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호강

덤프버전 :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강

[ 한반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아시아 ]
아시아
중국
황하 · 장강 · 회하 · 황푸강 · 주강 · 송화강 · 요하 · 한수 · 위수 · 타림강 · 펀허강 · 하이허 · 호타하 · 목단강
일본
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아라카와강 · 시나노강 · 도네강 · 덴류강 · 모가미강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가와 · 쿠즈류가와
대만
아이허
동남아시아
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이라와디강 · 똔레쌉 · 카푸아스강 · 뱅완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 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 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남아시아
갠지스강 · 인더스강 ·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서아시아
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톤레산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중앙아시아
추 강 · 일리 강
북아시아 · 몽골
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유럽 ]
유럽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 강 · 마른 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 강 · 론 강 · 가론 강 · 에브로 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 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 강 · 엘베강 · 오데르 강 · 비스와 강 · 이손초 강 · 부크 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 강 · 다우가바 강 · 드니프로강 · 네바 강 · 모스크바 강 · 바트강 · 베저 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 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 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 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 강 · 옴강 · 레크 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 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 강 · 남부크 강 · 사바 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 강 · 블타바 강 · 빌렌 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 강 · 마리차 강 · 머지 강 · 메드웨이강 · 세번 강 · 트렌트 강 · 네카어강 · 모젤 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 강 · 도루 강 · 후카르 강 · 알리에 강 · 도르도뉴 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아프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아메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오세아니아 · 남극 ]



미호강
美湖江 | Mihogang

[1]

1. 개요
2. 미호강의 교량
3. 사건사고



1. 개요[편집]


금강의 제1지류로 갑천과 함께 가장 대표적인 금강의 지류 하천이다. 길이는 89.2km, 유역면적은 1,860.9㎢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마이산 서쪽 우물에서 발원하여 충청북도 진천군, 청주시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을 거치며 행정중심복합도시로 흘러 세종동합강동의 경계에서 금강에 합류한다.[2] 지류하천으로는 백곡천, 보강천[3], 무심천, 석남천, 병천천, 조천, 칠장천[4], 마송천[5] 등이 있다.

19세기까지는 지역별로 서로 다른 이름으로 불렀다. 청안에서는 반탄(潘灘), 진천에서는 주천(注川), 청주에서는 작천(鵲川) 또는 망천(輞川), 연기에서는 동진강(東津江) 등. 오늘날 쓰고 있는 미호강이라는 이름은 세종시 연동면 예양리에 있는 미꾸지라는 지명이 미곶진(彌串津→美串津)으로 음차되다가 20세기 들어 미호진(美湖津)으로 바뀌고 하천 이름에까지 붙은 것이다.

주로 충청북도 중부 지역을 흐르며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특히 청주 일대의 평야는 충북에서 가장 큰 평야라서 농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하지만 현재는 상류는 물론 하류 일대까지도 점차 농업이 축소되고 공업 지역이 늘어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상류인 음성군과 진천군 일대는 현재 충북 내에서 가장 인구가 빠르게 늘고 있는 지역으로 각종 개별 공장 및 산업단지가 산포해 있다. 이후 중류 지역인 청주 일대는 현재 충북에서 가장 큰 오창읍에 조성된 오창과학단지, 오송읍 일대의 오송1•2•3산업단지 등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금강과의 합류 지점인 세종시에서는 미호강변 5•6생활권의 본격 개발을 앞두고 있다. 이 때문인지 수질은 현재 그닥 좋지 못하다. 상류 지역에서 공업 폐수는 물론 축산 오폐수가 유입되기 때문인데 언론에서도 이 점을 지적한 바 있다. 또한 후술된 내용처럼 강 자체에 준설이나 관리를 하지 못해 최근들어서 엄청난 수해를 입고 있다.

청주 일대에서는 오창읍, 오송읍 등과 옛 청주시 지역이 미호강을 경계로 남북으로 나뉘어있다. 옥산면 등에서는 미호강을 건너는 다리가 오랜 기간 한 개뿐이어서 교통체증을 겪기도 하였다. 지금은 도로 확장과 입체화로 사정이 많이 나아진 편. 조선시대에도 이 강을 기준으로 면이 나뉘었으며 '서강내~면', '서강외~면', '북강내~면', '북강외~면' 식으로 이름까지도 서강/북강(미호강)을 기준으로 붙였다. 그 흔적이 지금도 내면, 옛 외면(현 오송읍), 서1·2동에 남아있다.

미호강 일대에만 서식하는 미호종개라는 고유 멸종위기종이 있다.

한국에 도래하는 황오리들의 절반이 미호강에서 겨울을 보낸다.

일제강점기 이래로 '미호천'이라고 불려 왔으나, 2022년 7월 7일 환경부고시 제 2022-132호에 따라 미호강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충북 지역민과 정치권에서 개명하자는 여론이 있었으며, 충북도와 청주시 등이 정식 개명 전부터 미호강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일제는 한반도에 있는 강에 이름을 붙일 때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중요하천의 본류는 접미사로 강()을,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본류나 중요하천의 제1지류 이하에는 접미사로 천()을 붙였고 이것이 관습으로 굳어지면서 이렇게 된 것이다. 하지만 미호강은 임진강과 비슷하게 지류 치고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편이었기 때문에 천을 강으로 개명하자는 여론이 이어져왔던 것이다.

2. 미호강의 교량 [편집]


  • 미호천교, 미호교 등의 이름이 굉장히 많이 중복된다.
  • 일부 농어촌 지역의 작은 다리는 생략하였다.
금강에 합류
세종특별
자치시

합강
교차로

월산교
(연청로)

월산
교차로
세종청사
방면

보롬교
(한누리대로)

오송역
방면

연기천

월하천

조천
신탄진역
내판역

미호천철교[6]
(경부선)

조치원역
예양리
방면

미호교
(청연로)

오송읍
방면
예양
교차로

미호대교
(세종오송로)

오송
교차로
청주시
대전역
공주역

고속철도철교[7]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오송역
탑연
삼거리

미호천교[8]
(가로수로)

궁평1
교차로
오송역

미호철교
(충북선)

청주역
수석천
병천천
옥산
하이패스


미호천교
(경부고속도로)

청주
IC

청주역
방면

미호천교
(오송가락로)

옥산
방면
청주역
방면

옥산교
(청주역로)

옥산
방면
석남천
서청주
IC


남촌교
(중부고속도로)

오창
IC

원평
교차로

미호천교
(LG로)

엘지
교차로
무심천
공항
교차로

공항대교
(오창대로)

오창
IC

공항
교차로

팔결교
(공항로)

가곡
삼거리
팔결교
삼거리

팔결교
(팔결로)

가곡
삼거리
석화천

성암천
보강천
진천군
진암
사거리

여암교
(중부로)

증평
IC

진암리
방면

여암교
(구정로)

증평
IC

진천
IC


여천교
(중부고속도로)

증평
IC

연담리
방면

은탄교
(은진로)

은탄리
방면
화산리
방면

초평교
(평화로)

평산리
방면
증평
IC


초평1교
(중부고속도로)

진천
IC

농다리

백곡천
용정
교차로

오갑교
(신초평로)

석탄
교차로
오갑
삼거리

초평교
(초평로)

석탄
사거리
영주원
사거리

미호1교
(교연로)

중석
사거리
한천
인산
삼거리

가산교
(덕금로)

가산
삼거리
산수
교차로

가산교
(진성로)

가산
교차로
대소
JC


중부고속도로
교량


진천
IC

신월
교차로

중산대교
(생거진천로)

사곡
교차로
신월리
방면

중산교
(중미로)

중산리
방면
신월리
방면

장양교
(장양길)

장양리
방면

장양천

금곡천
신월
교차로

사당교
(생거진천로)

장양
교차로
미잠리
방면

미잠1교
(이덕로)

사당리
방면

칠장천
미잠리
방면

미리실교
(미리실길)

미잠리
방면
음성군
진천
IC

금왕
꽃동네


대소JC교량
중부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북진천
IC

대소
IC

삼정리
방면

삼호교
(한삼로153번길)

삼호리
방면

성산천
삼정리
방면

오산1교
(오태로116번길)

오산리
방면
대소
면사무소

오산교
(오태로)

대소초
방면
대소
면사무소

태생교
(대금로)

오산
사거리
태생리
방면

천평교
(대성로)

천평리
방면
도청천
천평
보건지소

천평3교
(대성로)

천평리
방면
선정리
방면

건정교
(선정로)

천평리
방면
덕정리
방면

가동교
(대성로546번길)

용성리
방면
김정
사거리

덕정교
(금일로)

삼성
사거리
음성군 삼성면에서 발원


3. 사건사고[편집]


강 하류인 청주시세종특별자치시에 개발이 많이 진행된 반면, 강에 대한 대책이 미흡한지 매 해 장마철마다 주변에 홍수를 몰고와 주변지역이 큰 피해를 입고 있다.


3.1. 제방 붕괴 및 청주 궁평2지하차도 침수 사고[편집]


2023년 여름 한반도 폭우 사태 때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대 제방이 무너지면서 근처 궁평2지하차도로 물이 유입되어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해당 사고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이는 사실상 인재에 가깝다고 보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7:06:31에 나무위키 미호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진에 청주역과 KTX 오송역의 위치가 바뀌어 있다.[2] 세종특별자치시 개발 이전에는 연기군 남면 월산리와 동면 합강리, 금남면 봉기리(현 집현리 일부)에 속했다. '합강리(合江里)'라는 이름 자체도 미호강과 금강, 두 강이 합류한다는 데서 유래되었다.[3] 충북 괴산군 사리면 모래재 서편인 중흥리에서 발원 증평군을 지나 청주시 북이면에서 미호강과 합류 괴산군 서쪽인 사리면과 청안면 즉 모래재 서편은 금강수계이며 하천길이는 21.9km이다.[4]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산에서 발원하여 광혜저수지를 지나 진천군 광혜원면. 음성군 대소면을 거쳐 진천군 이월면에서 미호강과 합류[5] 충북 음성군 원남면 마송리 한금령 남쪽에서 발원 원남저수지를 지나 진천 초평저수지에서 미호강과 합류 즉 음성 서쪽과 남쪽인 삼성면 대소면 맹동면 그리고 원남면 일부인 보룡리 마송리 문암리는 금강수계이다.[6] 이 다리는 교각이 22개라 하여 스물두강다리라고도 부른다.[7] 사실 오송역부터 계속 고가 형식으로 되어 있어 철교라고 하기에는 조금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그래도 도강을 하는 만큼 일단 적어놓았다.[8] '미호천교'라는 이름의 교량이 4개 있는데, 청주 궁평2지하차도 침수 사고와 관련된 미호천교는 이 교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