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역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향후 개통 예정인 광주2호선의 전철역에 대한 내용은 백운광장역 문서
백운광장역번 문단을
백운광장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북한 평북선의 백운역에 대한 내용은 백운역(평북선) 문서
백운역(평북선)번 문단을
백운역(평북선)#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백운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다국어 표기
영어
Baegun
한자
白雲
중국어
白云
일본어
ペグン
주소
인천광역시 부평구 마장로55번길 14 (십정동 541-1번지)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위탁역)
(부평역 관리 / 코레일 수도권광역본부)
운영 기관
경인선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개업일
경인선
1984년 11월 20일
1호선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복선 쌍섬식 승강장
열차거리표
경인선
백 운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연계 교통
6.1. 버스
7. 사건·사고



1. 개요[편집]



파일:백운역_역사.jpg

현 역사(2002년 준공)

파일:attachment/baekun.png

역명판 교체 이전의 현 역사

수도권 전철 1호선 153번. 인천광역시 부평구 마장로55번길 14 (십정동 541-1번지) 소재.


2. 역 정보[편집]



파일:백운역 구역사.png

구 역사(1984년 준공, 1999년 철거)

파일:백운역.png

백운역 안내도

'백운역(白雲驛)'이라는 이름은 백운역 근처에 백운사라는 절이 있어 개통 당시 이 지역 주민들이 역 이름을 공모해서 지었다.

초창기 백운역사는 그야말로 심플함의 결정체였다. 오르락내리락 할 필요없이 그냥 골목길에서 개찰구 찍고 들어가면 바로 승강장, 그리고 반대편 길에서도 개찰구 찍고 들어가면 바로 승강장, 승강장 내에서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가기 위한 육교 하나, 그게 다라서 승객의 입장에서 어떤 의미로는 편리했다. 앤틱한 멋을 더하는 나무판자 승강장과 비가 오면 물이 새는 함석 지붕(그것도 반만 덮인)은 덤. 당시에는 백운역 뿐만 아니라 동암역, 제물포역 등 거의 모든 경인선 역사가 이랬다. 급행열차 운행을 위해 2복선으로 뜯어고치면서 모든 역들이 지금과 같은 모습이 된 것. 스크린도어가 오랫동안 설치되지 않았던 역들 중 하나였으나 2017년 12월에 완공되어 가동 중이다.

역의 위치도 2복선화 공사 이전과 이후가 다르다. 복복선화 공사 이전에는 지금보다 150m 정도 부평역 쪽으로 올라가 있었다. 지금 공영주차장 위치가 과거의 역광장이었는데 2000년대 초반 2복선화와 함께 신축역사를 지으면서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1]

여담으로 백운-동암 구간이 마치 운하를 지나가는 느낌이다. 산을 깎아서 선로를 놓은 구간이라 주변의 지대가 훨씬 더 높기 때문이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파일:Seoulmetro1_icon.svg 백운역 출구 정보
파일:지하철 출구_1.png 1번 출구
부평3동사무소, 십정2동사무소
파일:지하철 출구_2.png 2번 출구
부평아트센터, 백운공원, 백운초등학교, 인천상정고등학교, 인천상정중학교, 인천상정초등학교
파일:지하철 출구_3.png 3번 출구
백운파출소, 부광고등학교, 부평서여자중학교, 신촌초등학교, 부평서중학교, 산곡동방면

이 역에서 그다지 멀지 않은 곳에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삼거리역이 있다.

인근은 주거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함봉산 등의 야산에 둘러싸여 있는 언덕지대에 역이 있다. 애초에 경인전철이 개통될 당시에는 백운역이 존재하지 않았으나, 80년대 중반 인근 지역에 대단위 현대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역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을 예상하여 백운역을 설치하게 되었다.

아파트와 단독주택 등이 밀집된 주거지역인데다가, 양 옆에 있는 역들의 수요가 워낙 큰지라 주변 역에 비해서는 한산해 보이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산곡동 및 부평3동, 십정1동 주민들이 애용하는 지하철 역이기에 출퇴근 수요가 크다. 급행 열차가 정차하지 않아 부평역으로 가는 이용객들도 있지만 부평역의 버스 환승이 상당히 귀찮기 때문에, 역 출입구 바로 옆까지 파고 들어가주는 마을버스가 있는 백운역을 이용하는 출퇴근객들도 많다.

20번 버스 종점이기도 했지만 2012년 6월 5일부로 백운역 ~ 부평시장 구간이 연장되어 이 역을 기종점으로 하는 간선버스는 더 이상 없다.[2] 부평삼거리역 을 경유하는 간선 버스들은 모두 부안고가교 상에 있는 정류장을 이용하므로, 간선 버스 이용 시 1번 출구로 나와 고가도로를 올라가서 이용해야 한다. 경원대로를 경유하는 버스를 이용하려면 부평도서관이나 현대아파트 정류장을 이용하면 된다.[3]

2번, 3번 출구 앞에는 산곡동, 부평동 방면의 부평구 지선 버스들이 대거 들어온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Seoulmetro1_icon.svg
비고

[ 1984년~2009년 ]
1984년
6,854명

1985년
11,420명

1986년
16,938명

1987년
19,168명

1988년
24,527명

1989년
25,645명

1990년
30,506명

1991년
41,078명

1992년
42,376명

1993년
39,891명

1994년
37,520명

1995년
36,623명

1996년
37,685명

1997년
39,238명

1998년
37,971명

1999년
44,852명

2000년
26,707명
비고
2001년
31,074명

2002년
32,785명

2003년
35,316명

2004년
24,067명
[1]
2005년
23,034명

2006년
22,421명

2007년
21,951명

2008년
21,770명

2009년
21,198명


2010년
22,381명

2011년
22,347명

2012년
19,937명

2013년
17,968명

2014년
18,496명

2015년
18,661명

2016년
18,412명

2017년
18,275명

2018년
17,782명

2019년
17,350명

2020년
11,899명

2021년




여느 경인선의 역들이 그렇듯 이 역도 해가 갈수록 승객이 줄어들고 있다. 2000년에 하루 2만7천명 가까이 이용하던 것이 한해 천명 가까이 이용객이 빠지다가 2000년대 후반에 하락세가 조금 완화되고 2010년에 소폭 반등하였으나, 2012년에 결국 일평균 2만명이 무너지고 말았다. 이후로는 꾸준히 하루 1만8천여명이 이용하고 있어, 2010년대 중반 기준으로는 2000년에 비해 불과 2/3 수준의 사람들이 이 역에서 열차를 이용한다.

아무래도 백운역의 위치가 언덕배기여서 역세권이 매우 미약할 뿐만 아니라 이용이 불편하다는 점이 큰 걸림돌이다. 실제로 백운역 북부역의 현대아파트 단지를 제외하면 주변에 이렇다할 아파트단지가 없고, 근처 주택들도 재개발 상태이다. 그나마 2010년대 중반부터 이용객 숫자가 보합세를 보이는 것은 2010년에 개관한 부평아트센터가 방패 역할을 하기 때문으로, 실질 역세권 주민 이용률은 여전히 감소 추세이다.


5. 승강장[편집]


파일:attachment/Baegun1.jpg
스크린도어 설치작업 전의 승강장
파일:백운역_승강장모습.png
스크린도어 설치작업 중의 승강장

부평
↑ 통과
부평

1
2


3
4

동암
통과 ↓
동암

1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완행
부천·구로·광운대·소요산 방면
2
급행
당역 통과
3
4
완행
동암·제물포·동인천·인천 방면

2017년 12월, 스크린도어가 완공되어 가동 중이다. 용산 급행은 이 역부터 부평역에 도착할 때까지 서행한다.


6. 연계 교통[편집]



6.1. 버스[편집]


시내버스 정류장
파일:지하철 출구_1.png 1번 출구[4]
백운역
(40-079)
'''
간선
'''
2, 14-1, 20, 30, 34, 111-2
백운역
(40-080)
'''
간선
'''
2, 14-1, 20, 30, 34, 111-2
2, 3번 출구
백운역
(40-716)
'''
지선
'''
564, 564-1, 564-2[5], 556번[6], 567번, 569번
백운역(하행)[7]
(40-901)
'''
지선
'''
556[8]


7. 사건·사고[편집]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2009년 5월에는 정신지체 중학생이 여대생을 승강장으로 떠민 사건이 발생했으며 다행히 주변에 있던 승객들이 황급히 손을 흔들자 이를 본 기관사가 급제동을 걸어 아무런 일도 없었다. 중학생은 대학생이 갖고 있던 MP3 플레이어가 탐나서 그랬다고...당시 기사 이 사건 이후 8년이 지나 2017년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 2015년 9월 16일 수요일에 오피스텔을 짓던 타워 크레인 2대가 백운역~부평역 구간의 선로로 전도되었다. 다행히도 지나가는 전철이 없어서 큰 참사까지 가지는 않았으나 인천행 1호선 열차가 부천역까지만 운행하게 되어 큰 혼잡을 빚었다. 이 사고로 인해 경인로를 통해 1호선과 거의 평행으로 달리는 부천 버스 88의 혼잡도가 극에 달했다. 열차는 17일 첫 차부터 정상화되었다.[9]

  • 2015년경 이사를 하던 사다리차량의 사다리가 도로 위로 넘어가면서 백운-동암 구간 사이의 아파트 방음벽에 걸쳐지는 사고가 있었다. 인명피해는 없었고, 한동안 사다리에 의해 부서진 방음벽 끝을 볼 수 있었다.


  • 2022년 1월 4일 오전 8시 47분경 50대 남성이 서울방면 급행선에 투신해 30분동안 열차 운행에 지장이 생긴 사고가 있었다. 다행히도 큰 부상을 입지는 않았다고 한다.뉴스기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8:12:57에 나무위키 백운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과거 위치는 네이버 지도 → 테마지도 → 과거 항공사진에서 확인 가능하다.[2] 하지만 2020년 12월 31일부로 인천광역시 시내버스가 개편이 되어 20번 버스가 다시 돌아왔다. 물론 종점이 산곡동 문화교회이긴 하지만 이게 어딘가.[3] 참고로 2번출구로 나와서 환승센터에서 인천 버스 564번이나 인천 버스 564-2번(이 두 노선은 이디야커피 앞에서 탔다간 동암역으로 되돌아가있는 당신을 보게 될 수 있다.), 인천 버스 556(방향에 유의해야 한다. 잘못하면 산곡동, 가좌동 방면으로 갈수있다. 꼭 삼산동 방면을 타야한다.)번을 타면 현대아파트 정류장으로 갈 수 있는데, 현대아파트 정류장에는 111번, 302번 같은 인천공항행 좌석버스부터 3000번, 3030번, 3700(노선 단축으로 미경유)을 비롯한 시외버스와 인천 버스 1400번 광역버스 등 여러 버스가 정차한다.[4] 고가도로 위로 올라가서 타면 된다.[5] 564와 564-2의 경우 현대아파트행과 동암역/간석역행의 승차위치가 다르다. 현대행은 환승센터에서 타고 동암역행/간석역행은 이디야커피 앞에서 타자. 564-1의 경우는 어디서 타든 상관 없다.[6] 산곡동, 가좌동 방면[7] 556번 노선 특성상 방향 구분을 위해 생긴 정류장이지만 위치 차이는 없다.[8] 부평역, 삼산동 방면[9] 「인천 부평역 인근 타워크레인 넘어져...지하철 운행 중단」, 2015-09-16, Y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