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옥산 사건

덤프버전 :

만주사변

[ 펼치기 · 접기 ]
사건
날짜
벌어진 일
탕산 사건
1931년 2월 28일
후한민 감금
1차 양광사변
1931년 5월 27일~1932년 1월 1일
광저우 국민정부 수립
나카무라 사건
1931년 6월 27일
나카무라 중위 피살
만보산 사건
1931년 7월 1일
한중 농민 충돌
제3차 초공작전
1931년 7월 1일~1931년 9월 20일
공산당에 대한 3차 토벌작전
류탸오후 사건
1931년 9월 18일
만주사변 발발
눈강 전투
1931년 11월 4일
관동군의 치치하얼 침공
천진사변
1931년 11월 8일~12월 1일
관동군의 푸이 옹립
영월합작
1932년 1월 1일
1차 양광사변 종식
진저우 침공
1932년 1월 3일
관동군의 진저우 점령
사쿠라다몬 의거
1932년 1월 8일
이봉창의 폭탄 투척
마옥산 사건
1932년 1월 18일
일본인 승려 구타 사건
제1차 상하이 사변
1932년 1월 28일~5월 5일
일본군의 상하이 침공
훙커우 공원 의거
1932년 4월 29일
윤봉길의 폭탄 투척
송호정전협정
1932년 5월 5일
1차 상하이 사변 종결
이시모토 사건
1932년 7월 17일
관동군 촉탁 피살 사건
열하사변
1933년 2월 23일~5월 31일
일본군의 열하 침공
당고정전협정
1933년 5월 31일
열하사변 종결




  • 일본어 : 上海日本人僧侶襲撃事件 (シャンハイにほんじんそうりょしゅうげきじけん)
  • 중국어 : 日僧事件

1. 개요
2. 배경
3. 전개
3.1. 일본인 승려 습격
3.2. 일본인들의 폭동
3.3. 일본의 최후통첩
3.4. 해군의 가세
3.5. 국민정부의 굴복
4. 결과
5. 참고문헌
6. 관련문서


1. 개요[편집]


1932년 1월 18일, 상하이 마옥산(馬玉山)에서 일본인 승려 2사람과 신도 3사람이 괴한의 공격으로 구타당해 1사람이 사망한 사건을 말한다. 일본은 이를 구실로 제1차 상하이 사변을 일으켰다.


2. 배경[편집]


1931년 10월 상하이 주재 공사관부 육군 부무관 다나카 류키치(田中 隆吉) 소좌는 봉천 특무기관의 하나타니 소좌의 호출전보를 받았다. 이들은 모두 일본 육사 26기 동기로 중국에 공작을 하고 있던 대표적인 일본군인들이었는데 이때 하나타니 소좌는 심양에 도착한 류키치를 만주사변을 획책한 이타가키 세이시로에게 소개시켜주면서 다음과 같은 얘기를 했다.

일본 정부가 국제연맹으로부터 아주 나쁜 인상을 받고 있기 때문에 관동군의 계획이 마음 먹은 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 지금 관동군은 하얼빈을 점령하고자 하고 있으며 내년 봄에는 만주독립을 실현할 예정이다. 만주국 수장에는 아이신기오로 푸이를 추대할 게획인데, 이미 도이하라 대좌가 톈진에 가서 푸이와 접촉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방법으로 밀고 나가게 되면 국제연맹에서 시끄럽게 떠들어댈 것이고 일본 정부도 찬동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래서 생각해낸 방법인데, 이때 상하이에서 사건을 일으켜 서방 측 열강의 주의를 그쪽으로 돌리고 싶다.


이타가키는 다나카에게 공작금 2만엔을 주었으며 관동군 센다 대위 등을 붙여 지원해주었다. 상하이로 돌아온 다나카는 다시 상하이의 일본 섬유회사로부터 10만 엔의 공작금을 더 빌렸고 여기에 가와시마 요시코가 합세했다. 이들은 일본인 살해 사건을 조작하여 일본인과 일본 거류민들의 분노를 촉발할 계획을 꾸몄다. 마침 시기도 적절했다. 1932년 1월 8일 이봉창 의사가 히로히토 천황을 처단하기 위해 폭탄을 투척한 사쿠라다몬 의거(桜田門義擧, 앵전문의거)가 벌어지자 상하이의 민국일보가 '불행하게도 부차가 약간 폭파되는 것으로 끝났다.'고 보도했고, 이것이 상하이의 일본 거류민을 비롯한 일본을 크게 자극한 것이었다. 상하이 총영사 무라이는 상하이 시장 우톄청에게 이를 강력 항의했고 우톄청은 민국일보에게 기사를 취소하게 하여 사태를 진정시키려 했지만 다나카가 이미 이 떡밥을 물어버린 후였다.


3. 전개[편집]



3.1. 일본인 승려 습격[편집]


1932년 1월 18일 오후 4시, 일본 묘법사 소속 승려 아마자키 케이쇼, 미나카미 히데오가 신도 3명과 함께 수행을 위해 상하이 마옥산(馬玉山) 길을 가는 중이었다.[1] 이들은 마옥산 근처의 삼우실업사에서 공장 노동자들이 의용군을 조직하는 모습을 구경하다가 갑자기 의용군에게 돌을 던져 도발하고 폭력 사태를 유발했다.

잠시 후 나타난 중국인 몇명이 이들에게 폭행을 가해 4명에게 부상을 입혔다. 방직공장인 동화사창 직원이 마침 근처에 있어 중상을 입은 3인을 병원으로 이송했으나 결국 승려 한 사람이 병원에서 숨지고 말았다. 중국인 경찰들이 신고를 받고 나타났을 때 범인들은 이미 달아난 후였다. 사실 이 범인들은 다나카 류키치 및 헌병대위 켄분 시게토가 매수한 괴한들이었지만 시기가 시기인 만큼 대다수 사람들, 심지어 서구 열강조차도 이 사건을 중국의 반일단체들의 소행으로 생각하였다. 일본 영사는 즉각 본국에 일본 승려 한 사람이 죽었다고 대대적으로 알리고 중국인들의 습격으로 고통받는 승려들의 그림을 발표함으로 반중 감정을 부추겼다.


3.2. 일본인들의 폭동[편집]


다음날인 1월 19일 밤 일본 청년 동지회 회원과 기타 폭도 30명이 칼과 곤봉, 화약으로 무장하고 일본 승려를 살해한 자들이 이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가 틀림없다는 억지를 부리며 중국기업인 삼우실업사를 공격하여 삼우실업사 소속 수건공장을 닥치는 대로 때려부쉈는데, 삼우실업사가 일본 기업들과 쟁쟁하게 경쟁하는 기업으로 일본상품불매 운동으로 고생하던 일본인들에게 평소에 미움을 받았기 때문이었다. 이들은 돌아오는 길에 중국인 경찰 2명을 살해하고 1명을 부상입혔다.

다음날인 20일 오후 다시 봉래로에 흥분한 일본인 거류민 2천명이 일본인 클럽에 모여 중국의 배일운동 진압을 위한 일본군 파병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일본 총영사관, 일본 해군 육전대 본부로 행진했으며 공동조계, 갑북의 규강로, 북사천로 등에서 중국인 행인들을 마구 폭행하고 상점, 전차, 버스를 파괴했으며 조계의 서구 열강 경찰들도 공격해 부상을 입혔다. 당시 상하이 일본 거류민의 5% 정도가 중소 상공업자들이었는데 이들은 중국에서 활발히 벌어지던 반일 운동, 일화 배척운동 등으로 인하여 생계에 위협을 느끼자 반동으로 매우 강한 반중감정을 품고 거칠게 행동하였다.

1932년 1월 28일 상하이 일본상공회의소, 재화방적 동업회, 상하이 공업동지회, 미쓰이 물산, 미쓰비시 상사가 모여서 결성한 금요회[2]에서 내놓은 금요회 팸플릿 78호는 자위권 발동으로 만몽문제를 해결하고 일본 배척운동을 근절하라고 요구하고 있었다.

국민당이 신봉하는 대외 지도 원리는 단지 '혁명외교에서의 타도 제국주의'뿐이다. 중국 자신의 자각적 각성과 변화를 기대할 수 없는 이상, 유일한 최고 방책은 모든 것을 파괴한 후에 다시 시작하는 것뿐이다.


이들의 행동에 대하여 상하이 총영사 무라이도 "당시 우리나라의 신용을 떨어뜨린 것은 한 가지가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3.3. 일본의 최후통첩[편집]


무라이 쿠라마쓰 총영사는 일본인들이 폭동을 일으킨 날 상하이 당국에 시장의 사죄, 범인의 체포, 손해배상과 의료비 지원, 항일운동 단속, 배일단체 해산 등 5개 항목을 요구했다. 시오자와 고이치 제독도 항일구국회와 다른 반일단체를 해체시키라고 요구하는 등 중국의 주권을 존주하지 않은 무리한 요구를 하였다.

상하이 시장 우톄청은 1,2,3항은 고려하겠으나 4,5항은 자발적 단체에 시정부가 압력을 가할 순 없고, 단 이들이 불법행동을 저지르면 단속하겠다고 했다. 그리고 일본인들의 삼우실업사 공격 등의 폭동행위에 항의했다. 이에 무라이는 유감을 표하며 범인을 잡아 일본법률에 따라 처벌하겠다고 했다. 결국 다나카와 이타가키 등의 작전은 주효하여 상하이 거류민들과 일본 우익 단체들은 중국에 대해 자위권을 행사하라고 소란을 피워댔고 이에 응하지 않는 이들을 협박하여 찬동하게 했다.[3]

3.4. 해군의 가세[편집]


한편 육군이 만주에서 신나게 승전보를 올린 것을 본 해군도 배가 아파서 이번엔 해군이 나서야 할 차례라고 전쟁을 선동했다. 당시 육군 포병감 하타 슌로쿠의 일기에 따르면 1월 26일 해군 차관 사콘지 세이조가 "육군이 만주에서 활약한다면, 이번에는 남에서 해군의 차례다. 기대가 크다. 무리하게 일을 꾸며도 육전대는 어제의 육전대가 아니고 2천명, 야포, 장갑자동차가 있어 괜찮을 것이다."라고 발언했다 한다. 당시 일본 해군은 화중, 화남 일대에 시오자와 고이치 소장 휘하의 제1파견함대를, 화북에 쓰다 시즈에 소장 휘하의 제2파견함대를 배치하고 있었는데 만주사변 이래로 중국의 항일운동이 거세지자 제1파견함대에 순양함 덴류, 부설함 도키와를 증파하는 등 해군의 움직임은 진작부터 심상치 않았다.

22일 일본 해군 제1파견함대 사령장관 시오자와 고이치 소장은 '상하이 시장이 만족스런 회답을 주지 않고 요구하는 바를 즉시 실행하지 않으면 해군 사령장관은 일본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그에 상응하는 수단을 채택하겠다.'는 설명을 발표했고 황포강에서 일본 해군 함정들이 무력시위를 가하며 중국 선박들을 마구 나포했다. 24일까지 일본은 거류민과 선박을 보호한다는 구실로 상하이 주둔 병력을 증강하기 시작했으며 기존의 지나파견함대에 항공모함 노토로, 순양함 오이, 구축함 5척, 포함 1척, 부설함 1척, 순양함 유바리를 기함으로 하는 제1수뢰전대, 구레와 사세보에서 증파된 해군 육전대를 더 붙여주었다. 오이에 탑승하고 있던 200명의 육전대는 즉각 상륙하여 강만로의 육전대 본부로 진입했다. 일본 해군이 상하이 교외의 무선전신국과 상하이의 국제전신국을 점령하려 한다는 소문도 퍼졌다.

이런 해군의 무력을 등에 업은 무라이 총영사는 24일 우톄청에게 "주어진 기간 내에 만족스런 회답을 하지 않는다면 더 이상 선택의 여지를 남겨놓지 않겠다." 하고 위협하고, 27일 최후통첩을 보내 28일 오후 6시까지 대답하라고 강요했다. 결국 우톄청은 상하이 각계 항일 구국위원회를 해산시키고 경찰을 파견하여 이들을 봉쇄했다. 하지만 일본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모든 항일단체를 해산하라고 윽박질러댔다.

3.5. 국민정부의 굴복[편집]


1월 28일 아침 일본은 공동조계 공부국에 중국 측이 기한 내에 만족할 회담을 하지 않으면 실력행사에 들어가겠다고 통고했다. 이에 공부국은 28일 오후 4시에 긴급사태를 포고하기로 결정하고 각국 영사관에 통고했다. 이때 일본 해군 육전대 600명이 상륙하여 갑북과 공동조계에서 전투 준비를 갖추고 있었다. 우톄청은 상하이가 파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일본에 굴복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했다.

오후 1시, 그는 무라이가 요구한 5개 항을 모두 수락하겠다고 회답하고 모든 항일단체를 해산하고 이를 위해 경찰력을 파견했다. 이에 무라이 역시 만족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상하이 시정부 역시 사태가 더 이상 확산될 건덕지가 없다고 판단하여 국민당 중앙집행위원회 행정원에 다음과 같은 전보를 보냈다.

이 건은 일단락된 것으로 믿고 있음. 단 상하이 시민이 격분하고 있는 바, 시로서는 이를 강력하게 제지하고 있으며 아직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음.


군정부장 허잉친 역시 상하이에 주둔한 19로군을 갑북에서 철수시키라는 일본의 요구를 수용하고 헌병 6단과 5일 내에 교체할 것을 지시했다. 우톄청은 상하이 각계 항일구국위원회와 다른 항일단체의 위법 행위를 규제하라고 지시하는 한편 항일단체 취소를 명령했다.

4. 결과[편집]


하지만 일본의 목적은 만주국 수립을 위한 시간을 벌려는 것이므로 겨우 이 정도로 물러날 생각이 전혀 없었고 1월 28일, 일본군의 기습이 시작되면서 제1차 상하이 사변이 발생했다.


5. 참고문헌[편집]


  • 중일전쟁, 권성욱, 미지북스.
  • 장제스 평전, 조너선 펜비, 민음사.
  • 히로히토 평전, 허버트 빅스, 삼인.
  • 서문당 다큐멘터리 중국 현대사 2권, 서문당 편집실, 서문당.
  • 일본군사사 상권, 후지와라 아키라, 제이앤씨.
  • 만주사변기 중일외교사, 유신순, 고려원.
  • 1.28 상하이 사변과 윤봉길 의거의 한중공동항전, 이재령,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 塘沽停戰協定 이후 국제정세와 職業外交官의 항전 입장, 중국사연구 83권, 중국사학회.
  • 滿洲事變 以後 南京國民政府 職業外交官의 부상에 대한 硏究, 석미자, 중국사연구 89권, 중국사학회.
  • 滿洲事變 以後 職業外交官의 對日 强硬態度와 國內活動 硏究, 석미자, 중국사연구 95권, 중국사학회.
  • 만주사변 이후 남경국민정부 직업 외교관의 역할 연구 : 1931-1936, 석미자,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관련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23:13:06에 나무위키 마옥산 사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들이 진짜 승려가 아니라 중국인 부랑자들을 관동군이 일본 승려로 분장시켰다는 주장도 있다.[2] 결성은 1928년 6월.[3] 예컨대 미쓰이 물산 상하이 지점은 일본군들이 권총으로 협박하여 본국에 파병을 로비해달라는 전보를 강제로 보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