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림대군(추노)

덤프버전 :



추노 등장인물

[ 펼치기 · 접기 ]
파일:추노.jpg
이대길 관련
이대길 · 최장군 · 왕손 · 설화 · 천지호 · 오 포교 · 큰 주모 · 작은 주모 · 방 화백 · 마의 · 만득 · 명안 · 짝귀
송태하 관련
김혜원 관련
송태하 · 곽한섬 · 이광재 · 임영호 · 용골대 · 조 선비
김혜원 · 김성환 · 백호 · 최 사과 · 윤지
업복 관련
황철웅 관련
업복 · 초복 · 끝봉 · 원기윤 · 그분
황철웅 · 이경식 · 박종수 · 이선영 · 노모
왕실
기타
인조 · 소현세자 · 봉림대군 · 이석견
· 제니




파일:153F780D4BA3336750.jpg

1. 개요
2. 작중 행적
3. 어록


1. 개요[편집]


실존인물 효종세자 시절을 바탕으로 재창작한 캐릭터로 이인이 연기한다.[1]


2. 작중 행적[편집]


형인 소현세자가 죽은 다음 생존한 조카 석견을 제치고 세자에 오른다. 그에게 있어 이석견은 가엾은 조카이자 어쩔 수 없는 정적이지만 한편으로는 형과 조카를 제치고 왕위를 물려받는다는 죄책감에 괴로워하는 일면을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

석견의 사면을 요청하기 위해 송태하가 동궁전 내관을 통해 은밀히 연락하자 잠행을 핑계로 만나게 되는데, 석견을 왕으로 옹립하려던 자가 이제와서 석견의 사면을 요청한다고 일갈하며 돌아간다. 이 때 송태하가 서울에 온 것을 눈치챈 황철웅이 봉림대군의 신변을 감시하며 최대한 자신의 미행을 알지 못하게 해 송태하를 잡으려는 함정을 놓았고 봉림대군이 송태하와의 대화를 마치고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송태하와 이대길을 덮치지만, 눈치 빠른 이대길과 준비해놓은 관군들이 선해청이 습격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지원하러 가면서 실패한다.

하지만 송태하와의 대화 막판에 한 (문서 맨 위에 적혀 있는) 대사에서 알 수 있듯이 독한 마음을 유지하지 못했고 석견의 죄를 사면해달라고 인조에게 간청하나 인조가 "이건 내 역사니라"라는 말과 함께 거부했고, 이 말에 따라 마지막회 나래이션을 통해 실제 역사대로 즉위 후 7여 년 뒤에 석견을 사면해주었다고 언급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3. 어록[편집]


"차라리 모두 조선을 떠남이 어떠하느냐? 들을 살릴 힘도 없고, 죽일 용기도 없으니 말이다."


"추노꾼? 그런 일을 하는 사람도 있었더냐?"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2:52:00에 나무위키 봉림대군(추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담으로, 이인은 2001년 드라마 명성황후에서 고종의 아역을 연기했고, 형 소현세자 역의 강성민은 한참 지나서 고종의 아들이자 훗날 의친왕이 되는 의화군으로 출연했다. 다만 이때도 서로 등장 시기가 달라 한 장면에서 같이 나온 적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