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자전국회의

덤프버전 :

1. 개요
2. 역사
3. 여담


1. 개요[편집]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서 활동하는 NL 계열 활동가들의 의견 그룹. 약칭은 전국회의다. 원래 국민파의 일원으로 여겨졌으나 2020년 타 국민파를 공개비판하고 민주노총 위원장 후보를 독자 출마시키면서 현재는 국민파와 별개 정파로 취급된다.

2. 역사[편집]


1999년부터 국민파 활동가들이 서로 연대하기 시작해 2001년 공식 출범했다. 출범 당시부터 20개의 현장 정치조직과 700여명의 미조직 활동가들이 연합해 국민파는 물론 민주노총 최대 활동가 그룹이었다. #

큰 규모와 뛰어난 조직력을 앞세워 민주노총 간선 4~6기 집행부를 장악했지만, 여러 사건 사고로 2013년 민주노총에 반 전국회의 바람이 불면서 간선 7기는 비정파 연합, 2015년 직선 1기는 현장파-중앙파 연대에 밀려 고배를 마셨다. #

2014년 통합진보당 해산으로 통진당의 정치 활동가들이 대거 노동운동에 투신, 건설노조학비노조, 마트노조, 택배노조 등에 포진했고 이들이 전국회의로 결집하면서 이전보다 NL 성향과 강성 투쟁 성향이 한층 더 진해졌다.

2020년 비 전국회의 국민파인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이 노동권을 대폭 양보하는 노사정 대타협을 체결하려다가 현장파에게 감금당한 뒤 사퇴하는 사건이 있었는데, 이때 김명환을 강도 높게 비판하면서 타 국민파와 사이가 벌어지기 시작했다. 결국 2020년 민주노총 직선3기 임원선거에서 타 국민파(노연-혁신연대 계열)와 별도로 양경수 후보조를 내 당선시켰고, 이때부터 국민파가 아닌 별개 정파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2023년 민주노총 직선4기 임원선거에서 양경수 위원장이 재선에 성공하면서 조직력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


3. 여담[편집]


  • NL 성향답게 대화와 토론보다는 패권을 중시하는 모습을 보여 중앙파와 현장파, 비정파 활동가들의 거부감이 심하다. 2023년 직접선거 당시 일부 중앙파, 현장파 성향 그룹에서는 "전국회의 후보에 투표 금지"를 결의하기도 했을 정도다.
  • 2023년 민주노총 직접선거에서는 "압도하라 민주노총"을 구호로 삼았다. 이 구호를 내건 선본이 있다면 전국회의 주도로 구성된 곳이다.
  • 당연하겠지만 진보당을 지지하며 매우 친밀한 모습을 보인다. 전국회의가 강세인 건설노조, 학비노조, 택배노조, 마트노조 등은 진보당을 배타적 지지하고 있으며, 간부는 물론이고 많은 조합원들이 진보당에 당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 민주노총은 2023년 임시대의원회에서 "양대 친자본 정당[1] 및 이들과 연대하는 정당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총선 방침을 결의했는데, 2024년 2월 진보당이 더불어민주연합에 참여하면서 진보당 지지자이자 당원인 전국회의 계열 민주노총 집행부가 공식적으로 진보당 지지 철회를 발표해야 할 상황에 처했다. 특히, 중앙파와 현장파가 연합해 진보당 지지 철회 서명운동을 전개하면서[2] 총연맹 집행부는 더더욱 코너로 몰리는 모양세가 됐다. 결국 3월 4일 민주노총 집행부는 민주노총 지지 총선후보를 결정하는 중앙집행위원회 회의에서 노동당 후보 1명만 승인하고 나머지 후보들에 대한 심의를 보류하는 등 눈치 게임에 들어갔다.[3][4]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3-19 11:59:58에 나무위키 민주노동자전국회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2] 무려 민주노총 1~2위 산별인 공공운수노조금속노조 위원장이 함께 연명했다. 두 위원장이 각각 현장파, 중앙파이기 때문.[3] 그러나 눈치게임보다는 태생부터 민주노총 방침을 무시한 녹색정의당을 지지 정당에서 제외하기 위해 이미 더불어민주연합에 합류한 진보당까지 표면적으로는 제외하겠다는 초강수라는 의견도 있다. 어차피 진보당은 비례대표를 보장받았고 지역구도 민주당과 단일화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손실이 크지 않을 것이기도 하니까.[4] 이후 3월 18일에 대의원대회가 열렸는데... 자세한 내용과 파행은 녹색정의당 항목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