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진의사생가

덤프버전 : (♥ 0)

울산광역시 북구 송정동에 위치한 박상진의사 생가
송정 박상진 의사 생가
松亭朴尙鎭湖水公園 | Songjeong Park Sangjin Lake Park


주소울산광역시 북구 송정동 355
개원연도2007년
분류역사공원
개방 기간매주 수요일~일요일
개방 시간09:30-17:30
이용료무료
소유자울산광역시 북구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상세
3. 오는 길
3.1. 주차장
3.2. 버스
4. 안내도 및 시설
4.1. 송애정사
4.2. 봉산정
4.3. 양전재
4.4. 기념동상마당
4.5. 박상진의사 생가 내부
4.6. 돌담쉼터
4.7. 고헌 메모리얼 언덕
4.8. 화장실
5. 기타



1. 개요[편집]


파일:KakaoTalk_20240522_152848079.jpg
송정 박상진의사 생가

파일:KakaoTalk_20240522_152848570.jpg
송정 박상진의사 생가의 입구

파일:KakaoTalk_20240522_152849539.jpg
송정 박상진의사 생가 내의 박상진의사 생가 공원내의 박상진의사 동상

파일:KakaoTalk_20240522_152849040.jpg
송정 박상진의사 생가 내의 박상진의사 생가 내의 박상진의사 생가 전시관

송정 박상진 의사 생가 소개 영상
박상진의사생가(朴尙鎭義士生家)는 울산광역시 북구에 있는 독립유공자(독립 운동가)로 활약하던 고헌 박상진(1884∼1921)이 태어나고 자란 고택이다.


2. 상세[편집]


독립운동가 박상진(1884~1921) 의사가 살았던 곳이다. 대지주였던 박상진 의사는 모든 재산을 독립운동 자금으로 사용하여 집안이 몰락하고 이 집도 남의 손에 넘어갔으나 2002년 울산시가 매입하여 2007년 복원 정비 사업을 완료하였다. 사랑채, 안채 등 모두 6동의 건물로 이루어진 기와집으로, 전체적으로 볼 때 ㅂ자 구조를 가진 조선 후기 양반 살림집이다.
박상진 의사는 1902년 허위에게 한학을 배운 후 양정의숙에 진학, 법률과 경제를 전공하고, 판사 시험에 합격하여 평양법원에 발령되었으나 사퇴했다. 그 후 독립운동에 참여해 1915년 조선국권회복단과 대한광복회 결성에 앞장섰다. 만주에서 독립군을 양성하고 대한광복회 총사령을 맡아 활동하였다. 1918년 어머니가 위독하시다는 소식을 듣고 고향으로 오는 길에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고, 1921년 38세의 젊은 나이로 대구형무소에서 처형되었다. 이후 국권 회복과 항일투쟁에 앞장선 공로를 기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 하였다.
박상진 의사 역사공원을 조성하면서 밀양박씨 송정문중의 소유였던 서당건물 봉산정사, 송애정사, 양정재를 이전 복원하였으며 박상진의사 생가 전시관을 세웠다. 독립투사의 업적을 기리고 추모하는 마음으로 방문하기에 뜻깊은 곳이다.


3. 오는 길[편집]



3.1. 주차장[편집]


파일:박상진의사생가 주차장.jpg
송정 박상진 의사 생가 주차장
모든 주차장은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3.2. 버스[편집]


  • 박상진의사 송정 역사공원
(40383) ,(40360)


4. 안내도 및 시설[편집]



4.1. 송애정사[편집]



4.2. 봉산정[편집]



4.3. 양전재[편집]



4.4. 기념동상마당[편집]



4.5. 박상진의사 생가 내부[편집]



4.6. 돌담쉼터[편집]



4.7. 고헌 메모리얼 언덕[편집]



4.8. 화장실[편집]




5. 기타[편집]



북울산역(박상진 생가)
https://namu.wiki/w/%EB%B6%81%EC%9A%B8%EC%82%B0%EC%97%AD

박상진 의사의 호는 고헌이다.
박상진 의사의 호를 따서 송정중학교에서 고헌중학교로 바뀌었다.
https://namu.wiki/w/%EA%B3%A0%ED%97%8C%EC%A4%91%ED%95%99%EA%B5%9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3 01:01:30에 나무위키 박상진의사생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