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후연구원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3. 연봉
4. 하는 일
5. 해외 포닥 지원시 고려할 사항


1. 개요[편집]


박사후연구원(博士後硏究員)은 박사 학위를 받은 사람이 대학교 또는 그 부설 연구소, 또는 각종 연구기관(연구원) 등에 소속되어 전공 분야와 관련한 주제로 연구를 하면서 고정급을 받는 계약직 연구원을 칭하는 말이다.


2. 상세[편집]


Post Doctor, Post-doctoral fellow, Post-doctoral researcher, Postdoctoral researcher, Research associate 등으로 칭한다[1].

한국에서는 포스트 닥터를 포닥으로 줄여 칭한다. 한국의 연구교수는 포닥의 연장선 혹은 시니어 포닥을 지칭하는 용어로도 사용되고 있다.

박사 학위를 받은 후에 해당 전공 분야를 좀 더 깊숙이 탐구하거나, 교수 지원 자격을 충족[2]시키기 위해 지원을 하며, 이후 정식 교수연구원이 되는 과정이라 볼 수 있다. 보통은 본인이 박사 학위를 취득한 연구실에 그대로 남는 경우가 많지만, 박사 졸업 직후 타 연구실이나 대학으로 가기도 한다.


3. 연봉[편집]


일반적으로 국내 포닥은 연봉은 자대에서 할 경우 엄청나게 짠 경우가 있는데, 다만, 정출연에서 할 경우 기본 5000만 원 전후의 연봉이 발생하고 연구수당 및 성과금은 +@[3]이다. 따라서 국내 포닥이 딱히 연봉이 짠 편은 아니며, 후술하는 서구권 포닥에 비해 반드시 밀리는 정도는 아니다. 서구권의 포닥 연봉이 상대적으로 높으며[4] 연구환경이 우월한 편[5]이라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국외 포닥을 선호한다. 국내에서 포닥을 한다고 하면 국내 교수나 국내 연구소 정규직을 주로 노리는 것[6]이거나 운이 없거나[7], 개인적인 사정이 있거나[8] 등 이유는 많으니 국내 포닥이라고 능력이 없는 것은 아니다.


4. 하는 일[편집]


1. 연구

어떤 연구소/연구실이건 연구 프로젝트를 한 개만 돌리지는 않는다. 따라서 여러 프로젝트를 돌리다 보면 당연히 인력난 문제가 발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대학원생포닥이다. 포닥의 경우 원생보다 인건비가 비싸긴 하지만, 원생보다 연구에 숙련도가 높기 때문에 연구비가 충분한 곳의 경우 적정 수의 포닥을 고용하려 한다.

2. 교육

지도교수가 모든 학생들에게 집중적인 지도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중간관리자의 일을 맡기는 경우도 많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업을 진행하는 포닥도 있으나, 이는 주로 계약서에 수업을 할 것이 명시된 케이스다.

3. 기획

박사후연구원의 필수적인 능력 중 하나이다. 새로운 프로젝트의 제안서 혹은 기획서를 작성해야하며, 큰 그림을 그려야하는 자리에 있기 때문에 기획 능력이 필수적이다.


5. 해외 포닥 지원시 고려할 사항[편집]


1. 연구비/연구기금

포닥은 교육과정이 아닌 직업으로써 유학비자가 아니라 취업비자를 받는다. 즉, 사람이 먹고사는 문제부터, 근무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연봉의 경우는 앞서 언급된 이유로 그 지역 평균(표준)치에 해당하면 신경쓸 일은 아니나, 해당 연구소/연구실의 재정상황이 얼마나 안정적인지 고려할 필요는 있다. 연구책임자가 짤리거나 돈 끊어져서 해고당하는 국외 포닥들이 생각보다 매우 많기 때문이다.

2. 연구실의 실적/연구방향

포닥은 임시적인 직업이지, 영원한 직업이 될 수 없다.[9] 국적 불문하고 연봉이 개인 생활이 되면서 조금 남는 형태이고[10], 계약직으로서 연차가 쌓일수록 인건비가 상승하므로 연차가 쌓일수록 다음 포닥 자리를 구하기 힘들어진다. 그래서 포닥으로 근무하게 되는 연구실에서 최고의, 최선의 실적을 쌓아야 하며, 본인의 캐릭터를 만들어야 하기[11] 때문에 연구성과와 연구 방향성을 고려해야 한다.

3. 빠른 적응과 계약 갱신을 위한 노력

해외의 경우 Probation Report[12]를 근무 시작 초기 몇개월 후 작성하는 곳이 있다. 고용주가 해당 포닥과 일을 하기 싫으면 이때 기존 계약서와 상관없이 해고할 권한이 주어진다. 그러니 해외 포닥 갔다고 처음에 즐길 생각에 일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계약에 따라서 매년 계약을 갱신하는 형태도 존재하니 국내 대학원생 시절까진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열심히 연구해야한다.

4. 정규직을 얻기위한 치열한 경쟁

국적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어느 나라건 상관없이 구천을 떠도는 박사들은 널리고 널렸다[13]. 그래서 해외포닥 간다고 불행 끝 행복 시작이라 생각하지 말자.

5. 정규직은 복잡한 변수를 거쳐서 얻을 수 있다. 즉, 기본스탯+능력치+운빨이다.

하이브레인넷 게시판 보고 학벌이 어떻고, 실적이 어떻고 말이 많으나 반은 걸러듣자. 학계의 정규직 채용은 대학 정시모집과 다르다. 일단 기본적으로 실적을 잘 쌓아야 지원자격이 되며, 서류 통과 확률이 높아지니 좋은 실적은 기본값이라 생각하면 된다. 그 이후에 면접시 태도 및 발표능력, 학교/연구소 사정 등 여러 변수들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합격자가 결정된다. 그러니 하이브레인넷에서 말하는 스탯이나 학벌과 관련해서는 어느 정도 걸러 듣고, 하고 싶으면 도전해 보자. 그분들 말대로라면 국내 교수들 중 비SKP 국내 박사 출신 중 상당수는 채용비리일 텐데 실상은 그렇지 않다.즉 항간에 떠도는 이야기들과 실제에는 어느 정도 차이가 존재한다. 추가로 박사후 연구원 혹은 교수채용 공고는 석박사 잡스도 확인해보자. 꽤나 보기 편한 디자인에 다수의 공고 및 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된다.

6. 외국어 적응
국내 박사들의 경우 아무리 원서로 전공공부를 했고, 영어논문을 작성했어도 일상에서는 주요 단어만 영어고 결국엔 한국어 중심의 커뮤니케이션을 한 사람들이다. 그래서 국내 박사가 국외 포닥 근무를 시작하게되면 어학능력이 어지간히 출중하지 않은 이상[14] 처음에 언어문제로 고생하는 것은 필연이다. 이때 크게 세 부류로 나눠지는데 더 현지인들과 대화하려 하면서 적응하려는 그룹, 한인커뮤니티부터 찾는 그룹[15], 그냥 생각하기를 포기하는 그룹이다. 결국 국외포닥은 외국 연구환경에서 근무하는 형태이니 어떤 것이 가장 적절한 처신인지는 말 하지 않아도 알 것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21:35:09에 나무위키 박사후연구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결국 하는 일은 같으나, 포닥 고용 형태에 따라 크게 Fellow와 Associate로 나눠진다. 일반적으로 Fellow의 경우는 어떤 기금으로 부터 생활비 및 연구활동비를 지원받는 형태이고, Associate의 경우는 직원 채용과정을 통해서 연구소/연구실의 인건비 예산으로 활동하는 형태이다.[2] Fresh박사의 경우는 추가 연구이력이 필요하고, 기존 포닥의 경우는 경력을 유지하며 논문실적을 쌓으면서 지원할 기회를 노려야 하기 때문이다.[3] 케바케지만 이게 1천 가까이 실적에 따라서는 그 이상 발생한다.[4] 국적 불문하고 포닥 1인이 그 지역에서 생활하면서 해외여행 연 1-2회 정도 갈 수 있는 연봉을 준다. 유럽에서도 연봉 1억 원 넘게 포닥 인건비가 잡힌 곳은 스위스를 비롯하여 몇 없고 그 돈을 주는 건 다 이유가 있다.그러니까 연봉계산은 의미 없으니, 연구환경 좋은 것이 최고다.[5] 실험장비가 더 좋은 경우도 있지만, 가장 큰 것은 연구 네트워크가 아무래도 국내보다는 국외가 더 활발해서 좋은 논문을 쓸 기대값이 높다. 이는 교수채용 과정에서 논문 실적이 중요한 변수라 중요하게 여기는 변수가 된다.[6] 대통령 Post-doc이나, 세종 펠로우십과 같이 매우 큰 기금을 물어서 교수직에 유리한 가산점을 받을 수도 있는 프로그램도 있으며, 투자가 많이 이뤄지는 산업의 경우 국내 연구실 환경이 더 좋은 경우도 있다. 혹은 교수나 선배 등 인맥의 도움을 받는 경우도 있다.[7] 논문 실적이 좋다고 무조건 해외 나가기 쉬운 게 아니다. 운이 없으면 해당 분야의 국외 포닥자리의 씨가 마르는 경우도 비일 비재하다.[8] 대표적으로 개인 또는 배우자의 향수병 문제가 있다.[9] 국내법에 의하면 박사 학위 수여 후 5년까지 법적 지위를 인정 받는다. 다만, 5년 내내 고용해준다는 건 아니고, 포닥공고에 지원할 수 있는 게 5년 이내라는 의미. 사실 박사 졸업을 교수가 함부로 안 시켜주는 이유 중 하나다. 실적없이 던져졌다가 포닥 기간만 소모하게 될 수 있다.[10] 그래서 가족과 같이 해외나가면 해외통장에 마이너스가 찍히는 경우가 흔하다.[11] 국내교수 지원 시 기존 업계 교수들과의 차별성이 어느 정도는 있어야 면접 시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12] 해당 연구소/연구실의 신입이 받아야 될 안전/시스템 교육을 받았는지 점검하면서 초기 적응상태를 확인하는 보고서 작성이다. 여기에 같이 일할 만한 사람인지 상급자가 평가하는 항목이 있다.[13] 서구권에서도 2nd포닥, 즉 두 번째 포닥까지 가는 건 어느 정도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생각하고 그 이상도 흔하다. 학계에서 정규직 얻기가 국적불문하고 그만큼 힘들기 때문.[14] STEM 계열의 해외 취업문이 타 분야에 비해 낮은 편이며, 취업비자 시 필요한 어학성적도 유학비자보다는 널널한 편이다.[15] 한인커뮤니티 자체는 좋은 곳이지만, 만약에 연구소 사람들과의 관계가 적응이 되지 않아서 한인커뮤니티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되면 문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