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국에서 흔히 쓰이던 무기에 대한 내용은 대도(무기) 문서
대도(무기)번 문단을
대도(무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박도
朴鍍 | Park-do


출생
1945년
경상북도 구미시
거주지
강원도 원주시 치악산[1]
국적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본관
밀양 박씨
학력
구미초등학교 (졸업)
구미중학교 (졸업)
중동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국문학과 / 학사)

1. 개요
2. 생애
2.1. 학창 시절
2.2. 교사 시절
2.3. 작가 및 언론인 시절
3. 저서
3.1. 장편소설
3.2. 산문집
3.3. 역사유적답사기
3.4. 근현대사 사진집
3.5. 어린이 도서
4.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작가이자 언론인.


2. 생애[편집]




2.1. 학창 시절[편집]


1945년,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태어났다. 이후 구미초등학교, 구미중학교를 다녔다. 이후 서울로 전학을 가 중동고등학교를 다녔으며, 동아일보 세종로보급소 관할 종로구 사직동 신문배달원이였다고 한다. 이후 고려대학교 국문학과에 합격하여 다녔다.


2.2. 교사 시절[편집]


여주제일중학교, 오산중학교, 중동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부속고등학교에서 무려 33년간 교직 생활을 했다고 한다. 또한 1988년에는 노태우 정부 100일 기념으로 '보통교사'로 초청된 적도 있다고 한다.


2.3. 작가 및 언론인 시절[편집]


한국작가회의 회원이자 오마이뉴스 기자가 되었으며, 치악산에 박도 글방을 만들어 글쓰기에 전념하고 있다.


3. 저서[편집]




3.1. 장편소설[편집]


  • 『사람은 누군가를 그리며 산다』
  • 『용서』
  • 『허형식 장군』
  • 『전쟁과 사랑』


3.2. 산문집[편집]


  • 『비어 있는 자리』
  • 『일본기행』
  • 『안흥 산골에서 띄우는 편지』
  • 『그 마을에 살고 싶다』
  • 『백범 김구 암살자와 그 추적자』
  • 『어느 해방둥이의 삶과 꿈』


3.3. 역사유적답사기[편집]


  • 『항일유적답사기』
  • 『누가 이 나라를 지켰을까』
  • 『영웅 안중근』


3.4. 근현대사 사진집[편집]


  • 『지울 수 없는 이미지』(전 3권)
  • 『나를 울린 한국전쟁 100장면』
  • 『사진으로 엮은 한국독립운동사』
  • 『일제강점기』
  • 『개화기와 대한 제국』
  • 『미군정 3년사』


3.5. 어린이 도서[편집]


  •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정부입니다』
  • 『김구, 독립운동의 끝은 통일』
  • 『독립운동가, 청년 안중근』


4. 여담[편집]


  • 중동고등학교 재학 시절, 동아일보의 신문을 배달하는 배달부였다고 한다.
  • 박도의 선부께서는 박정희의 형인 박상희와 친분이 두터웠다고 한다.
  • 대한민국 대통령 무려 여섯명과 여러번 악수를 나눈 적이 있다고 한다.[2]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20:53:16에 나무위키 박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글쓰기에 전념하기위해 갔다고 한다. 또한 자신의 저서에서 역사적 인물들을 평가할때, 스스로를 '강원도 산골의 한 서생'이라 칭하기도 한다.[2] 특히 노태우노태우 정부 시절, 보통교사로 초청되어 임기 중에 만났다고 한다. 당시 박도는 작가나 언론인이 아닌 교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