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포주

덤프버전 :

분류





[ 펼치기 · 접기 ]
양조주
사케(酒)/니혼슈(日本酒)
나마자케 · 니고리자케 · 쿠치카미자케 · 고슈 · 세이슈 · 쿠로슈 · 아마자케
맥주/일본 ( 드라이 맥주 · 핫포슈 ) · 포도주/일본
증류주
쇼츄 (焼酎)
쌀쇼츄 · 고구마쇼츄 · 보리쇼츄 · 고루이쇼츄 · 아와모리 · 하부슈 · 우메슈
재패니스 위스키 · 하쿠 보드카 · 로쿠 진 · 키노비 진
기타주류
츄하이 · 미도리 · 미림 · 타마고자케
음용법
미즈와리 · 하이볼 · 우롱하이



1. 개요
2. 설명
3. 한국의 경우
4. 그 외
5. 국내 판매 발포주 목록



1. 개요[편집]


  • 한국어: 발포주(發泡酒)
  • 일본어: 発泡酒(はっぽうしゅ)
  • 영어: Happoshu 또는 low-malt beer

일본에서 유래한 주류의 일종. 드라이 맥주다운그레이드 버전쯤 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원재료 중 맥아[1] 함량이 50% 이상에 곡류, 홉, 물 이외의 부재료는 법령에 지정된 것으로 맥아 대비 5% 이내로 첨가된 것에 한해 '맥주'(ビール)로 표기할 수 있으며 50% 미만은 발포주. 명칭의 한자를 보면 알겠지만 거품나는(發泡) 술(酒)이란 뜻으로, 맥아 함량이 미달이니 맥주라 부를 수 없기에 붙인 이름이다. 법적으로 맥주가 아닐 뿐이지 맥주에서 유래한 술이고 맥아도 들어가니 넓은 의미에서는 맥주라고 부를 수 있다. 단 맥아 또는 맥류가 포함되어 있어야 하므로 샴페인 등의 스파클링 와인이나 탄산을 넣은 탄산주는 들어가지 않는다.

위스키로 보면 몰트 위스키블렌디드 위스키의 관계와 거의 유사하다. 아예 맥아가 없는 '제3의 맥주'라고 불리우는 물건은 그레인 위스키에 대응된다.[2]


2. 설명[편집]


2018년 4월 개정 전에는 일본 주세법에서 맥주의 원재료는 , 맥아, , 옥수수, 감자, 효모, , 전분, 설탕, 캐러멜로 한정되었다. 이 기준 때문에 개성적인 맛을 위해 코리앤더 같은 독특한 부재료를 사용하는 벨지안 화이트 (대표적으로 호가든)나 트라피스트 에일 등의 유럽산 맥주가 일본 내에서는 맥아 함량과 무관하게 주세법상 발포주나 '기타 잡주'로 분류되었다. 코리앤더 씨, 오렌지필 같은 법으로 지정되지 않은 부재료가 들어가기 때문. '지비루'(地ビール)로 통칭되는 소형 양조장에서 나오는 개성파 상품 중에서도 첨가물 때문에 발포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았다.[3] 그것도 맥아 함량은 높아서 가격이 낮아지는 효과도 없었다.

제품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맥아함량이 25% 이내로, 50%~100%인 맥주보다 매우 낮다. 이는 맥아 함량이 낮을 수록 주세가 싸기 때문이다. 그 대신 원가와 세금이 낮기 때문에 가격도 맥주에 비하면 제법 싸다. 대부분의 맥주가 오프라인 소매가로 200엔을 넘지만 발포주는 최소 20~30% 이상 싸며 반값 가까운 놈도 있다. 발포주도 시장이 커지고 20년 이상 노하우가 쌓이다 보니 이제는 맛도 많이 개선되고 다양한 맛을 선보이고 있다. 물론 '맥주'라는 기준에서 보면 맛있는 맥주라고 하기는 좀 어려울 수도 있겠지만.

본래 발포주는 일본의 주세법 때문에 생겨난 주종이다. 일본의 주세법상 맥주에 매겨지는 주세는 맥아함량에 따라 차등책정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1990년대 초부터 일본 맥주 회사들은 맥아 함량을 줄이고 부재료의 사용을 늘려서 세금(과 재료비)을 절감, 비슷한 이윤을 남기면서도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는 발포주를 시장에 내놓기 시작하였다. 원래는 세제상의 이점을 발판으로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상품이었으나 지금은 저렴한 가격 덕에 시장이 꽤 커져서 굉장히 다양한 종류의 발포주가 시장에 나와 있다. 상품의 종류가 오히려 맥주보다 더 다양할 정도다. 시장이 워낙 크다 보니 발포주 중에서도 고급 라인업 개념으로 나온 제품도 있다.(물론 진짜 맥주보다는 싸다) 최전성기인 2000년대 초반에는 맥주 시장의 1/3 이상을 발포주가 점유하기에 이르렀으나, 세제 개편과 하술할 제3의 맥주(신 장르)의 등장으로 인해 발포주의 점유율은 점점 하락세를 걷게 되었다.

2003년의 세제 개편에 따라 발포주의 세율이 올라가자, 한단계 더 다운그레이드한 '제3의 맥주'(第3のビール)라는 주종도 나왔다. 주세법상 존재하는 주종은 아니고 통상적으로 부르는 명칭이다. 법으로는 그냥 '그 외의 양조주(발포성)'나 '리큐르(발포성)'다. 전자는 아예 맥아를 넣지 않고 대두단백이나 완두콩, 옥수수 같은 재료만 써서 제조한 황당한 물건이고,[4] 후자는 산토리킨무기처럼 발포주 베이스에 스피리츠[5]와 같은 다른 주류를 섞은 물건이다.[6] 이러나저러나 발포주보다도 맥아함량이 떨어지니 당연히 맛이 있을래야 있을 수 없다. 이쯤 되면 넓은 의미의 맥주 카테고리에 넣기에도 민망하다. 제 3의 맥주라는 표현은 매스미디어 등지에서 사용하는 표현이고, 맥주회사의 공식 광고나 제품표기 등에는 법률상 맥주가 아닌 이상 맥주라는 단어를 쓸 수 없기 때문에 '신 장르'(新ジャンル)로 표현하는 게 일반적이다. 2008년에 신 장르(제 3의 맥주)가 발포주의 점유율을 넘어섰으며, 2010년대 전반의 점유율을 보면 대략 맥주가 50%, 발포주가 15%, 신 장르가 3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2018년 4월 1일 주세법이 개정되면서(일본 국세청 자료) 발포주 분류에 변경이 생겼다. 우선 맥주의 맥아 함량이 67%[7]에서 50%로 낮아지고 과일, 향료 등의 첨가가 가능해졌다. 이 때문에 과거 맥아 함량이 많음에도 첨가물 때문에 발포주로 분류되고 그것도 주세는 주세대로 냈던 벨지언 화이트 등이 정식으로 맥주 분류를 받게 된다. 덩달아 맥주와 발포주의 주세는 2020년 이후 인하 예정이며, 반대로 '신 장르'는 2023년 이후 발포주로 편입되고 맥아 25% 이하 발포주와 같은 주세가 부과될 예정이다.[8] 이 경우 신 장르의 수요가 대거 발포주로 이전되겠으나, 아예 제대로 된 맥주로 그대로 쏠릴 가능성도 있다. 일본은 본래 맥주가 주류 시장에서 최대 파이를 차지했으나 젊은층의 맥주 이탈(ビール離れ) 추세가 뚜렷해서(그 틈새를 메우고 있는 것이 츄하이 등), 맥주 및 맥주 유사 제품군 자체의 수요가 떨어지고 있기도 하다.

3. 한국의 경우[편집]


한국에서 2017년 4월 하이트진로가 최초로 필라이트라는 이름의 발포주를 발매했다. 그러나 사실 한국에서는 주세법상 발포주라는 분류 용어가 없고 맥아 함량이 10% 이하면 기타 주류로 분류된다. 위에서 보듯 일본의 경우 맥주의 맥아 함량 기준이 50%인데 반해, 한국은 10%로 낮다. 따라서 한국에서 발포주라 불리며 팔리는 술들은 일본보다도 더 맥아 비율이 낮은 편이다.

이런 발포주가 발매된 배경은 맥주와 기타 주류의 주세 차이에 있다. 기타 주류는 30%의 주세를 적용받기 때문에 72%인 맥주에 비해 세금이 훨씬 저렴하다. 따라서 출고가가 기존 하이트 대비 58%인데다 주세도 낮은 필라이트는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주세법상 발포주 분류는 없지만, 일본의 발포주 시장을 모방하여 마케팅함으로써 가성비 좋은 맥주의 포지셔닝을 확보하고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했다.

그리고 2019년 2월, OB맥주필굿이라는 이름으로 발포주를 발매하였다. 하이트진로필라이트를 대놓고 의식한 듯한 작명센스를 발휘하고 있으며, 캔 상단 부분에 HAPPOSHU(발포주)라고 적혀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 맥주가 일본 기준으로는 발포주 수준이라고 오해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데, 카스하이트 같은 대표적인 맥주들은 맥아 함량이 (제조사 주장에 따르면) 60-70% 이상 되는 멀쩡한 맥주로 실제 일본 시장에서도 맥주로 판매된다. 다만, 미국식 부가물 라거(American Adjuct Larger) 스타일 맥주라서 옥수수나 쌀 같은 나머지 재료들이 맥아 대신 발효 원료로 들어가기 때문에 가볍고 심심한 맛이 나는 것일 뿐이다. 버드와이저 같은 맥주도 맥아 함량은 70-80% 정도이고, 미국식 부가물 맥주에 해당하는 세계의 수많은 맥주들은 대체로 먹기 편한 가벼운 맛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같은 맥아 100%라도 클라우드피츠 수퍼 클리어가 완전히 다르듯 절대 함량이나 홉 등의 첨가물, 제조법에 따라 맛에 차이가 난다.

맥주의 본고장인 유럽에서는 이런 허접한 물건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있다. 세법을 우회하는 꼼수 없이도 맥주 가격이 싸기에 그다지 수요가 없는 것이지 적게나마 나오고 있고 한국에도 수입 되고 있다. 할인 행사나 재고 정리도 아닌데 상시 500ml를 1000원 남짓으로 팔고 맥주맛이 나는데 성분표시표에 제품유형이 기타주류로 되있다면 바로 유럽발 유사맥주다.

2022년 3월 30일을 기하여 신세계L&B에서도 발포주 브랜드 레츠 프레시 투데이를 런칭하며 본격적으로 경쟁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그렇게 재미를 못보고 2023년 9월 킹덤 오브 더 딜라이트라는 또 다른 발포주를 냈다.

4. 그 외[편집]


한국이든 일본이든, 해당 제품 그대로의 해외수출이 곤란한 제품군이다. 자국내 주세법을 회피해서 싸게 팔려고 만든 제품군이다보니 그 제품 그대로 수출하면 다른 국가에서는 맥주 취급을 받아서 맥주랑 똑같은 주세를 받기 때문에[9] 가격적인 메리트가 사라지고, 따라서 해당 제품군의 가격뿐인 이점이 사라지는 것. 일본에서 한국제 PB상품 제3의 맥주들이 많은데, 이 경우 일본 유통업체들이 하이트진로나 OB맥주에다가 일본 사양으로 만들도록 발주를 한 것이다. 한국에서도 해외 양조장에 발주한 레츠 프레시 투데이, 9스트리트, 산타마리아, 로얄 듀크, 킹덤 오브 더 딜라이트가 그 경우.


5. 국내 판매 발포주 목록[편집]


  • 대한민국
    • 필라이트
    • 필굿
    • OMG
    • 레츠 프레시 투데이[10]
    • 킹덤 오브 더 딜라이트[11]
  • 네덜란드
    • 9스트리트
    • 엠에프 프리미엄
    • 크로코 리얼 프레쉬
    • 로얄 듀크
  • 스페인
    • 산타마리아
    • 마츠
  • 일본
    • 드래프트 원[12]
    • 클리어 아사히[13]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4:25:36에 나무위키 발포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 법령의 용어는 엿기름. 흔히 오해하기 쉬우나 맥아에는 밀맥아를 포함한다. 또한 발아하지 않은 보리, 밀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2] 포지션상 비슷하다는 것이지 위스키는 맥주와 달리 보리맥아가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물건이 아닌 만큼 맥주와 발포주의 관계와는 거리가 있다. 버번 위스키를 비롯한 아메리칸 위스키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 그레인 위스키가 몰트 위스키보다 떨어지는 물건도 아니다. 도수를 과도하게 높여 증류하지 않는 이상 맥아가 아니라고 해도 원재료의 풍미를 담고 있는 것은 몰트 위스키와 마찬가지이기에 급이 떨어진다고 취급되지 않는다.[3] 보너스로 제조 면허의 시설 기준이 맥주는 60kL, 발포주는 6kL이다. 맥주의 시설 기준은 시가로 환산하면 3~4천만엔 정도로, 부업 삼아 시작하는 마이크로 브루어리에는 부담스러울 수 있다.[4] 여기에 해당하는 삿포로 드래프트 원이 한때 한국에도 발매되었는데 맥아가 아예 없어서 한국에서도 '맥주'가 아닌 '기타주류' 분류로 팔렸다. 하지만 가격이 4캔 만원하는 수입맥주 취급이라 메리트가 없고 이거 마시느니 제대로 된 맥주를 마시거나 맥아가 아주 조금이라도 들어갔으면서 반값인 필라이트가 나을 지경이다.[5] 럼 같은 증류주를 가리키지만 제3의 맥주에 들어가는 스피리츠는 밀가루 같은 것으로 빚는 싸구려가 많다. 이쯤 되면 제조과정이 희석식 소주 수준으로 원래 맥주와는 동떨어져 있다.[6] 여기에 해당하는 클리어아사히가 한국에 들어온 적이 있었는데 한일간 맥주의 맥아함량 커트라인이 다르다보니 한국에서는 맥주로 분류되었다.[7] 정확히는 쌀, 전분 등을 맥아의 1/2 이하.[8] 맥주의 주세는 현재 L당 220엔에서 2020년 200엔, 2026년 155엔으로 내리는 반면 맥아함량 25~50%의 발포주는 178엔에서 2023년부터 155엔으로 고정, 신 장르는 현 80엔에서 2020년 108엔, 2023년 134.25엔으로 올라 주세의 격차가 크게 줄어들 예정이다.[9] 상술했듯 '제3의 맥주' 제품인 클리어아사히가 한국에서 맥주 분류가 되어서 이렇게 되었다.[10] 정확히는 스페인 수입산을 한국에서 리브랜딩해서 파는 것.[11] 중국 OEM이다.[12] 2018년 12월에 한국에 발매되었으나, 노노재팬 이후로 급격히 취급처가 줄어서 소리소문없이 단종되었다.[13] 한국에서는 맥주 분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