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패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마우스패드에 대한 내용은 마우스패드 문서
마우스패드번 문단을
마우스패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의 말을 빌리는 도구. 출마패라고도 하며, 고려 원종 때 처음 등장했고[1] 조선 태종 10년부터 본격화되었다.

암행어사를 대표하는 필수요소 아이템으로 알려져있지만 지방 출장가는 관원들 모두가 쓸 수 있었던 물건. 영조 때 기준으로 중앙에서 500개, 지방에서 감사, 병사, 수사들이 발부한 150개의 마패가 사용되었다.

처음엔 목조마패였으나 세종 때부터 철제, 성종 때부터는 동제로 바뀌었다. 병조 상서원에서 기마문자(마문)를 내려주면 승정원에서 받아가는 형식이었다. 앞면에 말이 세겨져있고, 뒷면에는 연월과 상서원인(상서원 도장)이란 글씨가 쓰여있었다.

1~10마리가 새겨져 있었으며, 10마리는 왕 전용, 9마리는 세자 전용. 8마리는 왕의 전권 특사. 영의정은 7마리까지, 암행어사는 보통 2~5마리 정도였는데 실제로는 3마리 이상을 빌리면 사실상 나 암행어사다 하고 광고하는 셈이나 다름없어서 1~2마리만 빌렸다고 한다. 관점에 따라서는 마패를 줬는데 왜 말을 빌리지 못하니의 상황이라고 볼 수도 있다.

종종 말의 숫자가 이동거리가 멀수록 많아진다고 오해하기도 한다. 말 3마리짜리 마패는 역참 3개를 지날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냥 간단하게 수행원의 숫자라고 생각하면 된다. 신분이 높을수록 수행원이 많아지고 그들 모두가 탈 수 있는 말을 빌릴수 있는 것이다. 사실 역참 입장에서는 그사람이 역참 몇개를 지나왔는지 알 방법이 없던 시대니 애초에 말이 안된다.

마패모양 교통카드도 나왔다고 한다.

2.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6:10:30에 나무위키 마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고려는 경기 밖에는 역참을 촘촘히 깔지 못했어서 잘 쓰이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