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암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군사혁명위원회 의장
장도영
✯✯✯
군사혁명위원회 부의장
박정희
✯✯
군사혁명위원회 위원
김종오
✯✯✯
박임항
✯✯✯
김신
✯✯✯
이성호
✯✯✯
김성은
✯✯✯
정내혁
✯✯
이주일
✯✯
한신
✯✯
유양수
✯✯
한웅진

최주종

김용순

채명신

김진위

김윤근

장경순

송찬호

문재준
❁❁❁
박치옥
❁❁❁
박기석
❁❁❁
손창규
❁❁❁
유원식
❁❁❁
정세웅
❁❁❁
오치성
❁❁❁
박창암
❁❁❁
길재호
❁❁
옥창호
❁❁
박원빈
❁❁
이석제
❁❁

군사혁명위원회 고문
김홍일
✯✯✯
김동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7em"
예비 해


박창암
朴蒼巖


파일:박창암3.png

출생
1923년 5월 15일
함경남도 북청군
사망
2003년 11월 10일 (향년 80세)
본관
경주 박씨

만주(滿洲), 허주(虛舟), 농부(農夫)
학력
연길사범학교
경력
간도특설대
건국동맹 군사분맹
군사영어학교 제1기
조선인민군
국가재건최고회의 혁명검찰부장
최종계급
준장 (대한민국 육군)

1. 개요
2. 생애
3. 가족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군인, 유사역사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만주(滿洲), 허주(虛舟), 농부(農夫).


2. 생애[편집]


1923년 5월 15일 함경남도 북청군에서 출생했다. 연길의 연길사범학교를 나와 교직에 있다가 1943년 만주군간도특설대에 입대하였다.

간도특설대 복무 경력에도 불구하고 박창암은 민족문제연구소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중국 허베이 성에서 만주군 하사관으로서 만군 조종사 박승환이 주도한 항일 조직인 건국동맹 군사분맹에 가입하여 활동했기 때문이다.

1945년 월북하여 건국준비위원회에서 활동하다가, 1946년 군사영어학교에 제1기로 입교하였다. 같은 해, 북파되어 조선인민군 창군 작업에 관여하고 인민군 수뇌부로 활동하다가 체포되었다.

1948년 북한을 탈출, 1949년 육군 중위로 특별임관하였다. 1951년 대한민국 최초의 정규 특수부대인 육군본부 직할 특수부대 9172부대 근무하였다. 1952년 미국 특수전학교를 수료하고 같은 해 항일 공산 게릴라 전문 토벌 부대 간도특설대의 경험을 살려 제주도 공비 토벌을 지휘하였다.

1961년 박정희5.16 군사정변에서 사관생도의 혁명지지를 선동하였고, 이러한 조력을 토대로 쿠데타가 성공한 후, 국가재건최고회의 혁명검찰부장으로 활동하였다. 1963년 1월 준장으로 진급과 동시에 예편하였다.

1963년 혁명공약에 따른 원대복귀를 요구하다 김동하, 박임항 등과 함께 반혁명사건에 연루되어 숙청되었다.

1968년부터 반공정신을 고취하고 민족사관을 확립하기 위해 월간 《자유》를 발간하였다.[1]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기도 의정부시--파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박명근 후보와 친여 무소속 이진용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6년 국사찾기 협의회를 조직, 국사찾기운동을 전개하였고, 이유립을 통해 가짜 역사서인 환단고기를 전파하는데 일조하였다. 이는 일제의 만선사관 등의 영향으로 보인다. 그는 일본의 괴뢰국 만주국의 군인으로서 일본의 여러 중국으로부터 만주를 분리하기 위한 역사 작업들을 접할 기회가 다른 이들보다 특히 더 많았을 것이다. 그리고 만주를 중국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동북공정[2]같이 역사를 활용한 최초의 국가가 일본이라는 점과, 친일파 최남선이 환빠들과 같은 실지회복주의와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점[3]은 이런 그의 행동을 분석하는 데 좋은 도구가 될 수 있다.

2003년 11월 10일 사망하여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3. 가족[편집]


2남 1녀를 두었다. 장남 박청권은 육군사관학교를 나와 육군 대령을 지냈으며 그 아들인 박정식 또한 학군 출신으로 소위로 임관하여 3대째 장교로 임관했다. 차남 박청인은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를 나와 뉴욕 주립대학교 환경임학대학(SUNY-ESF)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한경대학교 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22:58:15에 나무위키 박창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시 '자유'지에 '예비군방위의 절대치'를 기고해 김대중의 예비군 폐지 공약에 반박한 장호강은 박창암의 반혁명사건 시절 심판관을 맡은 인연이 있다.[2] 동북공정의 기원은 일본의 만주 분리 작업을 위한 역사 연구에 대항한 중화민국의 민족지 연구이다.[3] 주권과 순수성-만주국과 동아시아적 근대, 프래신짓트 두아라 지음, 한석정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