년에 쓴 동명의 소설[1]이 원작이며 작가 측이 극본까지 맡았다. 연출은 이관희 PD, 조연출은 안판석 & 김흥수 PD, 기술감독은 권대택, 촬영은 한숙동, 조명은 장현석, 미술감독은 윤상준, OST 작곡은 연석원, 편집은 황금봉, 법률자문은 민건식 변호사 등이 각각 맡았다. 총 16부작.


2. 특징[편집]


제1회부터 일본 덴노를 암살한다는 설정 때문에 엄청난 화제를 몰고 왔으며, 지금보다 반일감정이 심했던 때[2]였던지라 시청자 호응도가 높았고, 방영 이틀 전에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를 통해 홍보할 정도였다. 또한 현장감과 퀄리티 상승을 위해 정동 스튜디오는 물론, 강원도 속초시, 일본 도쿄 등지에서 현지 로케까지 진행했다.

1회에서 묘사된 천황 암살미수 장면[3] 탓에 4월 9일 오가와 코타로 주한일본공사가 MBC를 항의 방문하고, 가토 고이치 관방대신이 유감을 표명했으며 일본 내 우익 단체들까지 합세해 동월 10일 주일한국대사관에 방송차로 항의하고 MBC 도쿄지사 등지에 항의 전화를 걸 정도였다. 또한 10일 및 11일에 <니혼게이자이신문>과 <산케이신문>이 각각 대서특필할 정도였다.(동아일보 기사) 이에 이병훈 CP 측은 동월 9일 "일본 측 의견을 참고하겠으나, 표현의 자유는 보장되어야 한다"는 식으로 반론했으나, 16일 방송위원회 연예오락심의위원회 측은 "일본 천황의 즉위식 영상을 드라마 중간에 삽입, 저격 기도장면을 연출한 건 시청자들로 하여금 가상이 아닌 사실로 오인케 할 우려가 있다"며 '주의' 결정을 내렸다.(경향신문 기사)

2010년대 이후 한국이 G7에 초청도 되고 일본과 한번 차포 다 떼고 붙어보면 어느 정도 지지는 않겠다 싶을 만큼 한국이 체급이 커졌지만, 당시만 해도 일본에게 있어 한국은 존재감 자체가 미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가 즉시 유감표명을 할 저도로 민감하게 받아들인 것은 이 드라마의 설정 자체가 워낙 파격적이었기 때문이었다.

KBS 전속 탤런트이던 변영훈의 첫 출연작이자 처음으로 큰 주연을 맡은 작품이었다. 종영 후 지역 유선방송에서 몇 차례 재방영한 것 빼곤 재편성이 없고, MBC Archive에도 없어서 굳이 구하려면 MBC C&I에 직접 연락해서 비싼 값을 들여 복사구매를 해야 한다.


3. 등장인물[편집]


  • 이하연[4]: 변영훈 / 이대원(아역)
주인공이자 순종 황제의 적손이며, 드라마 오리지널 캐릭터이다. 1958년 강원도 속초 태생으로 민재경과 부부지간으로 나오며 일본 덴노를 암살하고자 한다.
뉴욕 타임스 기자.
이하연과 어릴 적부터 사귀던 친구이자 동거녀.
이호는 이백수, 이하연, 이복남 3남매의 부친이자 순종 황제의 아들이란 설정이며, 조합원 서기 근무. 원작에서는 후반부에 80대 노구를 이끌고 일본 덴노를 암살하러 간다는 설정이다.
이호의 부인, 술집 작부.
이하연과 유정 사이에서 낳은 사생아.
양녕대군의 종손이자 전주 이씨 종친, 민재경의 삼촌. 이호의 출신 성분을 아는 인물.
이하연에게 총을 건네준 브로커.
양부 이자응의 회사에서 이사로 근무. 현실주의자로서 '왕'의 의미를 인정하지 않는 인물.
이호의 장남, 이하연의 형.
주일한국대사관 직원. 민재경의 조력자.
이하연의 누나.
  • 야쿠자: 박영지
  • 대폿집 색시: 곽진영
  • 이발사: 김성일
  • 정승현
  • 오승명
  • 문회원
  • 김해숙
  • 김은영
  • 김용선
  • 김용승
  • 양생우
  • 유퉁
  • 임대호
  • 정장만
  • 이경랑[5]
  • 이진헌
  • 김선명
  • 김민좌
  • 일본 검찰 수사관: 문장환[6]

4. 여담[편집]


  • 연석원이 작곡을 맡은 OST 음반은 EMI계몽사에서 발매한 바 있다.
  • 2021년 7월 20일자 유튜브 <송승환의 원더풀라이프> 이정길-'하얀거탑' 편에서 5회 관련 비화가 소개되었다.

5. 참고 자료[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6:59:20에 나무위키 분노의 왕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제1회 MBC 문학상 수상작.[2] 참고로 이 드라마보다 불과 1년 전에 전여옥일본은 없다가 출간되었다.[3] 1990년 아키히토 즉위식 당시 퍼레이드 영상과 정동 야외 스튜디오에서 찍은 암살 미수 씬을 결합했다.[4] <우먼센스> 1992년 6월호에서의 변영훈 부부 인터뷰 기사에 따르면 기획 당시 해당 배역에는 변우민, 유인촌, 문성근 등 쟁쟁한 남배우들이 물망에 올랐고, 변영훈은 당초 이발사 역으로 잡혀 있었으나 아내는 남편의 잠재력을 믿고 대본을 받아들며 연출자 이관희 PD에게 끈질기게 주인공 배역을 시켜달라고 요구하자 성사된 것이라 한다.(관련 영상)[5] 1993년 13권 36호 기사 p26~27 참고.[6] <산케이신문> 서울지사 주재기자 출신으로, 1992년 퇴사 후 방송 코디네이터 전문 업체 '코코기획'을 운영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