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동묘

덤프버전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416호

417호

418호
제주 삼양동 유적
괴산 송시열 유적
순천 검단산성


괴산 송시열 유적
槐山 宋時烈 遺蹟
Historic Site Related to Song Si-yeol, Goesan


소재지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동길 188, 외
(화양리)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역사사건
수량 / 면적
95,681㎡
지정연도
1999년 12월 29일
건축시기
1696년 (숙종 22년)
관리자
(관리단체)

괴산군
}}}}}}


파일:만동묘.png

만동묘
파일:괴산_송시열_유적_-__만동묘_정면_및_현판.jpg}}}
만동묘 정면 및 현판[1]

1. 개요
2. 역사
3. 관광 정보
4. 기타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리[2] 화양계곡 내에 위치한 사당으로 임진왜란조선도와준 명나라 신종(만력제)과 명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의종(숭정제)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사당이다. 만동묘는 사적 제417호, 만동묘정비는 충청북도 기념물 제25호로 지정되었다. 화양서원(화양동서원) 내부에 있던 시설로 화양서원은 서원 철폐 이후 터만 남았다가 1999년 사적으로 지정 후 2001년부터 04년까지 만동묘[3]와 승삼문, 송자사[4]등 일부 건물을 복원했다.

만동묘라는 이름의 유래는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조종암(朝宗巖)에 새긴 선조의 어필 만절필동(萬折必東)[5]. 선조가 쓴 '만절필동'을 모본하여 화양리 바위에 새겼는데, 그 첫 글자와 끝 글자에서 취해 '만동묘'라고 하였다.

2. 역사[편집]


만동묘 설립은 노론의 영수인 송시열로 거슬러 올라간다. 인조 때 민정중[6]이 청나라에서 구한 명나라 마지막 황제 의종 숭정제의 친필 '비례부동(非禮不動)'을 전해 받은 송시열이 그 글씨를 화양동의 암벽에 새기고 현종 15년(1674) 화양리에 운한각, 화양서원 등을 지어 후학들을 가르쳤다. 이후 송시열은 숙종 15년(1689) 사사될 지경에 처하자, 당시 이미 이자성의 난으로 명나라가 멸망한 지 50여 년이 지났건만, 명나라의 신종 만력제와 의종 숭정제의 사당을 세워 제사를 지내라고 제자 권상하(1641-1721)에게 유명으로 남겼다. 권상하는 명나라가 멸망한 지 꼭 환갑이 되는 숙종 30년(1704) 인근 유생들의 협력을 얻어 화양서원 내 만동묘를 창건하고 스승의 유언대로 만력제와 숭정제의 신위를 봉안하여 제사를 올렸다. 이후 조선 임금들도 만동묘를 융숭하게 대우하였다. 영조 2년(1726) 나라에서 만동묘에 제전과 노비를 내려주었고 그 후에도 예조에서 90명이 돌아가며 묘우를 지키게 하는 등 여러 가지로 지원했다. 정조는 직접 사필을 내리기도 했다고 한다.

그러나 국가로부터 많은 혜택을 받은 만동묘는 이후 서원 폐단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지목받았다. 지역의 백성들에게 역을 빼주겠다고 강요하여 돈을 받아내고 서원의 제사 비용을 부담케 하고[7] 할당된 비용을 내지 못한 백성들을 함부로 붙잡아서 폭행하거나 고문하는 등 만행이 심했다. 심지어 거스르는 백성을 멋대로 사형시켜도 처벌받지 않을 지경이었다. 당시 이 일대에 "원님 위에 감사, 감사 위에 참판, 참판 위에 판서, 판서 위에 삼상(삼정승), 삼상 위에 승지[8][9], 승지 위에 임금, 임금 위에 만동묘지기"라는 노래가 퍼졌을 정도였으니 말 다한 셈. 심지어 젊은 시절 흥선군이 이곳을 참배하려다가 만동묘지기(혹은 지역 유생)에게 얻어맞는 등 고초를 당했다는 야사도 있다.

결국 고종 2년(1865) 흥선대원군서원 철폐 당시 만동묘를 철폐하고 대보단으로 신주와 편액을 옮겼다가[10] 고종 10년(1873) 부활했으나 고종은 만동묘만 복구해주곤 나머지 서원의 복구 요구는 씹었다. 그나마 만동묘 복구도 제사를 국가가 주관하게 하여 예전과 달리 만동묘 좨주[11]들에게 권력을 주지 않았다. 이후 1907년에는 의병을 토벌하기 위하여 일본군이 환장암과 운한각을 불태웠으며, 이듬해에는 만동묘를 철폐하는 동시에 만동묘에 소속된 재산을 국가와 지방 관청에 귀속시켰다.

이후 일제강점기 1937년까지 지방 유림들이 일제 몰래 제사를 지냈으나 발각되어 1940년에 완전히 제사의 맥이 끊겼고 1942년엔 명나라에 대한 보은 명목으로 세워진 만동묘정비의 글자를 모조리 쪼아 없애고 만동묘 건물을 불태웠으며 비석은 묻어버렸는데 1983년 홍수로 다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지만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인들이 글자를 모두 쪼아 없애버렸기에 해석은 불가능하다. 현재의 만동묘와 화양서원은 2001-04년까지 만동묘와 승삼문, 송자사 등 일부 건물을 복원했고, 남은 건물들도 복원하려 노력하고 있지만 중화 사대사상의 상징과 같은 건물의 복원에 대한 시선이 곱지 않고, 무엇보다 백성들을 수탈하던 만동묘의 악명이 있어서 이것 때문에 복원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많은 것으로 볼 때 조선의 소중화 사상을 잘 보여주는 유적임과 동시에 서원이 권력을 가지면 어떻게 되는지를 잘 보여주는 건물로 볼 수 있다.

3. 관광 정보[편집]


주차 요금은 경차는 2000원, 승용차 5000원, 버스 6000원으로 꽤 비싸며 만동묘까지 약 10분 정도 걸어가야 한다. 여름에는 피서객이, 가을에는 화양 계곡에 위치한 도명산을 등산하기위해 찾아오는 관광객들이 많아 주차할 곳이 마땅치 않기 때문에 느긋하게 관람하려는 사람들은 이 때를 피하는 것이 좋다.

화양서원과 화양 계곡에 대해 알아보며 관람하고 싶다면 국립공원공단에서 운영하는 자연 해설과 괴산 군청에서 운영하는 화양서원 문화 해설을 듣는 것이 좋다. 자연 해설은 화양동 주차장과 2곡 운영담 사이에 위치한 자연 학습 탐방로에서 진행하며 시간은 30분 ~ 1시간이 소요되며 미리 예약해야 하고(전화 예약 가능. 043-832-4347) 문화 해설은 화양서원 앞 작은 센터에서 오전 10시-오후 5시 사이에 오면 들을 수 있다.[12] 화양동 주차장에서 1분 거리에 자연 환경 해설사가 상주하는 국립 공원 탐방 지원 센터가 있기 때문에 자연 해설을 먼저 듣고 화양서원으로 가서 문화 해설을 듣는 것이 좋다.

화사모라는 단체에서 4월 ~ 10월 사이 월별 둘째주와 넷째주 토요일마다 화양서원 내에서 각종 문화 체험 행사를 개최하며, 6월과 10월에는 인문 음악 콘서트를 개최한다. 1박 2일 서원 스테이 체험은 예약 필수, 당일 행사 참가는 무료다.


4. 기타[편집]


화양서원이 위치한 화양구곡 내에는 당시 유람 온 관리들이 남긴 자신과 일행들의 이름이나 우암 송시열의 글씨[13], 명 태조 어필[14], 선조 어필[15] , 숙종 어필[16] 등 석각이 많이 남았다. 우암 송시열이 명나라 황제들의 어필 모으기를 즐겼는데, 이를 위해 청나라에 사신으로 가는 제자들에게 대리 구매를 시켰다. 제자들이 모아온 어필들을 당시 화양구곡[17] 내 환장암이라는 절에 모아뒀다고 하는데 현재 전해지는 것은 명 태조 주원장의 어필을 새긴 석각밖에 없다.

만동묘의 계단은 매우 폭이 좁고 단이 높은데, 명나라 황제가 계신 곳을 무엄하게 그냥 걷지 말고 기어서 올라가라는 의미가 있다.

청나라도 조선 만동묘의 존재를 알았기에 조선 사신에게 불쾌감을 드러낸 적이 있었는데, 사신이 말하기를 "재가한 과부가 죽은 전남편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처럼, 우리 조선도 명나라를 그리 대할 뿐입니다. 청나라라고 해서 다르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하니 청나라도 불쾌감을 풀었다고 한다. 근데 이게 달리 해석하면 '청나라 니들 우리 조선보다 먼저 망한다.'는 뜻이 되는 지라, 사신이 은연 중에 패드립을 했다고 볼 수도 있다.[18]

만동묘 때문에 조선에서 만력제가 신성불가침적인 존재였다고 오해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만동묘와는 별개로 만력제가 명나라를 망친 막장황제란 사실은 조선에도 알려졌기 때문에 "사리에 어두운 임금은 원망하지 않는 법이니, 천계(天啓) 황제는 원망할 수 없는 임금에 해당됩니다. 그러나 만력(萬曆) 황제는 초년에 영매하고 호걸스럽던 임금이었는데도 사십 년 동안 왕위에 있으면서 신료들을 인접한 적이 없었습니다. 이것은 경계로 삼아야 할 일입니다."라고 만력제를 부정적으로 평한 기록도 있다. 또한 조정에서 명나라가 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나라가 망했음에도 자결한 충신이 없는 것에 대해 황제가 임금답지 못하여 지조와 절개 있는 자들이 떠나 그렇다고 은근히 명나라를 디스하는 기록도 존재한다.[19]

또한 명나라에서는 왜란 이후 재조지은을 빌미로 조선에게 막대한 은을 요구했다. 명나라가 만력제 탓으로 경제가 어려워지자 만력제는 자신의 국고를 여는 대신 광세(鑛稅)라는 세금으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전국의 은을 긁어모았는데, 이런 와중에 불똥이 조선으로도 튄 것이다. 만력제는 중국인들에게 고려[20]황제라는 비아냥을 들었지만, 정작 조선 입장에서도 마냥 고마운 인물은 아니었다. #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6:07:16에 나무위키 만동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2] 조선시대 행정구역으로는 충청도 청주목 청천면 화양동.[3] 명 신종과 의종 두명의 위패를 모시게 복원되어야 했지만 복원 미스로 3위의 위패를 모시게 만들었다.[4] 우암 송시열의 사당[5] 황하의 물이 만 번을 꺾여도 결국 동쪽(조선)으로 흐른다는 뜻이다. 축약하자면 소중화사상.[6]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의 둘째 큰 아버지[7] 이것을 화양묵패(華陽墨牌)라고 한다. 인근 수령들과 백성들에게 제사 지낼 돈을 내라는 청구서. 당대 집권 세력인 노론의 중심지나 다름없었으니 워낙 위세가 강력해서 수령들도 어쩌지 못했다.[8] 승지는 요즘으로 치면 대통령의 수석비서관 정도 된다. 품계가 정3품인데도 일인지하 만인지상이라는 정1품 삼정승보다 높게 표현한 이유는 요즘으로 치면 일종의 문고리 권력 때문이다. 현대에도 당시 우부승지에 대응되는 민정수석비서관은 그 권력이 정말로 높은데 이 권력을 남용한 사례로 우병우가 있다.[9] 단 중국의 십상시 같이 정책 보좌, 자문 등을 할 수 없는 위치에 있는 자들이 국정에 끼어드는 것과 다르다. 정승보다 품계가 낮을지라도 승지는 국왕의 곁에서 정책 자문 및 보좌를 수행하는 직책이다. 다만 직책상 임금의 지근거리에서 일하기에 문고리라고 개그로 부르는 것.[10] 이쪽은 국가에서 명나라 홍무제, 만력제, 숭정제를 제사 지내는 곳으로 숙종 30년(1704) 창덕궁 금원 옆에 설치되었다. 국가 입장에선 충분히 제사지내는 장소가 겹친다는 명분을 내세울 수 있었는데, 대보단은 고종 21년(1884) 갑신정변 이후부터 제례가 중단되었다.[11] 祭酒이지만 제주라 읽지 않는다는 점에 주의. 祭酒를 제주로 읽으면 제사에 쓰이는 술을 가리키고, 여기서 좨주는 벼슬 이름이다.[12] 해설사들이 휴무인 날도 있을 수 있음. 괴산군 문화 관광과에서 예약가능.[13] 4곡 금사담 암벽에 위치[14] 충효절의, 4곡 금사담 암격에 위치[15] 만절필동, 5곡 첨성대 밑 암벽[16] 비례부동, 5곡 밑 계곡의 암벽에 위치[17] 현 명칭은 화양 계곡이나 당시 명칭은 화양동 또는 화양구곡이다.[18] 실제 청나라는 결국 조선이 경술국치로 1910년에 망하고 2년 뒤에 신해혁명으로 망했다.[19] 상이 이르기를, "3백 년을 지켜온 종묘 사직이 일조에 빈 터가 되어 버렸으니, 의당 순절한 신하들이 있었어야 할 터인데, 지금까지 그런 사람이 있었다는 말을 듣지 못했으니, 참으로 탄식할 일이다." 하니, 석윤이 아뢰기를, "만일 절개를 지키고 의리에 죽은 사람이 있었다면, 비록 어리석은 남녀라도 반드시 모두 그들을 칭송할 것입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적막한 것은 반드시 황제가 임금답지 못하여 환관들이 정권을 쥐게 되고, 예의가 쓸어버린 듯이 흔적도 없고, 염치가 무너져 버림으로써 지조와 절개 있는 사대부들이 이미 먼저 자리를 떠나가서 그렇게 된 것입니다." # [20] 당시 중국, 일본에서는 조선을 지칭하는 단어로 삼한, 고려, 조선이 모두 통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