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인적구성

덤프버전 :

분류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미군

1. 개요
2. 인적규모
2.1. 총원
2.2. 여군 비율
2.3. 인종별 구성
2.3.1. 연령대
2.4. 학력
2.5.1. 계급별 구성
2.5.2. 장교와 부사관의 인종적 특성
2.6. 관련 항목



1. 개요[편집]


이 항목은 미군의 인적구성에 대하여 기술하는 문서이다.


2. 인적규모[편집]



2.1. 총원[편집]


군종
군인
/부사관
준사관/장교
남성
여성
군무원/민간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3px-Flag_of_the_United_States_Army.png 미 육군
541,291
438,670
98,126
465,784
75,507
299,64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3px-Flag_of_the_United_States_Marine_Corps.svg.png 미 해병대
195,338
173,474
21,864
181,845
13,493
20,48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3px-Flag_of_the_United_States_Navy.png 미 해군
317,237
260,253
52,546
265,852
51,385
179,29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3px-Flag_of_the_United_States_Air_Force.png 미 공군
333,772
265,519
64,290
270,462
63,310
174,75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px-USCG_Parade_Flag.svg.png 해안경비대
42,357
35,567
6,790
7,057
총원
1,429,995
1,137,916
236,826
1,219,510
210,485
681,232[1]

이들 군 종류(military branch) 별도로 연방공공보건서비스부대(6천 명 수준)와 연방해양대기청(3백 명 이하)이 있다. 이들은 전원 장교 또는 준사관으로 구성된 별도의 부대이다.

예비 전력

국방부 직원
108,833


2.2. 여군 비율[편집]


군종
사병 여성 비율
장교 여성 비율
미 육군
13.2 %
15.5 %
해군
15 %
15.1 %
공군
19.9 %
18.3 %
해병대
6.2 %
5.8 %
해안경비대
11.6 %
14.9 %
합계
14 %
15.3 %

공군의 비중이 높고 해병대가 낮은 편이다. 하지만 공군과 해병대 둘 다 임무특성상 사병의 비중이 높다. 공군 장교는 파일럿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해병대 장교는 험한 임무를 지휘해야 하는 입장이기 때문. 출처

2.3. 인종별 구성[편집]


군종
백인
비백인
흑인
흑인 외 비백인
육군
73.9 %
26.1 %
21.5 %
4.6 %
해군
66.2 %
33.8 %
19.3 %
14.4 %
공군
78.1 %
21.9 %
15.6 %
6.3 %
해병대
83.7 %
16.3 %
11.1 %
5.2 %
해안경비대
82 %
18 %
6.1 %
11.9 %
합계
74.6 %
25.4 %
17.8 %
7.6 %
실제 미국 인구 비율
72.4%
27.6%
13.6%
14%

히스패닉의 경우 백인인 사람은 백인에 흑인인 사람은 흑인에 포함되어 있다. 간혹 동양계 히스패닉도 있긴 하다. 출처

2011년 자료(좀 옛날 자료로, 현재에는 히스패닉과 아시안의 비율이 크게 늘었을 것으로 추정)에 따르면 미군 현역 장교 중에 자신을 소수민족(minority)[2]이라 보는 자는 1995년에 10.5%였으나 2011년엔 23%로 늘었고 현역 사병 가운데 자신을 소수민족이라 보는 경우는 1995년 28.2%에서 2011년 31.7%로 늘었다. 이는 위의 통계에선 백인으로 구분되지만 자신을 히스패닉으로 인식하는 사람들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장교에선 예전보다 확실히 비백인들에게 기회가 늘어났고.

미국 경찰이나 다른 미국 행정부, 사법부 등에 비해서 미군은 그나마 인종차별이 가장 덜한 곳이다. 2014년 8월 기준으로 대장 42명 가운데 미국 흑인이 7명이나 된다.[3]

2.3.1. 연령대[편집]


군종
18-21[4]
22-30
31-40
41-50
51-59
평균 연령
육군
18.3 %
48 %
25.6 %
7.9 %
0.7 %
29
해군
18.6 %
46 %
26.3 %
8.3 %
0.8 %
29
공군
14.4 %
46 %
28.3 %
10 %
0.6 %
30
해병대
36.9 %
46 %
14 %
3.1 %
0.2 %
25
해안경비대
12.2 %
48 %
27 %
12 %
1 %
30
출처

2.4. 학력[편집]


출처
장교의 경우 2011년에 82.5%가 학사 학위 이상이었다. 나머지는 준사관이거나 OCS이다. 1995년에는 장교의 89.6%가 학사 이상이었지만 감소했다. 현재는 OCS 입교시 학사학위가 있거나 입교신청서 접수일을 기준으로 90학점 이상 보유 및 1년 이내 학사학위 취득의 조건부 입교가 가능하다. 즉 지원 시점엔 학위가 없을 수 있지만 아예 쌩고졸로 미군 장교가 될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사병의 경우 5.3%가 학사 학위 이상이었다. 93.4%는 고졸이거나 대학 휴학, 대학 중퇴였다. 1.3%는 고졸 미만. 1995년에는 사병의 3.4%만이 학사 학위 이상이었으나 2011년에는 증가했다. 특이사항이라면 미육군 사병의 경우 학사학위를 보유한 채로 사병으로 입대하면 처음부터 상병(SPC)으로 입대한다. 타군은 E-3에 해당하는 계급으로 입대한다. 육군만 E-4에 해당하는 계급중 일반병인 SPC가 있기때문. 타군은 E-4부터 부사관.

중졸은 입대할 수 없다. 그래서 할거없으면 군대라도 가라고 어지간한 범죄를 저지르지 않는이상 고등학교 졸업장은 다 준다.

2.5. 기혼자[편집]


군종
기혼 사병
기혼 장교
육군
53.7 %
69.9 %
해군
51.3 %
69.3 %
공군
57.3 %
71.7 %
해병대
42.6 %
67.8 %
해안경비대
54.8 %
73.8 %
합계
52.3 %
70.2 %

출처 2013년 11월 23일 기준이다.

2011년 통계에 따르면 현역의 6.5%가 군인끼리 결혼했다. 현역이 첫 아이를 낳는 나이는 보통 25.2세 수준. 미혼부미혼모의 비중은 5.3%이다.


2.5.1. 계급별 구성[편집]


파일:external/www.truth-out.org/so010512.jpg
미군은 규모가 하도 크고 아름답다보니 스타가 많은 곳으로도 유명하다. 2011년 4월 기준으로 전체 장성 수가 964명(해안경비대는 제외한 수치가 저 정도니...)이었으며 대장(계급)도 40명이 넘는다. 미군보다 장성 수가 많은 곳은 태국군 정도이다. 한국군의 경우 400명이 좀 넘는 수준.

2011년 자료의 42쪽이 출처이다. 미 공군준사관이 없다.

계급[5]
육군
해군
해병대
공군
현역 총원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소위
10,167
1.8%
6,558
2.0%
2,788
1.4%
6,728
2.0%
26,241
1.9%
중위
9,384
1.7%
6,531
2.0%
3,840
1.9%
7,219
2.2%
26,974
1.9%
대위
30,064
5.4%
16,868
5.3%
6,518
3.2%
23,222
7.1%
76,672
5.4%
소령
17,231
3.1%
10,712
3.3%
3,924
2.0%
14,521
4.4%
46,388
3.3%
중령
10,022
1.8%
7,131
2.2%
1,929
1.0%
9,916
3.0%
28,998
2.1%
대령
4,508
0.8%
3,542
1.1%
697
0.3%
3,555
1.1%
12,302
0.9%
준장
147
0.0%
122
0.0%
32
0.0%
158
0.0%
459
0.0%
소장
113
0.0%
74
0.0%
34
0.0%
100
0.0%
321
0.0%
중장
50
0.0%
40
0.0%
18
0.0%
46
0.0%
154
0.0%
대장
12
0.0%
13
0.0%
4
0.0%
13
0.0%
42
0.0%
미분류 장교
0
N/A
1
0.0%
0
N/A
0
N/A
1
0.0%
장교 총합
81,698
14.6%
51,592
16.1%
19,784
9.8%
65,478
19.9%
218,552
15.5%
4등준위
2,388
0.4%
0
N/A
258
0.1%
N/A*
N/A*
2,646
0.2%
3등준위
6,698
1.2%
511
0.2%
887
0.4%
N/A*
N/A*
8,096
0.6%
2등준위
3,553
0.6%
596
0.2%
547
0.3%
N/A*
N/A*
4,696
0.3%
1등준위
2,593
0.5%
454
0.1%
285
0.1%
N/A*
N/A*
3,332
0.2%
선임준위
621
0.1%
56
0.0%
104
0.1%
N/A*
N/A*
781
0.1%
미분류 준사관
0
N/A
0
N/A
0
N/A
N/A*
N/A*
0
N/A
준사관 총합
15,853
2.8%
1,617
0.5%
2,081
1.0%
N/A*
N/A*
19,551
1.4%
사관 총합
97,551
17.4%
53,209
16.6%
21,865
10.9%
65,478
19.9%
238,103
16.9%
훈련병
11,947
2.1%
9,214
2.9%
12,679
6.3%
9,993
3.0%
43,833
3.1%
이병
28,831
5.1%
15,732
4.9%
20,360
10.1%
4,792
1.5%
69,715
4.9%
일병
71,629
12.8%
53,121
16.6%
46,885
23.3%
51,905
15.8%
223,540
15.8%
상병
147,112
26.2%
54,143
16.9%
37,440
18.6%
51,390
15.6%
290,085
20.6%
병장
83,294
14.8%
60,394
18.9%
30,026
14.9%
70,153
21.3%
243,867
17.3%
하사
64,487
11.5%
45,375
14.2%
16,889
8.4%
41,603
12.7%
168,354
11.9%
중사
40,608
7.2%
20,586
6.4%
9,227
4.6%
25,743
7.8%
96,164
6.8%
상사
12,306
2.2%
5,915
1.8%
4,042
2.0%
5,148
1.6%
27,411
1.9%
원사
3,672
0.7%
2,448
0.8%
1,613
0.8%
2,616
0.8%
10,349
0.7%
미분류 사병
0
N/A
4
0.0%
0
N/A
0
N/A
4
0.0%
사병 총합
463,886
82.6%
266,932
83.4%
179,161
89.1%
263,343
80.1%
1,173,322
83.1%
총합
561,437
100.0%
320,141
100.0%
201,026
100.0%
328,821
100.0%
1,411,425
100.0%

보면 알겠지만 미군 부사관의 원사는 부사관 중 최고 엘리트일 수 밖에 없다. 민간부사관 제도 덕에 하사부터 시작하는 대한민국 국군과 달리 미군은 병을 거쳐 부사관이 된다. 아홉 계급 중에 최선임이 된다. 장교 중에 대령이 차지하는 비중은 5.6%이지만[6] 사병 중에 원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0.8%이다. 장성이 장교 중에 차지하는 비중(0.4%)이랑 비교해보면 감이 올 것이다.


2.5.2. 장교와 부사관의 인종적 특성[편집]


파일:attachment/percentage_by_race.png

왼쪽 열의 O-1~O-3는 위관급 장교, O-4~O-6는 영관급 장교, O7~O-10는 장관급 장교, W-1~W-5는 준사관, E-1~E-4는 , E-5~E-6 하위 부사관, E-7~E-9는 상위 부사관이다. 장교의 경우에는 계급이 높아질수록 소수민족[7]의 비중이 줄어드는데 소수민족이 진급상 차별을 받기 보다는 장교로 입대하는 인원이 증가한 게 20세기 말인 탓으로 추정된다. 1990년대와 비교할 때 2010년대 들어서 소수민족의 장교 임관 비중은 2배 수준으로 는 상태다.

이나 부사관의 경우 백인들이 병을 거친 뒤에 전역을 하는 경우가 많고 소수민족 출신들은 버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급 부사관으로 갈수록 오히려 소수민족들의 비중이 늘어난다.

아래의 소수민족 장교와 사병 숫자를 보면 알 수 있다.

연도
육군
해군
해병대
공군
합계

장교
사병
장교
사병
장교
사병
장교
사병
장교
사병
1995년
12,147
150,523
5,150
97,104
1,671
42,494
5,938
66,872
24,906
356,993
2000년
18,050
181,245
9,796
125,219
2,904
53,415
10,075
80,351
40,825
440,230
2005년
21,252
169,254
10,773
129,354
4,563
57,957
14,103
85,479
50,691
442,044
2010년
26,017
145,346
10,053
112,282
4,118
39,238
13,099
74,977
53,287
371,843
2011년
26,895
145,628
10,288
112,895
4,221
38,246
13,349
75,394
54,753
372,163


2.6. 관련 항목[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21:17:47에 나무위키 미군/인적구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군인 총원에서 해안경비대는 포함하나 해안경비대는 장교/부사관 인원이 자료가 없어 해당 인원의 총계에선 빠져 있다. 애초에 이 통계가 '국방부'를 대상으로 집계한 것이기도 하고...[2] 흑인, 아메리카 원주민, 황인남아시아인을 포함한 아시아인, 혼혈, 태평양 원주민 등.[3] 통합전투사령관인 중부사령관 로이드 오스틴, 전략사령관 세실 헤이니, 육군군수사령관 데니스 비어, 태평양육군사령관 빈센트 브룩스, 해군참모차장 미셸 하워드, 공군참모차장 래리 스펜서, 공군수송사령관 대런 맥듀가 있다.[4] 100% 사병이다. 장교의 경우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의 높은 학력이 요구되고 훈련기간도 길며 일정연령 이하는 임관할 수 없기 때문이다. 4년제 대학교를 거치지 않고 장교가 되려면 사병부터 시작해야 하는데 그러면 되려 30살은 되어야 소위로 임관한다.[5] pay grade에 따른 것으로 한국군의 계급과 1대1 대응이 불가능하다. 왜냐면 예를 들어 E-4의 계급은 육군/해병대의 Corporal, 해군/해안경비대의 Petty Officer 3rd Class,공군의 Senior Airman은 때려맞춰보자면 상병이긴 한데 미국에선 부사관이기 때문에 미군의 부사관은 6계급 이다. 한국은 신설예정인 선임원사를 포함해도 5계급. 일단 1대1 번역으로는 E-2~E-9를 이병~원사로 번역하는게 관례였으나 선임원사 계급의 신설과 실질적인 짬밥을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으며 Corporal/Petty Officer 3rd Class/Senior Airman의 병장으로의 번역이 미드/영화 번역계에서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는 중. [6] 근데 미국이 대령을 좀 많이 두기는 한다.의무부대중엔 대령이 중대장 하기도 한다. 특히 치과중대. 대한민국 국군에서 장교 7만 명 가운데 대령은 2천 명 정도로 3% 정도이고 준장은 2백 명 정도로 대령과 준장의 비율이 10:1 정도인데 비해 미군은 대령과 준장의 비가 30:1에 달한다.[7] 백인을 제외한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