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청군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조선시대 함경도를 통치하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북청도호부 문서
북청도호부번 문단을
북청도호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北靑郡 / Pukchŏng County

북청군
北靑郡 / Bukcheong County




국가
북한
광복 당시 면적
2,375㎢
광역시도
함경남도
광복 당시 행정구역
3읍 11면
인구
161,886명
시간대
UTC+9

1. 개요
2. 역사
3. 교통
4.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5. 출신 인물
6. 기타



1. 개요[편집]


함경남도 동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리원군, 서쪽은 신포시, 남쪽은 금호지구동해, 북쪽은 덕성군과 접해있다.[1] 군 가운데로 남대천이 흐르고 있다.

광복 당시 행정구역 기준으로 최고점은 희사봉(해발 2,117m, 상거서면 · 이곡면 경계)[2], 최저점은 동해였으며, 북청군 내에서의 해발고도 차이가 남한 전토에서보다 더 컸다. 그런데 이런 고도차가 더 심한 곳이 함경도에는 수두룩하게 있다.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제15호인 북청사자놀음이 유명하다.

북청군이 동해를 남쪽으로 접한 탓에 북청군민들은 동해를 남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역사[편집]


원삼국시대옥저의 영역이었고, 이후 고구려에 복속되었다가 신라진흥왕이 인근의 이원군으로 진출하여 마운령 순수비를 세우기도 했다.

남북국시대에는 발해의 남해부 소속이었는데 발해 5경인 남경남해부의 치소가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의 학자들이 북청군 하호리의 청해토성을 발굴한 후 여기를 남경남해부라고 비정했는데, 남북 사이에 학자들의 교류가 힘들다보니 많은 대한민국의 학자들은 아직 이 결과를 회의적으로 여긴다.[3] 하지만 국사 교과서에서도 남경남해부의 위치를 북청에 표시하는 등 어느 정도 수긍하기도 한다.

발해 멸망 후 거란이 함경도 일대의 발해인들을 오늘날의 중국 랴오닝성 일대로 강제 이주시켜버리는 바람에 고려시대에는 천리장성 이북이 여진족들의 소굴이 됐다.[4] 윤관의 여진 정벌 때 이곳에 영주성을 축성함으로써 잠시 고려에 편입, 이후 여진족에 돌려줬다가 몽골 제국 쌍성총관부의 관할이 되었고 공민왕 때인 1356년에 쌍성총관부를 혁파하고 수복하여, 삼살(三撒)로 불리던 이곳에 1372년 북청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조선 건국 이후 1398년에 청주부로 승격하였으나, 충청도 청주목과 발음이 같다는 이유로 1417년 북청부로 이름이 바뀌었다. 1427년 북청도호부로 승격되었고 1872년 북청부, 1895년 북청군이 되었다.

남북분단 이후 북한 치하에 놓였고, 북한이 1952년 행정구역 개편을 하면서 북청군 북부 지역에 해당하는 상거서면, 하거서면, 이곡면, 성대면, 덕성면(13개 리)을 덕성군으로, 북청군 남부 지역에 해당하는 신창면, 거산면, 속후면(17개 리), 신북청면(8개 리)을 신창군으로, 북청군 남서부 끄트머리에 해당하는 신포면과 양화면을 신포군(현재의 신포시)으로 분리 신설하여 면적이 대폭 축소되었다.

1974년 1월 신창군이 폐지되면서 신창군 동부 지역 1개 로동자구 17개 리를 돌려받아 현재의 ㄱ자 모양 군 형태가 되었다.

2015년 기준 로동자구는 신창로동자구, 신북청로동자구 두 개다. 리 경계까지 담고 있는 북한에서 제작한 지도는 이 링크 참조. 21세기의 북한의 군 지도에서 리 경계까지 공개된 지도는 찾기가 대단히 힘들다. 1990년대는 그나마 조선지리전서에 몇 개 도에 속하는 시와 군 전역의 동과 리의 경계가 그려진 지도가 있다.

3. 교통[편집]


철도는 평라선북청선이 지나가며, 신북청역에서 두 선이 분기한다.

평라선에는 경안역, 거산역, 건자역이 있고, 북청선에는 량가역, 북청역, 라하대역이 있다.


4.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편집]




파일:함경남도 북청군기.png

파일:북청군.jpg}}}

광복 당시 3읍 11면을 관할했다. 2008년 기준 인구는 40만 명에 육박한다.

  • 북청읍(北靑邑)
    • 관할 리 : 내(內), 남(南), 남흥(南興), 당포(棠浦), 동(東), 동흥(東興), 북(北), 북상(北上), 서(西), 장항(獐項), 죽평(竹坪), 중평(仲坪)
    • 내리에 읍사무소와 군청이 있었다. 원래 노덕면(老德面)이었다가 1917년 북청면으로 개칭하였고, 1931년 읍으로 승격하였다. 북청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북청역이 있다. 주요 사적으로 삼의사(三義祠), 북청읍성, 대덕산 기슭에 광제사가 있다.

  • 신창읍(新昌邑)
    • 관할 리 : 신창(新昌), 경안대(景安擡), 덕음(德音), 만춘(晩春), 승평(昇坪), 신풍(新豐), 예원(藝園), 장호(長湖), 토성(土城), 보청(甫靑)
    • 북청군의 동부 해안 지역이자 어항. 원래 북청군 해안사(海晏社)·상포청사(上甫靑社)·하포청사(下甫靑社)로 1912년 사(社)가 면(面)으로 개편되면서 각각 해안면(海晏面)·신창면(新昌面)·포청면(甫靑面)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해안면과 포청면이 합쳐져 청해면(靑海面)이 되었고, 1916년 청해면과 신창면이 합쳐져 신창면이 되었으며, 1942년 읍으로 승격하였다. 평라선 철도가 읍의 북부를 스쳐지나가며 관내에 경안역이 있다. 토성리에는 ㅁ자 모양의 청해토성이 있는데, 발해 남경남해부가 아니었나 하는 설도 있다.
    • 충청남도 아산시에도 한자가 같은 신창면이 있다. 만약 신창면이 읍으로 승격된다면 전국(이북 5도 포함)에 신창읍이 2개가 된다.

  • 신포읍(新浦邑)
    • 관할 리 : 신포(新浦), 노평(蘆坪), 도서(島西), 문암(文巖), 상보주(上寶珠), 석정(石井), 신호(新湖), 연호(蓮湖), 육대동(六擡東), 육대서(六擡西), 중보주(中寶珠), 중흥(中興), 토성(土城)
    • 원래 북청군 소양화사(小陽化社)로 1914년 신포면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37년 읍으로 승격하였다. 현 함경남도 신포시. 남쪽에 마양도를 끼고 있는 항구도시다. 마양도울릉도에 이어 동해 제2의 섬으로 토성·도서·석정·중흥·문암리의 5개 법정리로 나눠서 관할한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륙대동역, 신포역이 있다.

  • 가회면(佳會面)
    • 관할 리 : 중(中), 나흥(羅興), 마산(馬山), 봉의(鳳儀), 초(初)
    • 북청읍에서 서쪽으로 남대천을 건너면 가회면이다.

  • 거산면(居山面)
    • 관할 리 : 평(坪), 상세동(上細洞), 상입석(上立石), 포항(浦項), 하세동(下細洞), 하입석(下立石)
    • 북청군의 동부 해안 지역으로 1910년 상거산면(上居山面)과 하거산면(下居山面)이 병합되어 신설되었다. 이원군과 접한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거산역, 건자역이 있다.

  • 덕성면(德城面)
    • 관할 리 : 수동(水東), 동장내(東庄內), 만항(滿項), 서장내(西庄內), 서흥(西興), 수서(水西), 어은(魚隱), 이망지(泥望只), 주의동(主義洞), 죽전(竹田)
    • 본래 북청군 상사(上社)와 하사(下社) 지역으로 1912년 두 지역이 합쳐져 신설되었다. 북한 행정구역상 덕성군의 중심지이다. 북청읍 바로 북쪽에 붙어 있다. 북청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라하대역, 덕성역, 주의동역이 있다.

  • 상거서면(上車書面)
    • 관할 리 : 중돌(中乭), 상돌(上乭), 수서(水西), 신태(新泰), 엄동(嚴東), 하돌(下乭)
    • 북청군의 북부 산악 지역(1). 북청군 북서쪽에 있는 산악 지역이다. 본래 북청군 거서사(車書社)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상거서와 하거서, 2개 면으로 분할되었다.

  • 성대면(星垈面)
    • 관할 리 : 평(平), 보성(寶星), 수서(水西), 승동(勝洞), 양평(楊平), 조양(朝陽), 창성(昌星)
    • 북청군의 북부 산악 지역(2). 영역이 좌우로 길게 늘어져 있다. 북청선 철도가 면의 중부를 지나가며 관내에 양승역, 도평역이 있다. 명승지로 검덕산의 성대금강(星岱金剛)이 있다. 창성리에는 1338년 세워진 여진문자비(女眞文字碑)가 있었다.[5]

  • 속후면(俗厚面)
    • 관할 리 : 서호(西湖), 간평(間坪), 강상(江上), 광천(廣川), 나호(羅湖), 남호(南湖), 상창(上倉), 서도(西島), 서원(西園), 연주(蓮珠), 오매(梧梅), 용전(龍田), 의호(義湖), 창성(蒼城), 하천(下天), 현금(絃琴)
    • 북청군의 중부 해안 지역. 본래 북청군 속후사(俗厚社)와 중산사(中山社) 지역으로 1912년 각각 속후면과 평산면(平山面)으로 개편되었고 1939년 평산면을 폐지하고 면 대부분 지역(광천리·서도리·서원리·용전리)을 속후면에 편입하였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강상리역, 속후역, 양지역이 있다. 여기서 1990년대에 KEDO 경수로 사업을 했고 그 영향으로 금호지구로 분리되었었지만, 지금은 사업이 중단되었다. 다만 금호지구라는 행정구역은 폐지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금호군으로 바뀌었다. 북한 행정구역상 금호군 소재지. 명승지로 속후해수욕장[6]이 있다.

  • 신북청면(新北靑面)
    • 관할 리 : 신북청(新北靑), 동상(東上), 동중(東中), 무우대(無憂擡), 보천(寶泉), 신상(新上), 양천(楊川), 초(初), 하(下)
    • 본래 북청군 양가사(良家社), 양천사(楊川社) 지역로 1914년 면제 실시로 양가면과 양천면이 되었다. 이후 1937년 양가면, 양천면과 평산면 동상리, 동중리를 합병하여 신설되었다. 1939년 평산면 폐지 과정에서 평산면 무우대리를 편입하였다. 평라선북청선신북청역에서 분기하는 교통 취락이며 이외에 량가역(북청선)이 있다.

  • 양화면(陽化面)
    • 관할 리 : 동(東), 남안대(南安擡), 방가대(芳佳臺), 부창(富昌), 양화(陽化), 유호(楡湖), 창상(昌上), 호만포(湖滿浦), 후호(厚湖)
    • 북청군의 서부 해안 지역. 본래 북청군 대양사(大陽社)와 양평사(陽坪社)가 있었으나 1914년 통폐합돼 양화면이 되었다. 1939년 신포읍 부창리와 창상리를 편입하였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양화역이 있다.

  • 이곡면(泥谷面)
    • 관할 리 : 초(初), 상(上), 인동(仁洞), 제상(濟上), 제중(濟中), 제초(濟初), 중(中)
    • 북청군의 북부 산악 지역(3). 군의 가장 북쪽이며, 후치령, 통팔령을 넘어 풍산군으로 통한다. 북청선 철도가 이곳에서 시종착하며 관내에 삼기역, 송중역, 상일역, 상리역이 있다. 상리에는 북청선 철도를 부설한 이유인 북청광산[7]이 있다.

  • 하거서면(下車書面)
    • 관할 리 : 임자동(荏子洞), 덕우대(德友擡), 상신흥(上新興), 월근대(月近擡), 월상(月上), 하신흥(下新興)
    • 본래 북청군 거서사(車書社)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상거서와 하거서, 2개 면으로 분할되었다.

  • 후창면(厚昌面)
    • 관할 리 : 이(二), 당우(唐隅), 동평(東坪), 부동(富洞), 오평(梧坪), 일(一), 통이(通耳)
    • 1912년 인후사(仁厚社)와 인창사(仁昌社)가 합쳐져 신설되었다. 북청읍, 신북청면과 가까우며 남쪽으로 양화면과 통한다.
    • 여담으로 평안북도 후창군과 한자표기가 동일하다.


5. 출신 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기타[편집]


사과가 특산물이며, 사과 생산 지역으로는 최북단이다.

관련 작품으로 김동환의 시 '북청 물장수'가 있다. 실제로 서울의 물장수 일은 함경도 출신 사람들이 많이 했고, 그 중에서도 북청 출신 사람이 가장 많았다고 전해진다. 또한 이들 물장수들이 번 돈으로 북청의 교육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고. 이러한 인연으로 현대 대한민국에서도 북청 출신 실향민들의 주도로 북청군장학회를 세워서 장학 사업을 벌이고 있다.

'북청 물장수'라는 이름을 딴 개그 코너도 있었다[8]. 1980년대 중후반 유머 1번지에 나왔던 이 코너는 장두석이봉원, 조금산 등이 출연했다. 특히 이 코너에서 일본 유학생 출신 역할로 나온 조금산이 장두석과 이봉원과 인사할 때 말했던 멘트[9]가 유행어로 퍼지기도 했다. 이 인사법은 2015년 방영된 응답하라 1988에서 극중 TV 유행어를 따라하기로 소문난 김성균에 의해 다시 유행되기도 했다.

강원도 속초시에 북청군 출신이 2017년 기준 200명 이상 거주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지금은 폐지된 같은 함경남도영흥군처럼 경주 김씨집성촌이기도 하다.

그 외에도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된 북청사자놀음이 유명하며, 조선시대의 명재상이었던 백사 이항복이 유배를 와 여생을 마감한 곳이기도 하다.

청해 이씨의 본관인 청해면이 이곳에 있었다. 청해면은 1917년 신창면[10]에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6:38:24에 나무위키 북청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광복 당시 북쪽 풍산군, 서쪽 신흥군, 홍원군, 동쪽 이원군, 단천군과 접했다.[2] 한반도 37위의 고봉[3] 사실 북한의 고고학계는 정치가 학문을 지배하는 경향이 있기에 신뢰도가 없는 수준이다. 평양단군릉, 동명왕릉을 구체적 근거도 없이 확정해버리고 동수의 묘임이 거의 확실한 안악 3호분을 '이 정도 규모면 왕릉이어야 한다' 따위 빈약한 근거로 고국원왕릉으로 일방적으로 서술하는 등, 역사를 북한 정권의 정통성을 강화하는 선전용 도구로나 쓰지 학문 그 자체를 탐구하려는 시선은 거의 없는 편이다. 북청의 청해토성 또한 '북한 측에서 토성 하나 발굴되었다고 확정적으로 몰아가는 것 아닌가' 하는 시선이 있다. 다만 남북 역사학계의 교류가 거의 없고 대한민국의 고고학자들의 북한 탐사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보니 남경남해부 연구에 진척이 없는 상황.[4] 발해 멸망 이전에도 발해-신라 국경에 말갈 소국들이 출몰해 중앙정부를 무시하고 통교를 시도했다는 기록을 봤을때 발해가 쇠락해 말갈에 대한 통제력이 약해져 이들이 꽤 남하해 있었거나 신라를 견제하기 위해 발해가 의도적으로 말갈인을 사민시킨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실제로 주민들을 몽땅 사민했다기엔 백두산 폭발과 발해부흥운동의 여파로 함경도 같은 변방에 대한 요나라의 통제력은 안정적이지 못했다. 다만 동북쪽 일대에서 여진족이 발흥했을 무렵에는 부흥운동이 실패하고 요동으로 사민당했다거나 아예 고려에 내투해버렸다거나 하는 식으로 이미 발해인들의 세가 크게 약해져 흔적이 별로 남지 않게 된 상황이었다.[5] 현재까지 알려진 여진 문자 비석은 총 12기로 그 중 2기가 한반도에 있었는데, 나머지 하나는 경원군 아산면 수정동에 있었던 비석으로 1918년 일제에 의해 경성으로 반출되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다.[6] 길이가 무려 10km를 넘고 울창한 송림(松林)을 낀 해변이다.[7] 철광산[8] 1982년에 이미 동명의 드라마가 KBS-TV에서 방영되었다. 항목 참조.[9] (오른손을 높이 들고) 아이고~ O사장! (오른손을 높이 들고) 아이고~ O사장! (악수하며 앉았다 일어난다) 이거 정말 반갑구만! 반가워요! 반갑구만! 반갑습니다~![10] 1942년 신창읍으로 승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