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즙 파동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2. 논란
3. 사실
4. 결과
5. 여파
6. 여담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무즙엿먹어보라.png
당시 동아일보 기사

꼬리 문 소동… 『자연』 18번

“무즙 먹어보라

낙방 학부모[1]

들 엿 들고 시위

전기 중학 입시 때 자연 18번 문제 정답 ‘디아스타제’ 대신 ‘무즙’을 써서 1점을 잃어 불합격했다고 주장하는 K중[2]

·S중[3]·E여중[4] 등 세칭 일류교 수험생 학부모 20여 명은 22일 오전 솥에 엿을 만들어가지고 서울시 교육위원회에 나타나 환성을 올렸다.

학부모들의 말에 의하면, 21일 오후 6시 반경 김원규 교육감은 “만약 무즙으로 엿이 된다면 자연 18번 때문에 떨어진 수험생은 구제하겠다”고 약속했다는 것.

사진: “무즙으로 만든 엿 좀 먹어보라”고 서울시교육위에 밀려든 학부모들.

1964년 12월 22일 동아일보[5]


1964년 12월 7일 대한민국의 1965학년도 서울특별시 전기(前期) 중학 필답 고사 정답 발표 이후 발생한 사건. 이 사건은 한국에서 중학교 입시가 사라지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2. 논란[편집]


당시 국어, 산수(현재의 수학), 사회, 자연(현재의 과학) 과목을 모두 합쳐 20개의 문제에서 복수정답이 나왔는데 특히 자연 18번 문제가 가장 큰 논란이 됐다. 참고로 당시 문제는 모두 배점이 1점이었지만[6] 명문 학교를 목표로 하는 입시에서는 1점의 차이도 합격 여부를 가를 가능성이 있었다.[7]

『자연』 과목
※ 다음은 을 만드는 순서를 차례대로 적어 놓은 것이다.
찹쌀 1 kg 가량을 에 담갔다가
② 이것을 쪄서 을 만든다.
③ 이 밥에 물 3 L와 엿기름 160 g을 넣고 잘 섞은 다음에 60도의 온도로 5~6시간 둔다.
④ 이것을 엉성한 삼베 주머니로 짠다.
⑤ 짜 낸 국물을 조린다.
  1. #17 엿기름녹말당분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위의 여러 가지 일 중 어느 것인가? 그 번호를 쓰시오.
  2. #18 위 ③과 같은 일에서 엿기름 대신 넣어도 좋은 것은 무엇인가?
디아스타제   ②    ③ 녹말   ④ 무즙

정답 [펼치기 · 접기]
문항
발표된 정답
비고
17

-
18

논란이 된 문제.

[1] 원문은 자모(姉母).[2] 경기중학교. 폐교되고 경기고등학교만 남아 있다.[3] 서울중학교. 폐교되고 서울고등학교만 남아 있다.[4] 이화여자중학교. 폐교되고 이화여자고등학교만 남았고 1992년 개교된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는 이화여고와 한 교정을 사용하고 있다. 이화학원은 두문자어로 I가 아닌 E를 사용한다(Ewha).[5] 현대 맞춤법 및 어휘를 적용하였으며 한자어는 한글화하였다. 원문은 사진을 참조.[6] 국어·산수 33문제씩, 사회·자연 30문제씩, 미술·음악·실과 10문제씩으로 총 156문제 156점에 체력장 4점을 합쳐서 160점 만점.[7] 물론 이는 현재의 대학수학능력시험에도 등급 산정 시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오히려 현재는 환산점수를 이용하여 소숫점 두자리수까지 표현해 가면서 학생을 가려내기에 0.0X점 차이로 붙고 떨어지는 사례가 생긴다.


을 만드는 과정 중 당화 작용을 하는 물질을 고르라는 것으로, 출제자가 의도한 정답은 다이아스테이스(디아스타제)였다.[8] 그러자 학부형들로부터 무즙 역시 정답이라는 항의가 빗발쳤다. 이는 무즙 안에 다이아스테이스가 들어 있어서 진짜로 을 만들 수 있어서였기 때문이다. 거기다 당시 국민학교 6-2 자연 교과서에는 “침과 무즙에도 다이아스테이스 성분이 들어 있다”는 내용이 있었다.

문제 출제자의 의도는 다당류를 단당류로 분해하는 재료가 아닌 순수한 성분을 고르라는 것으로 보이는데 예시를 엿기름으로 들어 놓고 답은 성분으로 갖다 놓았으니 이건 뭐… 게다가 이제껏 무즙으로는 을 만들어봤어도 다이아스테이스라는 건 들어 본 적도 없는 학부모도 많았으니 항의하는 것이 당연하다. 심지어 어떤 학부모는 직접 무즙으로 엿을 만들어서 서울시 교육위원회에 난입한 뒤 엿 먹어 보라며 꺼내 보였다.

MBC의 <타임머신>이라는 프로그램에서 "<사건 실록 - 1964년, 그 날의 엿>"[9]이라는 제목의 에피소드로 재연했다. 이 에피소드 말미에 타임머신 제작진이 1964년의 입시생이었고 방송 당시 반포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했던 이옥근(당시 49세)과 인터뷰를 했는데 "당시 객관식으로 다이아스테이스와 무즙이 있었는데 지우고 다시 쓰고 지우고 다시 쓰다 답안지에 구멍이 나서, 따로 답을 다이아스테이스라 겨우 쓰고 시험을 마쳤다. 나중에 답을 알고 보니, 같이 시험을 봤던 몇몇 친구들 집에서는 난리도 그런 난리가 없었다."고 증언했다.

3. 사실[편집]


무엇보다도 이 파동이 더욱 심해졌던 까닭은 해당 문항의 의미를 엄밀히 따져 보면 사실 다이아스테이스보다는 무즙이 더 정답에 가까웠기 때문이다.

이 문항에서 묻고 있는 것은 '엿기름 대신 넣어도 좋은 것'인데, 엿기름 대신 무즙을 넣어서 엿을 고을 수 있으니 당연히 무즙은 정답이 되어야 한다. 반면 다이아스테이스는 '엿기름에 들어있는 성분'이지 '엿기름 대신 넣을 수 있는 재료'라고 하기엔 애매하다. 그러니까 '엿을 만들 때는 엿기름, 무즙이 둘 다 사용 가능하고 그 이유는 거기에 들어있는 다이아스테이스 때문이다. 지금 이 문항은 엿기름 '대신' 넣을 수 있는 것을 묻고 있으므로, 엿기름의 '대체품'으로는 무즙이 좀 더 자연스러운 정답이다'라고 생각해 무즙이 정답이라고 해도 논리적으로 별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물론 효소인 다이아스테이스(아밀레이스) 자체만을 순수하게 분리해놓은 것을 엿을 만들 때 쓸 수는 있을 것이다. 실제로 다이아스테이스 분말같은 걸 실험실 등에서 쓰는 용도로 팔기는 하니까. 하지만 대량생산 공장이라면 모를까 1960년대에 엿은 보통 자연소재를 써서 소규모로 만드는 경우가 많았으니 학생들 입장에서는 혼란스러웠을 것이다. 게다가 정말로 그런 다이아스테이스 분말같은 걸 정답으로 의도하고 낸 문항이었다 하더라도 여전히 문제가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무즙 역시 대신 넣어도 엿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이러니 설령 제품으로 판매하는 다이아스테이스가 있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답이 두 가지인 문항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어떤 이유를 대서든 무즙이나 다이아스테이스 어느 하나가 확실히 정답이라고 밀어붙이더라도 여전히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엿기름과 무즙에 둘 다 다이아스테이스가 들어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함정에 빠지는, 즉 지식을 갖추고 있을수록 불리해지는 불합리한 문항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다이아스테이스가 정답이라면 다이아스테이스는 알아도 무즙에도 다이아스테이스가 들어있다는 사실은 모르는 사람이 더 잘 맞출 수 있고, 무즙이 정답이라면 다이아스테이스는 잘 모르지만 엿기름 대신 무즙을 써서 엿을 만들 수 있다는 걸 아는 사람이 더 잘 맞출 수 있다. 어느 쪽으로든 변별력 관점에서 문제가 된다.

결국 이 문항을 올바른 형태로 출제하려면, 문항 자체는 그대로 두고 보기에서 다이아스테이스 대신 '콩'이나 '호박즙'같은 것을 넣었어야 한다. 다만 이러면 자연 과목보다는 실과나 가정 과목에 좀 더 어울린다는 게 좀 문제다. 물론 엿기름이 당화 작용을 일으키는 것이 거기 들어있는 다이아스테이스 때문임을 알고, 그 다이아스테이스가 다른 어떤 식재료에 들어있는지도 알아야 풀 수 있는 응용문제라 보면 괜찮고, 실제로 당시 자연 교과서에 다이아스테이스(디아스타제)가 들어있는 다른 재료 및 물질들의 예시도 나와있으니 교과 범위에서 벗어나는 내용도 아니다.

아니면 《위 ③과 같은 일에서 엿기름에 든 어느 성분에 의해 그러한 일이 일어나는가?》로 문항을 바꾸고 보기를 《①락타아제(락테이스) ②말타아제(말테이스) ③디아스타제(다이아스테이스) ④이스트》처럼 정답인 다이아스테이스랑 혼동할만한 것들로 바꿨어도 괜찮았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좀 어색하긴 해도 보기에 '무즙'이 있었어도 정답이 아닌 게 명확해지고 말이다.

4. 결과[편집]


곤란해진 출제위는 이 문항을 백지화해 모두 점수를 주겠다고 발표하자 경기중학교[10] 등 명문 중학교 지원자 학부모 30명은 서울시 교육위원회에 몰려와 극렬하게 항의했다. 그러자 서울시 교육위원회는 처음 결정을 번복한 다음 당초 정답대로 처리하겠다고 발표했다. 결국 이대로 채점이 완료된 다음 합격자를 발표했다.

이 과정에서 당시 서울교육감이 무즙으로 엿을 만들 수 있다는 생각은 못했던 모양인지 무심코 "무즙으로 엿이 만들어진다면, 무즙을 답으로 쓴 아이들을 구제해 보겠다."는 말을 내뱉어 버려 학부형들이 찬합에 무즙을 가득 갈아 오거나 진짜 무즙으로 엿을 만들어 고물까지 묻혀 오는 등 각종 증빙자료를 챙겨왔다.

결국 이 사건은 재판으로까지 이어졌는데 1965년 3월 30일 서울고등법원 특별부는 학부형 42명이 제기한 ‘입학시험 불합격처분 취소청구소송’에서 “해당 중학교가 내린 입학시험 불합격 처분을 취소한다”고 판결했다.

문제의 학생들은 일단 다른 중학교에 다니다가 승소 이후인 5월 12일 당시 교육법 시행령상으로는 불가능한 일이었던 경기중학교로의 학기 중 전학[11]을 했는데 이 틈을 타서 일부 부유층 및 사회지도층 자녀 21명이 묻어가기로 부정입학을 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결국 김원규 서울시 교육감, 한상봉 문교부 차관 등이 사표를 냄으로써 수습됐지만 갈팡질팡한 입시 제도와 일부 고관대작 부인들의 치맛바람이 어울려 유례 없는 입시 혼돈이 빚어졌다.


5. 여파[편집]


이렇게 엿을 만들어서 먹으라고 한 데서 “ 먹어라”라는 말이 생겨났다는 설이 존재하는데 한겨레에서 2001년부터 운영했던 디비딕에 "엿 먹어라"의 어원이 무즙 파동이라고 실렸다는 게 그 설의 원류다. 하지만 이보다 이전에 욕설로 쓰인 기록이 남아 있다. 윤백남(尹白南)이 1929년 동아일보에 연재한 ‘신석수호전(新釋水滸傳)’ 3월 17일자에 "이놈들아 엿이나 먹어라 나를 누군 줄 아느냐 흥 나는 장소공(張梢公)이다."가 그것이다. 하지만 이 또한 현재의 욕설로써의 엿과 직접적 연관성이 드러날 만한 내용은 없으므로 여전히 그 어원은 미궁에 빠져 있다. '엿 먹어라'의 어원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문서를 참조해 보자.

이 사건을 계기로 중학교 입시는 존폐 논란에 휩싸였다가 4년 뒤 창칼 파동 사건 때문에 완전히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중학교 무시험 제도가 들어서면서 소위 '뺑뺑이 세대'가 시작되었으며 경기중학교를 비롯하여 당시 명문 중학교로 칭해지던 33여개의 중학교들은 1971년폐교되거나 평범한 교명으로 강제 변경을 당했다.(예: 부산중학교→초량중학교, 경남중학교→토성중학교, 부산여자중학교→은하여자중학교, 경남여자중학교→수정여자중학교, 경북중학교→경운중학교, 경북여자중학교→경혜여자중학교 등.)

그래서인지 중학교 중에는 지금까지도 시·도의 지명의 이름을 딴 네임 스쿨이 별로 없으며 그나마 현재 소수의 중학교들이 시·도의 지명을 쓰고 있지만(특히 부산 지역) 이 부류에 속하는 중학교들은 1971년에 폐교 대신 평범한 교명으로 강제변경당하여 폐교를 면했던 학교들이 1990년대 이후에 다시 교명을 원상복귀하거나 (예: 부산중학교 ← 초량중학교 등) 폐교 이후에 다시 개교한 케이스다. (예: 인천중학교) 이 케이스에 해당되지 않는 오래된 네임스쿨은 대도시가 아닌 중소도시에 있는 경우가 많다. 마산중학교나 목포여자중학교 등.


6. 여담[편집]


지식채널e에서 교육 시리즈 - 좁은 문 그리고 사과 소년이라는 제목으로 다루기도 하였다.

수필가로 유명한 장영희서강대학교 영문과 교수도 이때 중학교 입시를 치렀고 '무즙'으로 답을 쓴 한 사람이었다. 그녀는 어린 시절의 소아마비로 인한 신체 장애 때문에 체력장 점수를 포기할 수밖에 없었고 건강한 학생들보다 불리한 조건에서 입시를 치렀다. 당시 그녀가 지원했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12]의 커트 라인이 156점이었으므로 모든 문제를 맞혀야 했던 상황이었다. 다행히 그 문제를 제외한 나머지 문제는 다 맞혔고 그 해의 커트라인은 이전보다 1점 낮은 155점이어서 장 교수는 간신히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에 합격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의 가수 겸 작곡가 김도향은 MBC의 일밤 코너의 '브레인 서바이버'라는 프로그램에서 경기중학교 출신으로 출연해 767회(2004년 5월 9일 방영)에서 우승했으나 중학교 입시 폐지와 함께 학교가 폐교되는 바람에 장학금을 모교에 기부할 수 없었던 웃지 못할 이야기가 있다.


7. 관련 문서[편집]



문서가 있는 대한민국의 교육 관련 사건사고 목록

[ 펼치기 · 접기 ]
2000년대 이전



2010년대


2020년대

범례 : 입시 관련 사건(A), 학교폭력(B), 시험 부정행위(C), 교육부 등 국가행정조직 연루(G), 교육 정책 관련 논란(P), 교사 관련 사건(T), 사건 경위 불명(?)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2:00:52에 나무위키 무즙 파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8] 디아스타제는 아밀레이스의 여러 유형을 칭하는 말로, 이후 표기법이 다이아스테이스로 바뀌었으니 이 문서에서도 이후 다이아스테이스로 서술한다.[9] 3회, 2001년 11월 25일 방송분[10] 과거 한국 최고의 명문 남자중학교였다. 당시 공부 잘 하는 남학생은 경기중학교경기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로 진학하는 것이 당연시되었고 이 코스는 한국 최고의 학벌로 인정받았다. 이를 일명 KS마크라고도 했다. (여학생은 경기여자중학교-경기여자고등학교-서울대학교) 당시 학교는 종로구 화동(경기여중은 중구 정동)에 있었으며 경기중과 경기여중은 1971년 폐교되면서 경기고와 경기여고만 남았다.[11] 오늘날의 특별편입과 비슷하다.[12] 당시에는 남녀공학이었다. 1969년에 오늘날과 같은 서울사대부중(男)/서울사대부여중(女)으로 나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