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사 관련 정보

덤프버전 :

1. 개요
2. 관련 학문
3. 고전문학
4. 근현대소설
4.1. 동아시아 소설사
4.1.1. 대한민국 소설사
4.1.1.1. 1910년대
4.1.1.2. 1920년대
4.1.1.3. 1930년대
4.1.1.4. 1940년대
4.1.1.5. 1945년 이후
4.1.1.6. 1950년대
4.1.1.7. 1960년대
4.1.1.8. 1970년대
4.1.1.9. 1980년대
4.1.1.10. 1990년대
4.1.1.11. 2000년 이후
4.1.2. 일본 소설사
4.1.2.1. 개화기
4.1.2.1.1. 게사쿠 문학
4.1.2.1.4. 정치문학
4.1.2.3.1. 겐유샤(硯友社)
4.1.2.3.2. 후기 겐유샤
4.1.2.4. 낭만주의(1890~1900)
4.1.2.5. 자연주의(1900~1912)
4.1.2.5.2. 일본의 자연주의
4.1.2.6. 반자연주의
4.1.2.6.1. 탐미파(耽美派)/탐미주의
4.1.2.6.2. 백화파(시라카바파, 白樺派)/신이상주의
4.1.2.6.3. 이지파/이성주의
4.1.2.6.4. 고답파·여유파(高踏派·余裕派)
4.1.2.7. 프롤레타리아 문학/예술파
4.1.2.7.1. 프롤레타리아 문학
4.1.2.7.2. 예술파/예술주의
4.1.2.8. 전후문학
4.1.2.8.1. 무뢰파(신게사쿠파)
4.1.2.8.2. 전후파(내셔널리즘)
4.1.2.8.3. 제3의 신인
4.1.2.9. 현대문학
4.1.2.9.1. 50~60년대 소설
4.1.2.9.2. 현대 소설
4.1.3. 중국 소설사
4.2. 구미 소설사
4.2.1. 르네상스 시기(14C 후반~17C)
4.2.1.1. 이 시기 대표 작품
4.2.2.1. 이 시기 대표 작품
4.2.3. 낭만주의 시기(18C 후반~19C 초반)
4.2.3.1. 이 시기 대표 작품
4.2.4.1. 이 시기 대표 작품
4.2.5. 유미주의&상징주의 시기(19C 후반)
4.2.5.1. 이 시기 대표 작품
4.2.6. 모더니즘 시기(19C 후반~20세기 초반)
4.2.6.1. 이 시기 대표 작품
4.2.7. 실존주의 시기(20C 중반)
4.2.7.1. 이 시기 대표 작품
4.2.8.1. 이 시기 대표 작품
4.3. 기타 지역 소설사
7. 기타(수필, 평론, 산문 등)
8. 인물
9. 관련 링크
10.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본 문서는 문예 관련 정보와 제목을 맞추기 위해 문예사 관련 정보로 만들어졌다. 문학 이외의 예술에 대한 역사는 미술사 관련 정보, 음악사 관련 정보를 참조하십시오.


2. 관련 학문[편집]




3. 고전문학[편집]




4. 근현대소설[편집]



4.1. 동아시아 소설사[편집]



4.1.1. 대한민국 소설사[편집]


한국의 현대문학



[ 펼치기 · 접기 ]
연대
서정 갈래
서사 갈래
1910년대
상징주의 시(김억) · 현대적 자유시(주요한)
신소설(이인직)(이해조)(최찬식)
1920년대
'동인지 시대'
감상적·퇴폐적 낭만주의 시(이상화) ·
김소월[1] · 한용운[2]
감상적·퇴폐적 낭만주의 소설
(김동인)
자연주의 · 사실주의 소설
(염상섭)(현진건)
신경향파 문학
국민 문학파
(민요 운동 · 시조 부흥론)
신경향파 문학
국민 문학파
계급주의 문학
계급주의 문학
1930년대
시문학파[3](모더니즘 시) · 생명파 · 전원파
모더니즘 소설[4] · 장편소설[5] · 농촌소설[6] · 역사소설[7]
1940년대
~ 광복
청록파 · 저항시(이육사)(윤동주)(신석정)
'국문학의 암흑기'[8]
광복 ~
1950년대
이념시(연간조선시집) · 해방기념시집 · 순수시
귀향 소설 · 분단 문학

전쟁시 · 모더니즘 시 · 서정시
전쟁소설 · 분단 소설 · 귀향 소설
1960년대
현실 참여시
순수 서정시
참여문학
순수문학
1970년대
민중시 · 노동시
민중 소설 · 농민·어민 소설 · 노동 소설 ·
순수 소설 · 중간소설 · 대중소설
1980년대
민중시 · 서정시 · 해체시
노동 소설 · 연작소설 · 역사 장편 대하소설
1990년대
~ 현재
생태시 · 해체시(도시시 · 일상시) · 메타시
일상 소설 · 다문화 문학
장르소설
[각주]
[각주]

고전문학 · 장르문학




4.1.1.1. 1910년대[편집]

1910년 한일합방되어, 무단통치가 시작되었다.
  • 초기에는 고전소설에서 근대소설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소설인 신소설이 주가 되었다. 주요 신소설 작가로는 이인직, 이해조, 최찬식 등이 있다.
  • 1917 최초의 장편소설인 이광수의 『무정』이 신문 연재되었다.


4.1.1.2. 1920년대[편집]

1919년 3.1 운동으로 일본이 이른바 문화 통치를 표방하기 시작했다.


4.1.1.3. 1930년대[편집]

  • 초창기에는 소규모 동인지를 통해 명맥을 이어 왔으며 1935년 이후 신문 소설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 1933년 결성된 구인회와 해외에 살던 해외문학파가 중심이 되어 모더니즘 문학이 퍼지기 시작했다. 반면, 1935년 카프가 해체되는 등 당파적인 프롤레타리아 문학은 쇠퇴기에 접어들었다.
  • 모더니즘에 따라 농촌 소설, 휴머니즘 소설 등 다양한 주제의 작품이 나왔으며, 장르소설 중에서는 역사소설, 애정소설, 추리소설 등이 나타났다. 이중 역사소설이 가장 인기를 끌었다. 30년대 소설 표제에는 기괴, 환상, 농촌, 농민, 역사, 애정, 엽기 탐정, 대중, 시대, 모험, 유머 등 장르나 소재에 따른 태그가 붙어 있기도 했다. 대중 소설의 유행에 따라, 문단 소설과 장르소설의 경계가 허물어져 가던 시기이기도 하다.
  • 염상섭,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김동리, 김동인, 박종화, 이광수, 이태준, 심훈, 현진건 등의 소설가가 활동했다.
  • 장르소설계에서도 여러 작가들이 등장했는데, 애정소설계에서는 김말봉, 역사소설에서는 이광수, 김동인, 윤백남, 박종화, 홍명희, 이태준, 박태원, 현진건, 국내 추리소설의 아버지라 할 수 있는 김내성 등이 존재한다.


4.1.1.4. 1940년대[편집]

민족말살통치, 일본 제국의 확장, 제2차 세계대전의 발생으로 문학 발전이 주춤했다.


4.1.1.5. 1945년 이후[편집]

광복 이후 해방문학이 등장했다.


4.1.1.6. 1950년대[편집]

1950~53 6.25 전쟁으로 전 국토가 초토화되었다. 이후로 전후문학이 80년대까지 활발하게 나타났다.


4.1.1.7. 1960년대[편집]

나라가 점차 안정되어 감에 따라 신인 작가들이 등단하기 시작했다.


4.1.1.8. 1970년대[편집]

사회 문제를 다루는 참여문학이 주를 이루기 시작했다.


4.1.1.9. 1980년대[편집]



4.1.1.10. 1990년대[편집]


4.1.1.11. 2000년 이후[편집]

  • 2015년 신경숙 작가에 대한 표절 논란이 발생했다.
  • 2016년 한강 작가의 소설 『채식주의자』(2007) 맨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에서 수상하여 화제가 되었다.


4.1.2. 일본 소설사[편집]



4.1.2.1. 개화기[편집]

1868년 메이지 유신을 기점으로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이다.


4.1.2.1.1. 게사쿠 문학[편집]

  • 가나가키 로분(仮名垣魯文, 1829~1894) - 『아구라나베(安愚楽鍋)』(1871)
  • 나루시마 류호쿠(成島柳北, 1837~1884) - 『류쿄신시(柳橋新誌)』(1874)

4.1.2.1.2. 계몽주의[편집]



4.1.2.1.3. 번역 문학[편집]



4.1.2.1.4. 정치문학[편집]

  • 야노 류케이(矢野龍溪)의 『경국미담(経国美談)』


4.1.2.2. 사실주의(1885~)[편집]

권선징악으로 대표되는 기존의 고전문학을 벗어나기 시작하다.
  • 츠보우치 소요 - 『소설신수(小説神髄)』(1885)[1]
  • 후타바테이 시메이(二葉亭四迷, 1864~1909) - 『뜬구름(浮雲)』(1887)[2]


4.1.2.3. 의고전주의(1888~1890)[편집]

급격한 근대화에 반하여 에도시대에 대한 복고주의가 시작되다.

  • 고다 로한(幸田露伴, 1899~1951) - 『오층탑(五重塔)』(1891~1892)

4.1.2.3.1. 겐유샤(硯友社)[편집]

  • 잡지 『가라쿠타 분코(我楽多文庫)』
  • 오자키 고요(尾崎紅葉, 1867~1903) - 『금색야차(金色夜叉)』(1897)[3]


4.1.2.3.2. 후기 겐유샤[편집]

  • 이즈미 교카[4]
  • 히구치 이치요[5]


4.1.2.4. 낭만주의(1890~1900)[편집]

  • 일본 낭만주의의 아버지 모리 오가이 - 『무희(舞姬)』(1890)
  • 기타무라 도코쿠(北村 透谷, 1868~1894)를 중심으로 한 잡지 『문학계(文学界)』[6], 『평론 내부생명론(内部生命論)』
  • 도쿠토미 로카(德富蘆花, 1868~1927) - 『호토토기스(不如帰)』
  • 쿠니키다 돗포(国木田独歩, 1871~1908) - 『무사시노(武蔵野)』


4.1.2.5. 자연주의(1900~1912)[편집]


4.1.2.5.1. 서양의 졸라이슴[편집]

  • 나가이 가후(永井荷風, 1879~1959) - 『지옥의 꽃(地獄の花)』(1902)


4.1.2.5.2. 일본의 자연주의[편집]

서양의 자연주의와 달리 체험담이나 회고록과 같이 작가의 경험을 소재로 한 작품이 나타났다.
  • 시마자키 도손(島崎藤村, 1872~1943) - 『파계(破戒)』(1906)[7], 『신생(新生)』(1918)[8]
  • 다야마 가타이(田山花袋) - 『이불(蒲団)』(1907), 『시골선생(田舎教師)』(1909)[9]


4.1.2.6. 반자연주의[편집]


4.1.2.6.1. 탐미파(耽美派)/탐미주의[편집]

자연주의에서 드러난 인간의 추악한 모습을 오히려 관능적이고 퇴폐적인 미의 기준으로 삼는다.
  • 나가이 가후[10]
  • 다니자키 준이치로 - 『치인의 사랑(痴人の愛)』(1925)


4.1.2.6.2. 백화파(시라카바파, 白樺派)/신이상주의[편집]

자연주의의 어두운 모습 대신 인도주의에 의거한 자유를 지향한다. 대체로 톨스토이의 작품에 영향을 받았다.
  • 무샤노코지 사네야스(武者小路實篤, 1885~1978)[11]
  • 시가 나오야[12] - 『암야행로(暗夜行路)』(1937)
  • 아리시마 타케오(有島武郞, 1878~1923) - 『카인의 후예(カインの末裔)』(1917), 『어떤 여자(或る女)』(1919)


4.1.2.6.3. 이지파/이성주의[편집]

냉정한 관찰과 현실성을 중시한다.
  • 잡지 『신사조(新思潮)』와 『기적(奇蹟)』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 역사소설인 『라쇼몽』(1915)과 『코(鼻)』(1916), 『지옥변』(1918) 등을 썼으며, 만년과 사후에는 『캇파(河童)』(1927), 『톱니바퀴(齒車))』(1927), 『어느 바보의 일생(或阿呆の一生)』(1927)이 발간되었다.
  • 기쿠치 간(菊池寬, 1888~1948)[13] - 『진주부인(真珠夫人)』(1920)


4.1.2.6.4. 고답파·여유파(高踏派·余裕派)[편집]

당대 대문호로 불린 두 사람이다.
  • 모리 오가이[14]
  • 나쓰메 소세키 -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마음』 등


4.1.2.7. 프롤레타리아 문학/예술파[편집]


4.1.2.7.1. 프롤레타리아 문학[편집]

잡지 『씨 뿌리는 사람(種蒔く人)』, 『문예전선(文芸戦線)』, 『전기(戦旗)』를 중심으로 전개
  • 코바야시 타키지(小林多喜二, 1903~1933) - 『게 가공선(蟹工船)』[15](1929)


4.1.2.7.2. 예술파/예술주의[편집]

신감각파, 신흥 예술파, 신 심리주의 문학으로 나뉜다.
  • 가와바타 야스나리 - 『설국[16]


4.1.2.8. 전후문학[편집]

1945년 일본의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의 문학이다.


4.1.2.8.1. 무뢰파(신게사쿠파)[편집]

기존 문단의 권위에 반항하는 작품을 주로 쓴다.


4.1.2.8.2. 전후파(내셔널리즘)[편집]



4.1.2.8.3. 제3의 신인[편집]

아쿠타가와상 수상 작가들이다.
  • 엔도 슈사쿠[17] - 침묵
  • 이노우에 야스시(井上靖, 1907~1991)
  • 야스오카 쇼타로(安岡章太郞, 1920~2013)


4.1.2.9. 현대문학[편집]


4.1.2.9.1. 50~60년대 소설[편집]

  • 이시하라 신타로[18]
  • 오에 겐자부로[19]


4.1.2.9.2. 현대 소설[편집]



4.1.3. 중국 소설사[편집]


  • 1915년 천두슈신문화운동(신사상/신문학운동)의 시작을 알리는 잡지 『신청년』을 만들었다.
  • 1917년 루쉰이 『광인일기(狂人日記)』를 발표했다.
  • 1920년 ‘인생은 예술’이라는 슬로건 하에 문학연구회(文學硏究會)가 만들어졌다.
  • 1921년 ‘예술을 위한 예술’이라는 슬로건 하에 창조사(創造社)가 만들어졌다.
  • 1921년 루쉰이 『아Q정전』을 발표했다.
  • 1930년대에는 일본의 침략에 대한 항전문학이 벌어졌다.
  • 1961년 우한이 쓴 <해서파관>이 불씨가 되어 1965년 해서파관 사건이 발생, 1966~76년 발생한 문화대혁명으로 출판 산업 또한 주춤했다.
  • 1993년 위화의 대표작 인생을 발표했다.
  • 2012년 모옌이 노벨문학상을 탔다.
  • 2015년 위화의 소설 허삼관 매혈기가 한국 국내에 현지화하여 개봉하였다.


4.2. 구미 소설사[편집]



4.2.1. 르네상스 시기(14C 후반~17C)[편집]


  • 고전소설에서 근대소설로 넘어가는 과도기.
  • 15C 중반 인쇄술이 개발되어 문학 출판에 새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4.2.1.1. 이 시기 대표 작품[편집]



4.2.2. 계몽주의&고전주의 시기(18C)[편집]


  • 중세 기독교 중심 사고에서 벗어나 이성을 중시하는 풍조가 생겨났다.
  • 그리스·로마 시대의 고전에서 영향을 받기도 했다.


4.2.2.1. 이 시기 대표 작품[편집]



4.2.3. 낭만주의 시기(18C 후반~19C 초반)[편집]


  • 고전주의에 대립하여 자유분방한 감정 표현을 중시하는 낭만주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4.2.3.1. 이 시기 대표 작품[편집]



4.2.4. 사실주의&자연주의 시기(19C)[편집]




4.2.4.1. 이 시기 대표 작품[편집]



4.2.5. 유미주의&상징주의 시기(19C 후반)[편집]


  • 사실주의, 자연주의 문학에 반발해 미(美)를 추구하는 유미주의, 상징적 의미를 담으려는 상징주의가 탄생했다.


4.2.5.1. 이 시기 대표 작품[편집]



4.2.6. 모더니즘 시기(19C 후반~20세기 초반)[편집]




4.2.6.1. 이 시기 대표 작품[편집]



4.2.7. 실존주의 시기(20C 중반)[편집]


  • 실존주의 철학을 반영한 작품들이 생겨났다.


4.2.7.1. 이 시기 대표 작품[편집]



4.2.8. 포스트 모더니즘 시기(현대)[편집]




4.2.8.1. 이 시기 대표 작품[편집]



4.3. 기타 지역 소설사[편집]




5. [편집]



6. 희곡[편집]




7. 기타(수필, 평론, 산문 등)[편집]




8. 인물[편집]




9. 관련 링크[편집]




10.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3:49:54에 나무위키 문예사 관련 정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근대 소설의 기초를 확립[2] 최초의 언문일치 소설[3] 대한민국 신파극이수일과 심순애가 등장하는 장한몽의 원작.[4] 환상문학[5] 일본 근대 최초의 여류 소설가[6] 봉건적인 가족 제도에 대비한 기독교 연애를 주장하였다[7] 부라쿠민 문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8] 조카와 근친상간을 고백하였다.[9] 사건을 객관적으로 서술한 평면묘사가 두드러진다.[10] 자연주의에서 화류계를 무대로 한 소설로 방향을 틀었다.[11] ‘새 마을(新しき村)’을 새우기로 결심했다.[12] 소설의 신으로 추앙 받음[13] 아쿠타가와상, 나오키상 등을 만들었다[14] 나츠메 소세키의 작품을 보고 자극을 받아 본격적으로 문학 작품을 쓰기 시작했다.[15] 혹은 '게잡이 공선'으로 번역되기도 한다.[16] 일본 최초로 노벨 문학상을 받은 작품[17] 가톨릭 신자였으며 기독교를 소재로 한 작품을 여럿 발표했다.[18] 극우 성향의 정치인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본래는 유망한 문학가였다.[19] 1994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