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해함대

덤프버전 :


중국 인민해방군 북부전구 해군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북해함대

中国人民解放军北部战区海军
中国人民解放军海军北海舰队
PLA Northern Theater Command Navy
PLA North Sea Fleet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휘장
창설년도
1960년
국가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소속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중국 인민해방군 북부전구
본부 위치
산둥성 칭다오시 시난구 샹강시루 중산궁위안역 북측[1][2]
山东省青岛市市南区香港西路 中山公园站 北侧

색상
진청색, 흰색
행진곡
<人民海军向前进>
인민해군 앞으로 전진

참전
없음
지휘
사령원
파일:중국해군중장 견장 눕힌버전.png
중장 왕다중(王大忠)(해군)
정치위원
파일:중국해군중장 견장 눕힌버전.png
중장 푸야오촨(傅耀泉)(해군)
1. 개요
2. 편제
2.1. 수상함 전력
2.1.1. 뤼순 기지
2.2. 잠수함 전력
2.3. 수경구
2.3.1. 웨이하이 수경구
2.3.2. 칭다오 수경구
2.4. 지원함
2.5. 해군항공대 전력


파일:青岛伊尔蒂斯兵营全景_Iltis_Kasernen_Tsingtau.jpg
[3]

1. 개요[편집]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3대 함대로 관할 지역은 보하이만황해 등이다. 사령부 청사가 위치한 곳은 산둥성 칭다오시. 1959년 중국과 소련의 합의에 따라 소련은 뤼순 군항을 중국으로 반환했다. 1960년 5월 30일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회수된 뤼순 기지와 해군 직속의 칭다오 기지를 기반으로 북해함대를 구성하기로 결정하였다.

함대는 부전구급으로 함대사령관은 함대사령원이라 하며 해군 중장이 보임된다.

북부전구사령원의 지휘를 받는다.


2. 편제[편집]


파일:external/english.peopledaily.com.cn/F201211060816501899670772.jpg

※잠정은 잠수함을 뜻하며 쾌정은 고속정, 해항은 해군 항공대 소속의 비행단을 말한다. 지대는 한국의 전단급부대이다. 지대장은 정사급(사단장급)으로 해군소장이나 대교(준장)가 보임된다.

  • 구축함제1지대(驱逐舰第1支队)
  • 구축함제10지대(驱逐舰第10支队)
  • 호위함제11지대(护卫舰第十一支队)
  • 호위함제12지대(护卫舰第十二支队)
  • 잠정제2지대(潜艇第2支队)
  • 잠정제12지대(潜艇第12支队)
  • 상륙함제1대대(登陆舰第一大队)
  • 작전지원1지대(作战支援1支队)
  • 해항2사(海航2师)
  • 해항5사(海航5师)
  • 해항7사(海航7师)
  • 랴오닝함은 따로 편제되어 있지 않다. 각 지대에서 구축함들을 차출하여 랴오닝 항모편대를 구성하며, 편대장은 부군급(주로 해군 소장)이 맡는다. 모항은 칭다오 종합지원기지. 기지사령원은 대교.

기존의 지난군구에 속해있던 북해함대로서 사령부는 그대로 산둥반도의 칭다오(青岛)시 구징커우항이 함대의 메인항이라고 할 수 있다. 지대(支队)와 대대(大队)라는 호칭으로 나누고 실질적으로는 대한민국 해군과 서방 국가의 해군의 전단전대급 규모라고 볼 수 있다. 지대는 구축함 6척과 호위함 4척으로 구성된다. 지대장은 정사급으로 소장이나 대교가 보임된다.


2.1. 수상함 전력[편집]


소속 편제
주둔 항만
제1 구축함지대
(驱逐舰第1支队)
산둥성 칭다오시 황다오구 구진커우군항
山东省青岛市黄岛区古镇口军港
소속함선(배치연도)
055형 구축함[4] 4척 101함 난창(南昌)(2020) 102함 라싸(拉萨)(20) 103함 안산(鞍山)(21) 104함 우시(无锡)(22)
052D형 구축함[5] 2척(117함 시닝(西宁)(17)/118함 우루무치(乌鲁木齐)(18)
051C형 구축함[6] 2척 116함 스좌장(石家庄)(07),115함 선양(06))
052형 구축함[7] 2척 (112함 하얼빈(哈尔滨)(94)[8]/113함 칭다오(青岛)(96))
054형 호위함[9]4척 (538함 옌타이(烟台)(11)/546함 옌청(盐城)(12)/547함 린이(临沂)(12)/550함 웨이팡(潍坊)(13))
구축함 10척 호위함 4척 총 14척

소속 편제
주둔 항만
제10 구축함지대
(驱逐舰第10支队)
랴오닝성 다롄시 뤼순커우구 둥강
(辽宁省大连市旅顺口区东港)
소속함선(배치연도)
052D형 구축함 6척 (119함 구이양(19), 120함 청두(19), 121함 치치하얼(齐齐哈尔)(20), 122함 탕산(20), 123함 화이난(21), 124함 카이펑(21))
054형 호위함 5척 (576함 다칭(大庆)(15), 579함 한단(邯郸)(15), 539함 우후(芜湖)(17) 542함 자오장(枣庄)(18), 598함 르자우(日照)(19)
053H3급 호위함[10] 2척 (564함 이창(宜昌)(99)/565함 후루다오(葫芦岛)(00)
구축함 6척 호위함 7척 총 13척


2.1.1. 뤼순 기지[편집]


651 Huanghe Road, 다롄시 뤼순커우구
부군급. 항구 뒤 산에 위치한 육군과의 연계가 가능해 점령하기 어려운 천혜의 요새이다. 부군급이다.
소속 편제
주둔 항만
제11 호위함 지대(护卫舰第11支队)
뤼순기지(旅顺基地) 랴오닝성 다롄시 창하이현 하이양다오[11](辽宁大连长海海洋岛)
소속함선(배치연도)
056형 호위함[12]4척(580함 다퉁(大同)(13)/581함 잉커우(营口)(13)/590함 웨이하이(威海)함(14)/591함 푸순(抚顺)(14))
056A급 호위함[13] 4척(601함 우하이(乌海)(18), 654함 장예(张掖)(18), 600함 송위안(松原)(20), 602함 핑딩산(平顶山)(20))
037IG 포함형[14] 1척(652함 서우광(寿光)(97))
호위함 8척, 포함 1척 총 9척

소속 편제
주둔 항만
제11 소해함 대대(扫雷舰第11大队)
다롄(大连)
소속함선(배치연도)
081급 소해정(081扫雷舰) 4척(845함 칭저우(青州)(14), 846함 위청(禹城)(14), 848함 샨웨이(宣威)(19), 732함 우디(无棣)(20))
082II급 반소해정(082II猎扫雷艇) 2척(811함 룽청(荣成)(16), 814함 둥강(东港)(16))
소해함 4척 반소해함 2척 총 6척


2.2. 잠수함 전력[편집]


2개 잠수함지대와 1개 잠수함기지. 일반 디젤 잠수함은 중령이 함장인 반면 원자력 잠수함은 대교가 함장을 맡는다. 자연스럽게 기지/지대장도 원잠기지장 계급이 더 높다.
소속 편제
주둔 항만
제1잠수함기지(潜艇第一基地)
'용궁'(龙宫)
산둥성 칭다오시 다강 5호 부두[15](山东省青岛市大港五号码头)
091형 잠수함 3척 (403, 404, 405)
092형 잠수함 1척 (406)

소속 편제
주둔 항만
제2 잠수지대(潜艇第2支队)
칭다오시 스베이구(青岛市北)
소속함선(배치연도)
039급 잠수함(039型潛艇)[16] 314, 315, 316, 320, 321, 322, 323, 327, 328

소속 편제
주둔 항만
제12 잠수지대(潜艇第12支队)
다롄시 뤼순커우구(大连旅顺口)
소속함선(배치연도)
035G급 잠수함(035G型潛艇) 4척[17] 359, 360, 362, 363 / 039B급 잠수함(039B型潛艇) 6척[18]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2.3. 수경구[편집]


중국해군은 함대 예하에 기지 외에 '수경구'라는 기지를 둔다. 근해 수역에 주둔해 군사 경계를 하고 영해와 영토 보전 및 권익을 보전하는것이 주된 임무다. 관련기사


2.3.1. 웨이하이 수경구[편집]


사령원 ???? 대교
정치위원 ???? 대교
소속 편제
주둔 항만
제12 호위함 지대(护卫舰第12支队)
산둥성 웨이하이시 류궁다오(山东威海刘公岛)
소속함선(배치연도)
056A 호위함 6척(656함 친황다오(秦皇岛)(15), 655함 황스(黄石)(15), 603함 딩저우(定州)(2020), 604함 무단장(牡丹江)(20)605함 장자커우(張家口)(20),606함 둥잉(东营)(20)
056 호위함 1척(501함 신양(信阳)(15))


2.3.2. 칭다오 수경구[편집]


사령원 정치위원 알수없음. 계급 대교
소속 편제
주둔 항만
제71/82 칭다오 수경구 반잠수 대대(青岛水警区猎潜艇第71/82大队)
주둔지 불명
소속함선(배치연도)
037급 6척(613任丘(1989)、632長海(1987)、633綏中(1987)、634寶豐(1989)、635伊川(1998))
불명


2.4. 지원함[편집]


북부전구 소속의 지원함 전력이다. 1개 전투지원지대, 1개 상륙정 대대, 1개 탐지대대, 1개 구조지원지대를 운영하고 있다.

소속 편제
주둔 항만
제1 상륙함 대대(登陆舰第1大队)
칭다오
소속함선(배치연도)
072A급 상륙함(072A型登陆舰) 2척 (911함 텐쥬샨(天柱山)(03) 912함 댜칭샨(大青山)(04))
상륙함 2척 총 2척

소속 편제
주둔 항만
제1 전투지원함 지대(作战支援舰第1支队)
칭다오(青岛)
소속함선(배치연도)
901급 보급지원함 1척(965함 훈룬호(2018))
903A급 보급지원함(903A型综合补给舰)[19] 3척(889함 타이후(太湖)(13)960함 동승호(东平湖)(15)968함 호실호(2017)) 968함 코코아시리호(可可西里湖)
보급지원함 4척 총 4척

소속 편제
주둔 항만
제11 정보함 대대(侦测船大队)
칭다오 황다오구(青岛黄岛)
소속함선(배치연도)
815A급 전자정찰선[20](815A型电子侦察船) 2척(854함 텐랑싱(天狼星)(15), 856함 카양싱(开阳星)(16)859함 Golden star(金星)(2018))
636A급 해양종합조사선(636A型海洋综合调查船) 2척(875함 쩐핑창(해양22호)(钱三强)(海洋二十二号)(08), 876함 체윈창(해양25호)(钱伟长)(海洋二十五号)(16))
1500톤급 쌍동측량선(1500吨级双体测量船) 2척(베이츠 901호(北测901)(16), 베이츠 902호(北测902)(16))
정보수집함 2척 해양조사선 2척 쌍동선 2척 총 6척

소속 편제
주둔 항만
방호구조함 지대(防险救生船支队)
칭다오(青岛)
소속함선(배치연도)
926급 잠수지원함(926型潜艇支援舰) 3척(864함 하이난다오(海洋岛)(10), 865함 류궁다오(刘公岛)(13), 867함 창다오(长岛)(13))
925급 원양인명구조함(925型远洋打捞救生舰) 1척(861함 창싱다오(长兴岛)(83))
근해인명구조함(近海救生打捞船) 3척(베이지오 122호(北救122), 베이지오 138호(北救138), 베이지오 143호(北救143))
특수 대형 원양 예인선(大马力特种远洋拖船) 1척(베이토우 721호(北拖721))
잠수지원함 3척 원양구조함 1척 근해구조함 3척 대형예인선 1척 총 8척


2.5. 해군항공대 전력[편집]


해군 항공대 전력으로서 3개 항공사와 1개 항모탑재대대를 운영하고 있다. (편제 언급 관련해서는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항목 참조)

부대
예하부대
단대호 표기
운영 기종(기체 보유수)
제2해공사(海航2师)(혼성사)(混编师)
4/5/6항공단[21] 산둥성 라이양(山东莱阳)기지, 칭다오 콴다오(青岛团岛)기지, 다롄 투쳉지(大连土城子)기지
8XX2X
4항공단 KJ-200, Y-8J/X, 5항공단 SH-5[22], 6항공단 H-6D/G
함항제1연대(舰航第1联队)
후루다오 싱청(葫芦岛兴城)기지
-
J-15

2023년 7월 미국 공군대학 중국우주항공연구소(CASI)의 발표에 따르면, 북부전구해군 항공대에서 방공여단과 제4레이더 여단 등을 공군으로 이관하였다. 현재 제2해공사와 제11항공여단(J-15, 함항제1연대로 추정), 헬기연대 정도가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6:54:56에 나무위키 북해함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칭다오 지하철 3호선 중산궁위안역(중산공원) B번출구[2] 중산공원 주차장 바로 동쪽건물[3] 북해함대 사령부로 쓰이고 있는 일티스 기지. 칭다오 독일 건축단지의 일부로, 독일군이 1899년 건설하였다. 칭다오시 스난구 샹강시로 2호.[4] 나토 코드명 렌하이급. 13,000톤[5] 나토 코트명 루양III급, 7,200톤[6] 나토 코드명 루저우급, 7,100톤[7] 나토 코드명 루후급. 4,800톤[8] 북해함대 기함[9] 나토 코드명 장카이급. 북부전구에 배치된 장카이급은 모두 장카이2급, 즉 054A형이다.[10] 나토 코드명 장웨이2급, 2,393톤[11] 다롄 항에서 34해리 떨어진 섬. 휴양지로 유명하다[12] 만재 1,440톤[13] 만재 1,440톤[14] 400톤[15] 장게장 해군기지라고 불리는듯 하며, 다강은 칭다오항을 가리키는 동시에 칭다오시 산하 행정구역 이름이기도 하다, 둘 다 스베이구에 있다.[16] NATO코드 송급(Song-class) 디젤 잠수함[17] NATO코드 명(밍)급(Ming-class) 디젤 잠수함[18] NATO코드 원(위안)급(Yuan-class) 디젤 잠수함[19] NATO코드 푸취급(Fuchi-class) 보급지원함[20] 정보수집함(AGX)[21] 중국식 연대 표기[22] 수상비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