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혼

덤프버전 :

분류

1. 시 전문
2. 해석
3. 상세



1. 시 전문[편집]





몽혼
이옥봉


近來安否問如何(근래안부문여하)
月到紗窓妾恨多(월도사창첩한다)
若使夢魂行有跡(약사몽혼행유적)
門前石路半成沙(문전석로반성사)
요사이 안부를 묻노니 어떻게 지내시나요?
달빛 드는 사창엔 소첩의 한이 많습니다.
만일 꿈속의 넋에게 자취를 남기게 한다면
문 앞의 돌길이 반은 모래가 되었겠지요.



2. 해석[편집]


이 작품은 가성적 상황과 과장된 표현을 이용하여 임과 이별한 여인의 간절한 그리움을 표현한 칠언 절구 형식의 한시이다. 1구에서 근래의 안부를 묻는 것은 임의 그녀를 찾은 것이 이미 오래되었음을 암시한다. 그리고 2구에서 달 떠오르는 밤에 사무치는 그리움을 달빛에 하소연 하고 있다. 한편, 3구에서는 시상을 전환하여 꿈속이라는 가정적 상황을 설정하고 4구의 과장된 표현을 통해 그리움을 구체화시키고 있다. 화자는 꿈속에서 밤마다 임을 만나러 길을 떠나니, 만일 꿈속의 일이 자취가 남는다면 집 앞의 돌길이 다 닳아 모래로 변하기에 충분하리라는 것이다.


3. 상세[편집]


  • '몽혼'이라는 말은 '꿈속의 넋'이라는 말로 시적 화자를 가리킨다. 이 작품은 임을 간절히 그리워하여 꿈속에서 수도 없이 임을 만나러 다녀왔다는 표현을 통해서 임을 만나고 싶은 애타는 심정을 그려 내고 있다. 기구에서는 은근한 물음을 통해 그리움을 표현하고 있고, 승구에서는 그리움을 달빛에 비추어 하소연한다. 시상이 변환되는 전구를 거쳐 결구에서는 꿈속의 발자취가 현실로 옮겨진다면 돌길이 이미 모래가 되었으리라 하여 임을 만나고 싶은 애타는 심정을 절실하게 하소연한다. 사대부 남성만 한문을 익히도록 해서 신분, 남녀의 차이를 명백하게 하는 것이 중세 문화의 기본 구조였는데 그런 시대적 배경 속에서도 '자술'은 여성의 정서를 표현한 대표적인 작품이다.

  • 갈래: 한시, 칠언 절구

  • 성격: 고백적, 애상적

  • 제재: 임과의 이별

  • 주제: 임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

  • 연대: 조선 중기(16세기 말)

  • 출전: "옥봉집(玉峰集)"

  • 특징:과장법을 활용하여 화자의 그리움을 효과적으로 표현함. 가정법을 활용하여 현실에서 꿈으로 내용 전환.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9:02:56에 나무위키 몽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