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방글라데시 관계

덤프버전 :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미국
United States of America
মার্কিন যুক্তরাষ্ট্র
방글라데시
বাংলাদেশ
Bangladesh
1. 개요
2. 역사적 관계
2.1. 근대
2.2. 20세기
2.3. 21세기
2.3.1. 2000년대
2.3.2. 2010년대
2.3.3. 2020년대
3. 상호 교류, 대사관
4. 친미와 반미 사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미국방글라데시의 대외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2. 역사적 관계[편집]



2.1. 근대[편집]


1860년대 수많은 벵골인들은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2.2. 20세기[편집]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이후 방글라데시가 파키스탄으로부터 독립되면서 미국과 외교를 맺기 시작했다. 독립 전쟁 시기에도 수많은 벵골인(또는 방글라데시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해왔다.

1999년 토미 힐핑거, 갭, 오시쿠시 등 미국의 의류제조업체들, 미국굴지의 백화점들이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노동착취혐의로 피소된 적이 있으며 이들 업체는 미국 보호령인 북마리아나제도의 한 공장에서 중국, 필리핀, 방글라데시, 태국인 남녀 5만명을 낮은 임금에 70시간씩 혹사한 혐의를 받고 있다.#

2.3. 21세기[편집]



2.3.1. 2000년대[편집]


2000년 3월 20일, 빌 클링턴 미국 대통령은 방글라데시에 도착했다. #

2001년 9월 17일, 미국은 방글라데시에도 항구와 영공 개방을 요청했다. #

2001년 10월 13일, 방글라데시 다카에서 5천여명의 무슬림들이 반미시위를 벌였다. #

2003년 1월 미국의 리타 콜웰 박사는 방글라데시에서 낡은 옷을 사용해 우물, 강에서 가져온 식수를 걸러서 콜레라를 절반 막을 수 있었다고 자신이 한 연구를 밝혔다. #

2003년 3월 29일, 방글라데시는 이라크 대사관 직원의 축소를 요구한 미국의 요청을 거부했다. #

2003년 4월 방글라데시에서 이라크 전쟁 반대 및 미군 중심의 군정반대를 주장했으며, 가장 큰 규모의 시위가 열렸다. 또한 미국과 영국을 비판했다. #

2003년 10월 5일 방글라데시는 이라크파병은 평화유지군으로만 가능하다고 미국에게 주장했다. #

2003년 10월 20일, 방글라데시도 파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등과 더불어 미국의 이라크 전쟁에 파병하지 않겠다고 주장했다. #

2003년 10월 후기 및 11월 포르투갈과 방글라데시는 미국의 이라크 전쟁에서 파병 불가 결정을 내렸다. #, #

2.3.2. 2010년대[편집]


2016년 방글라데시 다카 베이커리 테러 사건에서 미국인 1명이 사망했다. #


2.3.3. 2020년대[편집]


2021년 6월 29일에 미국측이 방글라데시에 모더나 백신 250만회분을 보낸다고 밝혔다.#

셰이크 하시나 총리는 조 바이든에게 한 목소리를 냈다. #

3. 상호 교류, 대사관[편집]


방글라데시의 다카에는 미국 대사관이, 미국의 워싱턴 D.C.에는 방글라데시 대사관이 세워졌으며, 뉴욕로스앤젤레스에는 방글라데시 영사관이, 방글라데시의 일부 도시에는 미국 영사관이 세워져있다. 방글라데시는 영국 지배의 영향으로 영어를 쓰기도 해서 미국과의 교류도 많은 편이다.


4. 친미와 반미 사이[편집]


독립 이후 초기 방글라데시는 친미 성항이 강한 국가 였다. 국민들의 70%이상이 미국을 좋게본다는 조사자료도 있으며 코소보를 승인하는 등 방글라데시 정부도 친미적인 성항을 자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무슬림이 대부분 였던 방글라데시는 점차 파키스탄 처럼 점차 반미 드러나기 시작한다.

2001년 10월 13일, 방글라데시 다카에서 5천여명의 무슬림들이 반미시위를 벌였다.

2003년 3월 29일, 방글라데시는 이라크 대사관 직원의 축소를 요구한 미국의 요청을 거부했다.

2003년 4월 방글라데시에서 이라크 전쟁 반대 및 미군 중심의 군정반대를 주장했으며, 가장 큰 규모의 시위가 열렸다. 또한 미국과 영국을 비판했다.

2003년 10월 5일 방글라데시는 이라크파병은 평화유지군으로만 가능하다고 미국에게 주장했다.

2003년 10월 20일, 방글라데시도 파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등과 더불어 미국의 이라크 전쟁에 파병하지 않겠다고 주장했다

2003년 10월 후기 및 11월 포르투갈과 방글라데시는 미국의 이라크 전쟁에서 파병 불가 결정을 내렸다

2016년 방글라데시 다카 베이커리 테러 사건에서 미국인 1명이 사망했다.

2021년 셰이크 하시나 총리는 조 바이든에게 기후빚 갚으라고 한 목소리를 낸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20:48:11에 나무위키 미국-방글라데시 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