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동음이의어)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주택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방#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1자 한자어
1.1. (), 의 부속 공간
1.2. 방(榜), 벽보
1.3. -방(放), 바둑의 집을 세는 단위
1.4. -방(放), 방송의 준말
2. 한자
3. 일본어
3.1. 사포의 거칠기 단위
4. 고유명사
4.1. 환상게임의 캐릭터 유방의 통칭
4.2. 한국의 성씨 방씨
4.3. 뱅드림 프로젝트의 준말


1. 1자 한자어[편집]



1.1. (), 의 부속 공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건물의 방을 의미한다. 인터넷 공간의 방은 방(인터넷 용어) 참고.

1.2. 방(榜), 벽보[편집]


옛날 어떠한 사항을 널리 알리기 위해 벽에 붙이던 글.

중국 고전소설 《봉신방》의 '방'이 이 글자를 쓴다.


1.3. -방(放), 바둑의 집을 세는 단위[편집]


바둑이 끝났을 때 집 수를 10으로 나눈 후 소수점 이하를 올림한 값을 방이라고 한다. 즉, 반집부터 10집까지는 1방, 10집반부터 20집까지는 2방, 20집반부터 30집까지는 3방 ... 이런 식으로 간다. 10방 이상은 '만방'(萬放)이라고 부른다. 즉, 90집반 이상 이기면 만방으로 이긴 것이 된다.

사실 일반적인 바둑에서 몇 집으로 이겼는지는 두 대국자의 기력 차이를 간접적으로나마 평가하는 기준은 될 수 있으나 그마저도 기력이 비슷한 프로 기사들끼리도 큰 집 차이로 승부가 갈리는 경우가 흔해서 실질적으로는 별로 의미가 없기 때문에 방내기 바둑(크게 이길수록 많이 따는 내기 바둑) 말고는 거의 쓰일 일이 없는 용어이다.


1.4. -방(放), 방송의 준말[편집]


방송을 간단히 표현할 때 '방'으로 줄이기도 하는데 단어 하나만 쓰이지 않고 앞에 단어가 붙는 접미사 형태로 사용될 경우 '○○방' 형태로 사용되곤 한다. 이를테면 생방, 본방, 재방, 날방, 인방 등이 그렇다. 또는 특정 행위를 방송할 경우에도 사용되는데 음방, 먹방, 겜방, 눕방 등이 그러한 경우. 이런 말들은 인터넷 방송에서 자주 쓴다.[1]

다만 이러한 단어들은 표준어로 사용되는 것보다 줄임말이나 속어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가 흔한 편이다.


2. 한자[편집]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국 한자음 빈도

[1~10위]
[11~106위]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107~308위]
[309~407위]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교육용 한자 1800자 중 '방'으로 읽는 글자는 10자이다. 대부분이 을 성부로 갖는다.

  • (모 방): 준7급 한자.
  • (놓을 방): 준6급 한자.
  • (방 방): 준4급 한자.
  • (찾을 방): 준4급 한자. '방문하다'라는 뜻으로 자주 쓰인다. 訪問(방문), 探訪(탐방), 來訪(내방), 巡訪(순방), 尋訪(심방) 등의 단어가 있다. 訪 뒤에 나라 이름을 뜻하는 한자를 넣으면 해당 국가에 간다는 뜻이 된다. 訪日(방일, "일본에 방문하다"), 訪中(방중, "중국에 방문하다") 등.
방명록(芳名錄)은 방문한 사람들이 쓰는 것이기는 하지만 '芳'이다. 찾아온 사람들을 높여서 '꽃다울 방'을 쓰는 것이다.
  • (막을 방): 준4급 한자.
  • (방해할 방): 4급 한자. 주로 妨害(방해)가 대부분의 용례이다. 無妨(무방)이라는 단어도 있다.
  • (꽃다울 방): 준3급 한자. 온갖 아름다운 말에 자주 쓰여 높이는 표현으로 자주 쓰인다. 위에 소개한 방명록(芳名錄)도 그런 예이다. 일상 용례는 芳香劑(방향제)[2] 정도. 인명 중에는 조선 태종 이방원(李芳遠)이 이 글자를 쓴다.[3]
  • (본뜰 방): 3급 한자. 대표적인 용례는 模倣/摸倣/摹倣(모방)이다.
  • (곁 방): 3급 한자. "옆"이라는 의미지만 정말 옆이라는 의미보다는 "간접적"이라는 비유적 의미로 더 자주 쓰인다.[4] 傍白(방백), 傍系(방계), 傍聽客(방청객), 傍助(방조), 傍觀(방관), 傍證(방증) 등. 정말로 옆이라는 의미는 傍點(방점) 정도.
  • (나라 방): 3급 한자. 근래에는 정말 '나라'인 경우에는 (나라 국)을 써서 용례가 적다. 속설에 한나라 유방의 이름이 邦이어서 이 글자를 피휘하게 되었다고 한다. 屬邦(속방), 領邦(영방), 聯邦(연방) 등의 용례가 있다.

일본의 상용한자에서의 목록도 이와 비슷하지만 1급 한자 (동네 방), 1급 한자 (기름 방), 2급 한자 (실 뽑을 방)이 더 들어가있다. 肪, 紡은 한국에서도 脂肪(지방), 紡織(방직) 등 단어 수가 적긴 하지만 쓰긴 꽤 쓰는 글자이다. 일본 발음은 대개 ホウ 아니면 ボウ이다.

훼방(毁謗)의 (헐뜯을 방)은 "헐뜯다", "비방하다"의 '방'으로 1급 한자이다.


3. 일본어 [편집]


ばん. 한국 한자음은 ''이나 일본 한자음으로는 ばん이다. 일본어 '-ん' 류 단어가 대체로 그렇듯 ''이라고도 적는다. '불침번', '당번'의 '-번'과 유사하게 일본어로도 '당번', '지키미' 등을 뜻한다. 유명 게임 소코반도 倉庫番(そうこばん)으로 "창고지기"라는 뜻이다.


3.1. 사포의 거칠기 단위[편집]


사포의 거칠기 단위로 쓰인다. 숫자가 높을수록 부드럽다.


4. 고유명사[편집]



4.1. 환상게임의 캐릭터 유방의 통칭[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유방(환상게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 한국의 성씨 방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방(성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3. 뱅드림 프로젝트의 준말[편집]


뱅드림의 일본식 통칭인 방도리를 더 줄여 방이라고 간결히 부르기도 한다. 해당 문서 참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이와 관련된 사람, 가령 방송자 혹은 관람자들은 여기에 '-'를 붙인다. 먹방러, 인방러 등등.[2] 일본어 こうばしい(향기롭다)는 香ばしい/芳ばしい 두 가지로 모두 변환할 수 있다.[3] 항렬자여서 해당 항렬 사람들은 다 이 글자를 쓴다.[4] 실제로 '옆'을 의미하는 경우에는 ()을 쓰는 경우가 많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4:52:58에 나무위키 방(동음이의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