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인류학

덤프버전 :

인류학
하위분과[1]
체질인류학
고인류학, 영장류학, 인류의 다양성
사회/문화인류학
구조인류학, 사회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선사고고학, 역사고고학
언어인류학
응용인류학
의료인류학, 영상인류학
방법론
현지조사, 민족지연구, 골학, 계보학, 통계학, 인터뷰

1. 개요
2. 설치대학
3. 대학에서의 문화인류학과
3.1. 개론
3.2. 심화
3.3. 연구방법론


1. 개요[편집]


미국에서 시작된 인류학의 한 분파. 기존의 진화론과 다르게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였고 이 문화에 따라 사람들이 행동한다고 보았다.

문화인류학과 사회인류학은 정확히 구분할 수 없다고 보는 사람도 있고, 구분할 수 있다고 보는 사람도 있다. 둘의 구분에 대해서는 인류학 문서 참조바람.


2. 설치대학[편집]


2019년 기준으로 4년제 대학에 개설된 학과 수 총 1만2천595개 중에서 도시·지역 계열은 33개 개설된 것으로 분석됐다. 기사


3. 대학에서의 문화인류학과[편집]


미국에서 문화인류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는 데는 평균 8.3년의 시간이 소요된다. 왜냐하면 질적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문화인류학계에서는 논문을 쓰기 위해 1~2년의 현지참여관찰(field work)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한다. 자기 연구지에서 현지인 체험을 하는 셈이다.[2] 거기에 필드워크를 위한 펀딩은 대학원생이 직접 수소문해 받아내는 것이 보통이고, 현지어 습득을 포함한 필드웍 준비와 사전 답사... 그와 별도로 소요되는 논문 집필(과 몇 번의 리젝. 인문사회 기초학문의 경우 어지간한 수준이 아닌한 논문을 너무 빨리 통과시켜주는 것을 꺼리는 더러운 관습이 있다)까지 포함해서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박사를 7년 만에 끝냈다면 수재 소리를 듣는다. 철학과와 더불어 가장 박사 과정이 흉측한 곳 중 하나다.


3.1. 개론[편집]


개론 수업에서 주된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 문화상대주의: 문화인류학의 기본 개념들, 총체론, 문화상대주의
  • 성과 혼인: 젠더(gender)와 섹슈얼리티(sexuality)의 이슈에 집중하여 여성과 남성이 어떠한 범주로 구성되는지에 대한 ‘문화적 분석’을 한다. 성에 대해서는 성차, 문화화, 전환기의 남성성과 여성성 등의 주제를 다룬다. 혼인에 대해서는 집단간의 결합으로서의 혼인, 사랑과 혼인 등의 주제를 다룬다. 개론을 벗어나 '성과 문화' 수업이 따로 있다.
  • 가족과 친족: '가족'은 인류가 보편적으로 만들어 낸 제도이다. ‘가족’을 역사적, 통시적으로 검토하면서 현대 가족 문제의 대안을 모색한다. 개론을 벗어나 '가족과 문화' 수업이 따로 있다.
  • 사회조직과 불평등: 불평등에 대해서는 사회분화와 불평등, 나이 차이의 문화적 의미, 사회 계급 등의 주제를 다룬다.
  • 경제체계: 소비의 문화, 문화적 정체성과 소비, 선물 교환의 경제학 등의 주제를 다룬다.
  • 권력과 사회통제: 정치에 대해서는 권력과 권위, 권력과 지도자, 축제와 정치 등의 주제를 다룬다. 개론을 넘어서면 '정치인류학'이라 하여 국가의 제도와 행위, 담론을 아우르는 접근을 한다.
  • 종교와 의례: 종교는 인류가 상징체계를 통해 자신의 삶을 이해해온 문화적 방식이다. 인식의 틀, 신비적 경험, 행동의 기준, 현대사회와 종교 등의 주제를 다룬다. 개론을 벗어나면 '종교와 문화' 수업에서 각 사회의 종교관과 다양한 의례를 통해 과거부터 현대까지 종교와 문화의 관계를 이해한다. 또 '상징과 의례'라 하여 문화에 따른 상징과 의례에 대해 알아본다.
  • 몸과 문화: 몸은 자연적인 것이 아니라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맥락에 의해 그 의미가 만들어진다. 문화현상으로서의 몸, 근대적인 몸, 몸과 차별 등의 주제를 다룬다. 몸의 사회, 문화적 구성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을 다루고, 몸의 실천에 있어서 젠더, 섹슈얼리티, 종족, 민족, 계급적 차이의 영향과 의료 산업의 영향력 등을 고찰한다. 개론을 벗어나 '몸의 인류학' 수업이 따로 있다.

그 외에 강의자에 따라서 다음 주제를 다룬다.
  • 문화와 퍼스낼리티
  • 언어와 커뮤니케이션
  • 인간 진화: 창조와 진화, 인류의 조상, 진화에 관련된 다양한 가설
  • 예술인류학: 행위예술, 현대사회와 예술
  • 변화하는 세계와 인류학: 문화 넘나들기, 왜 인류학인가?


3.2. 심화[편집]


  • 지구촌 시대의 문화인류학: 세계화 현상을 이해하고 문화인류학의 다양한 분석틀과 개념을 통해 다양한 탈경계적인 문화현상을 분석한다.
  • 세계화와 다문화주의: 다문화주의가 등장하게 된 글로벌 맥락을 살펴보고 지역과 국가와 세계를 아우르는 다차원적인 시각에서 사회의 변화를 살펴본다.
  • 세계화와 이주: 경제적 이주, 난민, 유학을 통한 사람들의 전지구적인 이동 양상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한국 사회의 변화를 분석한다.
  • 인류학적 전망의 세계적 이슈: 민족 분쟁, 정체성 혼란, 이주와 시민권, 종교 분쟁, 의료와 법, 발전 문제 등 인류학과 관계된 세계화 이슈를 배운다.
  • 문화 갈등과 글로벌 거버넌스: 글로벌 시대에 새롭게 부상하는 다양한 문화갈등과 중재에 대한 사례들을 검토하면서, 인권, 지속가능한 발전, 문화 간 이해 교육 등을 배운다.


3.3. 연구방법론[편집]


현지조사 : 현지조사는 인류학의 가장 중요한 연구방법론이다. 현지조사의 준비와 수행의 전 과정에서 필요한 인식론, 방법들 (참여관찰, 비공식적 인터뷰), 윤리들을 배운다.
  • '현지조사 연구방법론': 고급과목. 현지조사 실습 수업을 통해 문화기술지를 작성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9:38:17에 나무위키 문화인류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미국의 문화인류학자 보아츠에 의한 분류기준[2] 이 과정에서 논문 패스한 뒤에도 그냥 현지에 남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관찰 중에 주민들과 친해진 경우도 많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