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일 스코로두모프

덤프버전 :

파일:나치 독일 국장(화이트).svg 독일 국방군의 장성급 장교

[ 펼치기 · 접기 ]
{#fff 상급대장 ^^OF-9^^[br]{{{-1 ''Generaloberst / General admiral''[br][[파일:Si_4a.png / [[파일:130px-WMacht_Lw_OF9_GenOberst_1945.png
육군
상급대장
한스 폰 젝트 | 쿠르트 폰하머슈타인에크보르트 | 게오르크 린데만 | 베르너 폰 프리치 | 루트비히 베크 |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 | 프리드리히 프롬 | 하인츠 구데리안 | 오이겐 리터 폰 쇼베르트 | 쿠르트 하제 | 에리히 회프너 | 프란츠 할더 | 헤르만 호트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 고트하르트 하인리치 | 알프레트 요들 | 로타르 렌둘릭 | 에르하르트 라우스 | 에버하르트 폰 마켄젠 | 요하네스 프리스너 | 한스 위르겐 폰 아르님 | 에두아르트 디틀 | 카를 힐페르트 | 니콜라우스 폰 팔켄호르스트
공군
상급대장
쿠르트 슈투덴트 | 에른스트 우데트
해군
상급대장
알프레트 잘베히터 | 오스카 쿠메츠 | 한스 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 | 빌헬름 마르샬 | 발터 빌헬름 율리우스 바르체하
병과대장 OF-8
General der Waffengattung / Admiral
파일:Si_4b.png / 파일:200px-WMacht_Lw_OF8_GenWaGtg_h_1945.svg.png / 파일:AA-3A.png

육군
병과대장

보병대장
프란츠 마텐클로트 | 안톤 도슈틀러 | 프리드리히-빌헬름 뮐러 | 쿠르트 폰 티펠슈키르히 | 테오도어 부세 | -한스 크렙스 | 빌헬름 부르크도르프 | 알렉산더 폰 팔켄하우젠 | 디트리히 폰 콜티츠 | 카를 에두아르트 | 카를-하인리히 폰 슈튈프나겔

명예 파울 폰 레토포어베크
기갑대장
핫소 폰 만토이펠 | 발터 벵크 | 빌헬름 리터 폰 토마 | 발터 네링
포병대장
발터 폰 자이틀리츠-쿠르츠바흐 | 헬무트 바이틀링 | 에두아르트 바그너 | 에리히 마르크스 | 에른스트에버하르트 헬
통신대장
에리히 펠기벨 | 알베르트 프라운
산악대장
카를 에글제어 | 프란츠 뵈메
공병대장
발터 쿤체
공군
병과대장
브루노 브로이어공수 | 오이겐 마인들공수 | 울리히 케슬러조종
해군
대장
빌헬름 카나리스 | 오토 칠리악스 | 귄터 뤼첸스
중장 OF-7
Generalleutnant / Vizeadmiral
파일:Si_5a.png / 파일:1256px-WMacht_Lw_OF7_GenLt_h_1945.svg.png / 파일:AA-4A.png

육군
중장
히아친트 그라프 슈트라흐비츠 | 헬무트 폰 판비츠 | 한스 슈파이델 | 오스카 폰 힌덴부르크 | 아돌프 호이징거
아구스틴 무뇨스 그란데스 | 에밀리오 에스테반 인판테스
안드레이 블라소프 | 보리스 시테이폰
공군
중장
발터 베버 | 아돌프 갈란트 | 테오도어 오스터캄프
해군
중장
-
소장 OF-6
Generalmajor / Konteradmiral
파일:Si_6a.png / 파일:200px-WMacht_Lw_OF6_GenMaj01_h_1945.svg.png / 파일:AA-5A.png

육군
소장
발터 도른베르거 | 카를 게프하르트 | 카를 브란트 | 헤닝 폰 트레슈코프 | 하인리히 크라이페 | 한스 오스터 | 오토 에른스트 레머
미하일 스코로두모프 | 이반 코노노프 | 세르게이 부냐첸코
공군
소장
디트리히 펠츠
해군
소장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독일 국방군의 상급대장과 대장, 중장, 소장은 각각 미군의 대장, 중장, 소장, 준장에 상응.
※ 독일 국방군 해군, 즉 크릭스마리네에만 있는 준장 계급은 미군의 대령에 상응
※ 윗 첨자 : 전사

※ 둘러보기
파일:슈츠슈타펠 문장.svg 슈츠슈타펠의 장성급 지휘관







미하일 페도로비치 스코로두모프
Михаи́л Фёдорович Скороду́мов
Mikhail Fedorovich Skorodumov


파일:119146_900.jpg

출생
1892년 4월 12일
러시아 제국
사망
1963년 11월 15일 (향년 71세)
미국 캘리포니아로스앤젤레스
안장
할리우드 포에버
복무
러시아 제국 육군
백군
나치 독일 육군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
최종 계급
소장 (Генерал-майор)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1. 개요
2. 생애
2.1. 제1차 세계 대전
2.2. 러시아 내전
2.3. 제2차 세계 대전
2.4. 석방 이후



1. 개요[편집]


러시아 제국군 출신의 장성. 러시아 내전 이후 유고슬라비아로 망명하여 나치 독일 휘하에서 러시아 보호군[1]을 창설하였다.


2. 생애[편집]



2.1. 제1차 세계 대전[편집]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장교로 1차대전에 복무하였다. 독일제국군에 포로가 되었으나 포로교환으로 생환하였으며, 중상을 입고도 적군의 포, 탄약 등을 탈취하는 전공을 세우는 등 1차대전에서의 전공으로 성 게오르기, 블라디미르 훈장을 수훈받았다.


2.2. 러시아 내전[편집]


이후 내전이 발발하여 볼셰비키를 피해 백군에 가담하였다. 남부로 도망하여 표트르 브란겔 휘하에서 복무하였다. 백군이 패배하고 난 뒤 세르비아로 망명하였다.


2.3. 제2차 세계 대전[편집]


1941년, 추축국에 점령당한 유고슬라비아에서 요시프 브로즈 티토를 위시한 공산주의 세력의 파르티잔 활동이 늘어나는 상황을 목도하게 된다. 때문에 반공주의의 입장 및 이주해온 러시아인들을 보호하기 위해 세르비아 군정청에 민병대를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으나 거절당하였다. 세르비아의 반공주의 정치인 및 나치 독일에 군사조직을 창설할 것을 제안하였으나 약간의 지원만 하였을 뿐 사실상 거절되었다. 스코로두모프는 세르비아의 군정장관인 하인리히 단켈만 항공대장과 그 참모장인 에리히 케비치 대령을 끈질기게 설득하였으며, 결국 본인을 사령관으로 하는 러시아 보호군을 조직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독일 국방군 아래의 조직으로 형성되었음에도 최고 지휘관만 독일의 명령체계 및 계급을 받고, 그 외 러시아 보호군 소속 러시아인들은 자체적인 러시아식의 계급 및 명령체계를 갖출 것을 조건으로 내세웠다. 독일은 애초에 백계 러시아인들조차 불신하고 있던 차에 스코로두모프의 다소 독립적인 행태의 군사조직의 운용을 용납할 수 없었다. 때문에 러시아인으로 구성된 러시아 보호군을 창설한지 3일만에 독일군의 강압에 의해 사령관에서 물러나야 했으며, 참모장이었던 러시아 제국군 출신의 보리스 시테이폰으로 교체된다.

이후 게슈타포에 의해서 체포되었으며, 독립국을 만들어 수장이 되려 하였다는 누명이 씌워졌다. 알프레트 로젠베르크는 교수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는 이야기까지 나왔었으나 에리히 케비치 대령과의 관계 덕분에 3주 정도 체포되는 것으로 무마되었다.

지속적으로 게슈타포에 의해서 감시받아 왔으며, 공산주의에 대한 항전을 선전하는 문서에 서명을 강요받았다. 스코로두모프는 독일의 남동유럽에서의 파르티잔 진압과 그 선전 내용에는 비판적이었음에도 백계 러시아인들의 안전을 위해서 독일군에 동조하였다. 다른 백계 러시아인 장교들이 그렇듯, 동유럽에서의 상황을 러시아 내전의 연장선으로 인식하였다.


2.4. 석방 이후[편집]


파일:119350_900.jpg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러시아 보호군에 관심을 두었으나 정식적으로 부대 운영에는 관여할 수 없었다. 3년동안 구두 수선공으로 지내다 1944년에 이르러는 오스트리아로 이동하여 사병으로 러시아 보호군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1945년, 나치 독일이 패망하면서 러시아 보호군은 영국군에게 항복하였는데, 대부분 러시아 국적을 포기하고 완전 이주한 러시아인이었기 때문에 소련으로 송환되지 않았다.

때문에 스코로두모프는 미국으로 이주할 수 있었고, 러시아 보호군 출신 러시아인들의 미국 이주를 도우며 여생을 보냈으며, 1963년 로스엔젤레스에서 사망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군인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6:32:13에 나무위키 미하일 스코로두모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41년부터 1944년까지는 독일 국방군 소속이었으나, 1944년부터는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에 소속되었다. 남동유럽의 파르티잔 토벌을 중심으로 작전을 수행하였다. 초기에는 러시아인으로만 구성되었으나 점차 동남부 유럽 각 국가, 민족의 인력으로 충당되었고, 인력이 가장 많을때는 만 여 명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