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리의 문화경관 : 트리 히타 카라나 철학의 표현으로서의 수박 체계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문화유산
1991년}}}
프람바난 힌두 사원군
Prambanan
1996년}}}
산기란 초기 인류 유적
Situs manusia purba Sangiran
2012년}}}
발리의 문화경관
: 트리 히타 카라나 철학의 표현으로서의 수박 체계
Lanskap kultur Provinsi Bali: Sistem subak sebagai perwujudan dari filosofi Tri Hita Karana
2019년}}}
사와룬토의 옴빌린 광산 유적
Situs Tambang Batu Bara Ombilin
자연유산
1991년}}}
코모도 국립공원
Taman Nasional Komodo
1991년}}}
우중쿨론 국립공원
Taman Nasional Ujung Kulon
1999년}}}
로렌츠 국립공원
Taman Nasional Lorentz
2004년}}}
수마트라의 열대우림 지역
Warisan Hutan Hujan Tropis Sumatra



유네스코 세계유산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이름한국어발리의 문화경관 :
트리 히타 카라나 철학의 표현으로서의 수박 체계
영어Cultural Landscape of Bali Province:
the Subak System as a Manifestation of
the Tri Hita Karana Philosophy
프랑스어Paysage culturel de la province de Bali :
le système des subak en tant que manifestation
de la philosophie du Tri Hita Karana
국가·위치인도네시아 발리


등재유형문화유산
등재연도2012년
등재기준(iii)[1], (v)[2], (vi)[3]
지정번호1194rev

1. 개요
2. 등재 유산 목록



1. 개요[편집]


발리의 문화경관은 5개의 계단식 논과 수상사원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수상사원들은 수박(subak)이라고 알려진 수로와 둑의 관개시설 협동조합 체계의 중심이다. 수박 체계는 그 기원이 9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행복의 근거는 신·인간·자연의 조화로운 관계에 있다는 힌두교 철학인 트리 히타 카라나(Tri Hita Karana) 철학이 반영되어 있다. 트리 히타 카라나 철학은 약 2,000년에 걸친 발리 섬과 인도 간 문화교류 과정에서 탄생했으며 역사적으로 발리의 문화경관 형성에 깊게 관여해왔다. 트리 히타 카라나 철학이 반영된 수박 체계는 민주적이고 평등한 농경 방식으로, 발리 거주민들이 제한된 자원과 높은 인구밀도라는 악조건 속에서도 벼 농사를 성공적으로 지을 수 있게 해준 결정적 요인이다. 현재까지도 발리에는 1,200여개의 물 공동 관리 조직이 있으며 농민들은 비료나 농약 없이 발리에서 전통식으로 벼를 경작하고 있다.


2. 등재 유산 목록[편집]


파일:울룬 다누 바투르 사원.jpg
울룬 다누 바투르 사원

파일:바투르 호수.jpg
바투르 호수

파일:파케리산 수계의 수박 경관.jpg
파케리산 수계의 수박 경관

파일:카투르 앙가 바투카루 수박 경관.jpg
카투르 앙가 바투카루 수박 경관

파일:타만 아윤 사원.jpg
타만 아윤 사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13:46:46에 나무위키 발리의 문화경관 : 트리 히타 카라나 철학의 표현으로서의 수박 체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2] 특히 번복할 수 없는 변화의 영향으로 취약해졌을 때 환경이나 인간의 상호 작용이나 문화를 대변하는 전통적 정주지나 육지*바다의 사용을 예증하는 대표 사례[3] 사건이나 실존하는 전통, 사상이나 신조,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예술 및 문학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으로 연관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