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로코/외교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모로코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외교 관련 틀 파일:모로코 국장.svg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1.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대한민국과의 관계
2.2.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틀:국기|
]]
일본과의 관계
2.3. [[이스라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틀:국기|
]][[틀:국기|
]]
이스라엘과의 관계
2.4.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틀:국기|
]][[틀:국기|
]]
중국과의 관계
2.5.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틀:국기|
]][[틀:국기|
]]
인도와의 관계
2.6. [[이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틀:국기|
]][[틀:국기|
]]
이란과의 관계
2.7.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틀:국기|
]][[틀:국기|
]]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관계
2.8.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틀:국기|
]][[틀:국기|
]]
카타르와의 관계
2.9. [[이라크|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틀:국기|
]][[틀:국기|
]]
이라크와의 관계
2.10. [[시리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틀:국기|
]][[틀:국기|
]]
시리아와의 관계
3.1.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스페인과의 관계
3.2.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프랑스와의 관계
3.3. [[포르투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틀:국기|
]][[틀:국기|
]]
포르투갈과의 관계
3.4.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틀:국기|
]][[틀:국기|
]]
영국과의 관계
3.5.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러시아와의 관계
3.6. [[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틀:국기|
]][[틀:국기|
]]
벨기에와의 관계
3.7.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독일과의 관계
3.8. 기타 유럽 국가들과의 관계
4.1.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틀:국기|
]]
미국과의 관계
4.2. [[쿠바|{{{#!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inline"
쿠바}}}{{{#!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쿠바"
행정구}}}{{{#!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
]]
와의 관계
5.2. 알제리와의 관계
5.3. 모리타니와의 관계
5.4. 리비아와의 관계
5.5. 이집트와의 관계
6. 지역별 관계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모로코의 외교에 관한 문서.

아프리카에서 유일하게 아프리카 연합 회원국이 아닌 나라였다. 정확하게는 1984년 아프리카 연합의 전신인 아프리카 통일 기구에서 탈퇴한 것인데 이는 해당 기구가 서사하라국가로 인정하고 회원국으로 받아 주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프리카 연합 회원국인 튀니지, 이집트, 리비아북아프리카 내 주변국들과 남아공, 세네갈, 나이지리아, 가봉 등 일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과 국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유럽연합에 가입하려다가 비유럽 지역이며 유럽 국가의 속령도 아니라는 이유로 리비아와 함께 거부당했다.[1] 그러나 2017년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아프리카 연합 정상 회담에서 각 아프리카 연합 회원국들이 모로코의 재가입을 승인하면서 다시 아프리카 연합에 가입하게 되었다.

기본적으론 모로코는 친서방 국가에 속해 있다. 미국, 영국, 프랑스, 스페인과는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고 프랑스와는 특히 가까운 편이다. 프랑스의 문화에 영향을 많이 받았고 스페인의 문화도 모로코에 영향을 줬다. 또한, 프랑스어는 모로코에서 가장 대중화된 언어이며 스페인어 역시 모로코에서 주요 외국어로 많이 쓰이고 있다. 다만, 역사적인 이유로 인해 스페인과 프랑스와는 갈등이 있는 편이다. 세우타멜리야를 두고 모로코는 스페인과 영토갈등이 있다.

2. 아시아[편집]



2.1. 대한민국과의 관계[편집]




2.2. 일본과의 관계[편집]


일본과는 1953년에 수교했다. 양국은 대사관을 두고 있으며 도쿄에 주 일본 모로코 대사관, 라바트에는 주 모로코 일본 대사관이 위치해 있다. 그리고 모로코를 여행하는 일본인 관광객들도 많은 편이다.

2.3. 이스라엘과의 관계[편집]




2.4. 중국과의 관계[편집]



모로코와 중국은 대체로 우호적인 편이다. 아프리카에 영향력을 넓히고 있는 중국답게 모로코에도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다.

2.5. 인도와의 관계[편집]


인도는 모로코와 외교관계를 맺었다. 양국은 교류,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2023년에 모로코에서 대지진이 일어나자 인도 측이 위로전을 보냈다.#


2.6. 이란과의 관계[편집]


비록 모로코가 세속주의를 주장하고 있다만 2009년에 이란의 아랍연맹간 갈등에 의한 내정간섭의 이유로 단교하였으며, 예멘 내전에서 모로코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주도 연합군에서 후티와 이란에 대립했다.

2.7.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관계[편집]



사우디 왕족과 갑부들이 자국에서 금지된 술을 마시기 위해 술 판매가 허용된 모로코로 음주 관광을 오기도 한다. 따진 요리에 카사블랑카 맥주 한 잔하면 맛 쥑이지.

모로코는 예멘 내전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주도의 연합국에 서서 이란과 후티에 대응하여 맞서다가 비용 문제등으로 2019년에 철수하였다.

2.8. 카타르와의 관계[편집]


사우디 주도의 카타르 봉쇄에 대해서는 동참하지 않았고 (이웃 알제리, 튀니지도 마찬가지), 국왕이 직접 카타르를 방문해 봉쇄를 견디게 원조를 하고 보복에 동참한 사우디, 아랍 에미리트, 바레인 등 아랍 주변국을 설득할 것을 약속했다.


2.9. 이라크와의 관계[편집]


이라크의 경우 1991년 걸프 전쟁 당시 이라크와 전쟁을 하던 쿠웨이트를 지지하며 미국 서방 주도의 다국적군에 참전해 이라크와 싸우기도 했었지만 2000년대 미국의 이라크 전쟁 당시 모로코가 미국의 이라크 전쟁에 대해 반대입장을 나타내기도 하였고, 이라크도 모로코와의 외교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서사하라 분쟁에서 모로코와 대립하는 서사하라를 독립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2]


2.10. 시리아와의 관계[편집]


시리아 역시 2011년 시리아 내전 발발 당시 모로코가 시리아 아사드 정권의 시민 학살을 규탄하고, 외교 관계를 단절하며 악화된 적이 있었으나 시리아 내전이 2010년대 말 아사드 정부군에게 유리해지자 아사드 정권을 시리아의 합법 정부로 인정하고, 동시에 내전으로 단절되었던 시리아와의 국교관계를 재개하여 개선되었다.


3. 유럽[편집]



3.1. 스페인과의 관계[편집]





3.2. 프랑스와의 관계[편집]





3.3. 포르투갈과의 관계[편집]




스페인만큼은 아니지만 이쪽 관계도 나름 애증의 관계. 그러나 스페인보다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의지하는 경향이 강하다.


3.4. 영국과의 관계[편집]


영국과는 우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3.5. 러시아와의 관계[편집]


모로코는 다른 북아프리카의 국가들처럼 러시아의 관계도 양호하다.


3.6. 벨기에와의 관계[편집]





3.7. 독일과의 관계[편집]


모로코와는 교류,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모로코로 관광하러 오는 독일인들이 많은 편이다. 독일어는 모로코에서 주요 외국어로 지정돼 있다. 모로코인들중에는 경제적인 이유로 독일로 건너가는 경우가 존재한다.

모로코 출신 축구선수가 독일 분데스리가에서 활약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2015년 1월 22일, 독일과 모로코 외무장관들이 난민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3.8. 기타 유럽 국가들과의 관계[편집]


튀르키예와 마찬가지로 모로코도 북아프리카에 있지만 친유럽 성향이 강하다. 또한, 고대부터 로마 제국의 영토였던 적도 있어서 유럽과는 역사적인 이유로도 밀접한 편이다. 유럽 최대의 저가 항공사라이언에어는 유럽 대륙 외 유일하게 모로코 각 도시에 취항하며, 유럽 각국의 국제버스 연합체인 유로라인에도 뜬금없이 모로코의 버스 회사도 끼어 있다든지... 지중해와 좁은 지브롤터 해협만 넘으면 바로 서유럽이니까 실제로 가깝기도 하다. 심지어 1987년에는 유럽연합 가입을 신청한 적도 있을 정도. 물론 거절되었지만. 옆나라 알제리와는 사뭇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으며 건너편 튀니지가 이런 면에서 비슷하다.

그외에 네덜란드에는 모로코인들이 이민을 상당히 많이 갔다고 하며[3] 심지어 로테르담에서는 모로코계 시장이 나오기도 했다.


4. 아메리카[편집]



4.1. 미국과의 관계[편집]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요르단, 쿠웨이트 등과 더불어 친미 성향이 강한 아랍세계의 군주국이다. 그 관계는 의외로 오래됐는데, 미국이 독립을 선언한지 1년 5개월 후인 1777년 12월에 미국의 독립을 승인하며 세계 최초로 미국의 존재를 인정한 나라가 바로 모로코다. 또한 1786년에 미국-모로코 친선조약을 체결하면서 정식으로 외교관계를 수립했는데 미국에게 이 조약은, 이후 깨어지지 않고 유지된 가장 오래된 친선조약이라는 의미가 있다. 오늘날까지도 지속되고 있기 때문.

미국의 국가기념물이 모로코 탕헤르에 있다. 이 건물은 오랫동안 미국의 영사관으로 사용하다가 1982년에 미국에 기증함으로써 국외에 위치한 유일한 미국의 국가기념물이 되었다. 2006년에는 미국과 모로코 간 FTA협정이 발효되는 등, 경제적인 부분에서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다.

2019년 12월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모로코를 방문하여 모로코 외무장관과 회담을 가져 이란을 고립시키는 고립문제를 의논했다.# 또한 모로코는 이스라엘과 수교하면서 서사하라의 모로코 영토 일부 합병을 미국에게 승인받았다.


4.2. 와의 관계[편집]


알제리와 서사하라의 관계 때문에 단교했었다가 2016년에 미국과 쿠바가 재수교하자 그 이듬해인 2017년 재수교 하였다.

5. 아프리카[편집]



5.1.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와의 관계[편집]



모로코가 서사하라를 지배한 이후, 서사하라는 모로코로부터 독립하기 위해 투쟁하고 있다. 모로코는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고 있고 자국 영토라 주장하고 있다.

5.2. 알제리와의 관계[편집]




근방국가인 알제리와는 영토 문제와 서사하라 독립 문제로 원수지간이다. 양국간에는 국경에 있어서도 내외국인 모두 함부로 월경할 수 없으며 비행편이 아닌 육로상에서는 양국의 국경을 오가기도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또 알제리가 서사하라 독립군 지원을 한 전적 때문에 양국 사이는 굉장히 불편한 기색에 있는 편이다. 이후 2021년에 알제리와 모로코는 단교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양국간 국경은 폐쇄되었다. 다만 항공편은 유지시켰는지 한 외국인이 모로코에서 알제리로 넘어가려할 때 비행편이 아니면 육로로의 월경은 어렵다며 거부당한 적도 있었다.[4] 하지만 상호 무비자협정을 체결한 국가이며 카타르 월드컵 당시 알제리도 모로코의 4강 진출을 축하하는 등, 현재는 그나마 관계가 나아진 편이며 양국이 다시 재수교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5.3. 모리타니와의 관계[편집]



모리타니와는 예전에 서사하라 문제로 갈등을 빚은 적이 있었다. 다만 미국과 프랑스의 지원을 받은 모로코군의 압박에 못이겨 수도 적은 모리타니군이 서사하라에서 철수를 했다.[5] 하지만 모리타니도 친알제리 노선을 타고 있어서 금이 가고 있지만 중요한 무역 상대국이다 보니 쉽게 버릴 순 없는 모양이다.


5.4. 리비아와의 관계[편집]



리비아와는 카다피 정권 시기에는 서사하라를 인정했었으며, 카다피 정권이 무너진 이후 잠시 주춤했지만 현재는 다시 완전히 개선되었다.


5.5. 이집트와의 관계[편집]



양국은 아프리카 연합, 아랍 연맹, 이슬람 협력기구의 회원국들이다. 아랍 문화권, 이슬람 문화권에 속하며 양국간의 교류, 협력이 활발하다.

6. 지역별 관계[편집]



7. 관련 문서[편집]



[1] 아이러니하게도 튀니지는 섭외하려고 한다.[2] 반면 이라크의 이웃나라들인 이란과 시리아는 서사하라를 독립국가로 인정하고 있다.[3] 입식격투계의 스타였던 바다 하리도 모로코계이다.[4] 그러나 튀니지와 알제리는 국경이 개방되어 있다.[5] 주모로코 한국 대사관이 모리타니의 영사업무까지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