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트랙터블 라이트

덤프버전 :

파일:external/24.media.tumblr.com/tumblr_mbu54pbGkq1r37rcwo1_1280.jpg
치제타 V16T의 2단 리트랙터블 헤드라이트
파일:TOYOTA_SUPRA_A70.png
토요타 수프라 A70의 슬리피 아이(Sleepy Eye) 모드[1]

1. 개요
2. 역사
3. 예시
3.1. 자동차
3.2. 열차
3.3. 항공기
3.4. 전차
4. 관련 문서


한: 리트랙터블 라이트[2]
영: Retractable Lights / Pop-up Headlights[3]
일: リトラクタブルライト[4]


1. 개요[편집]


자동차전조등 방식 중 하나로, 평소에는 숨어있다 필요할 때만 튀어나와 앞을 비춰주는 방식의 전조등을 의미한다.

(전조등을 켤 때) 튀어나온다는 의미로 흔히 '팝업 라이트'라고 불리며, 일본이나 한국에서는 특유의 생김새 때문에 '개구리눈' 혹은 '눈꺼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역사[편집]


이러한 방식의 전조등이 나오게 된 것은 순전히 멋부리는 유행이 아닌 과거 미국 법규의 규제 때문으로, 전조등에 규격화된 부품만을 사용하도록 했기 때문에 차체 곡선에 맞게 비스듬하게 들어간 전조등을 사용할 수가 없었던 것이 기원이다. 거기다 형상 제한뿐만 아니라 전조등의 높이 제한까지 있어서, 공기저항 감소 등의 이유로 차체를 유선형으로 다듬다 보니 전조등을 넣을 공간이 안 나와서 이런 복잡한 시스템이 된 것. 그 유명한 토요타 AE86도 미국으로 수출된 것은 레빈이 아니라 리트랙터블 라이트를 채용한 트레노뿐이었다.

파일:1936-Cord-810-1024x807.jpg
"리틀 두센버그" 코드 810/812
세계 최초의 리트랙터블 라이트 장착 차량은 코드의 1936년식 "리틀 두센버그" 810/812이다. 다만 이 시기의 리트랙터블 라이트는 그냥 전조등을 감싸고 있는 캡이 위로 올라가는 것 뿐이었다.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당시에는 지금과 다르게 고급 스포츠 쿠페에 장착 되었다. 6~90년대에는 스포츠카에 주로 달린 것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하다.

파일:wKpWajC.jpg
위 사진은 마쓰다 RX-7. 리트랙터블 라이트를 오른쪽처럼 일반 전조등으로 개조하는 튜너도 많다.

닛산 실비아도 일본 내수형에는 일반 내장형 전조등을 달았지만, 미국 수출형에는 180SX의 헤드를 유용한 리트랙터블 라이트를 달았다. 규제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원비아 타입의 바디가 되어버린 셈. 그래서 해당 차주들은 리트랙터블 라이트를 애프터 마켓 내장형 전조등으로 많이 개조하였으며, 21세기 들어 제조사들도 리트랙터블 라이트를 외면하고 있다. 가장 큰 문제였던 미국 법규가 완화되어 이런 삽질을 할 필요가 없어졌고, 기술적으로도 프로젝터 라이트 등의 개발로 전조등의 빛을 수직으로 설치된 렌즈로 조정할 필요가 없어지기도 했다.

사실 이 시스템으로 이득을 보는 건 보는 사람에 따라 멋있어 보인다거나, 전조등 부품의 호환성이 좋다는 것뿐으로, 사실상 없다.[5] 전조등을 꺼내면 공기저항이 증가해 차량 성능이 나빠지고, 배선 시스템과 리트랙터블 모터 때문에 차량 중량이 증가하는데다 공기 흐름이 나빠짐은 물론, 그 중량 증가분으로 인해 프론트 헤비의 앞뒤 중량 배분 언밸런스가 초래되며, 결정적으로 앞부분을 교통사고로 말아먹었을 경우 이놈의 모터와 배선 때문에 수리비가 많이 나온다. 그야말로 차량 성능이나 관리비용에 독이 되는 시스템.[6]

게다가 사람과 충돌시 이렇게 툭 튀어나온 헤드라이트 부분에 찍혀버리면 그냥 범퍼에 부딪히는 것보다 부상을 더 크게 입을 수 있어 위험하기까지 하다. 때문에 리트랙터블 라이트 자체가 불법은 아니지만, 각종 안전규정을 따지다보면 제작이 매우 어려워져 사장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이 방식이 적용되어 생산된 자동차로 유일하게 기아 엘란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서 그런지 동경심을 가진 사람들이 제법 되고, 전격 Z 작전의 키트의 폰티악 파이어버드의 영향으로 단순한 소유욕을 넘어선 리트랙터블 라이트 팬덤이 따로 존재 할 정도다.

일반 양산형 자동차 중 최후의 리트랙터블 라이트 차량으로는 마쓰다 RX-7 3세대 최종형인 FD3S(2002년 단종, 일본 기준)[7], 페라리 456M(2003, 유럽 기준)와 쉐보레 콜벳 5세대(2004, 미국 기준)가 있다.


포르쉐 928의 전조등띠용~

보통 전조등이 아래로 들어가는 공간에, 숨어 있는동안 전조등의 작동부가 노출되지않고 차체와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덮개가 있지만 일부는 전조등이 하늘을 바라보는 형식으로 있다가 올라오는 경우가 있다. 이의 대표적인 예가 포르쉐928 또는 968람보르기니 미우라, 토요타 셀리카 3세대 모델인데, 이쪽의 경우에는 전조등이 평소에는 차체 표면과 매끄럽게 달려 있다가 확하고 올라오는 것이다.


3. 예시[편집]



3.1. 자동차[편집]


실제 양산화되어 판매한 자동차나, 컨셉카 시절 디자인을 자사의 공식 애프터마켓 키트로 바리에이션 제공한 경우만 기록한다.

  • 코드
    • 810/812[8]



  • 오펠
    • GT - 1세대[9]

  • 닛산
    • 펄사 - 2세대, 3세대 일부 모델
    • 페어레이디 Z Z31 - Z32까진 수출명으로 300ZX로 불리웠다.
    • 가젤 - 2세대
    • 실비아 S12
    • 180SX (S13) - 미국 수출형 이름은 2.4ℓ화로 240SX[10], 유럽수출형은 200SX





  • 로터스
    • 엘란 시리즈[11]
    • 에스프리
    • 엑셀[12]
    • 엘리트 - 2세대


  • 마쓰다
    • AZ-1[13]
    • MX-5 - 1세대
    • RX-7 - 시리즈 전부
    • 패밀리아 아스티나
    • 코스모 - 3세대 하드 탑



  • 쉐보레
    • 카마로 1세대 -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었다.
    • 콜벳 - 2세대 ~ 5세대[14][15]

  • 재규어
    • XJ220[16]

  • 리스터
    • 리스터 스톰[17]




  • 페라리 - 70~90년대에 생산된 차량은 모두 빠짐없이 리트랙터블 라이트를 장착하고 있다.
    • 365 GTB/4
    • 디노 246 GT
    • 308 GTB/GTS
    • 365 GT4 BB/512 BB
    • 400i
    • 328
    • 몬디알 T
    • 288 GTO
    • 테스타로사/512 TR
    • 412
    • F40
    • 348 TB/TS
    • 456 GT/M
    • F355[18]
    • 데이토나 SP3[19]












  • 크라이슬러
    • 뉴포트 1941년식
    • 뉴요커 1976~1979년식
    • 레 바론 쿠페/컨버터블 1987~1992년식
    • 뉴요커 1988–1993년식
    • 임페리얼 1990~1993년식[20]

  • 드 소토[21]
    • 드 소토 1942년식

  • 임페리얼[22]
    • 임페리얼 레 바론 1968~1975년식
    • 임페리얼 1980~82년식


  • 포드 모터 컴퍼니
    • 프로브[23]
    • 카프리 1989~1994년식[24]
    • 썬더버드 1967~1972년식




3.2. 열차[편집]


일본의 철도차량인 케이세이 AE100형 전동차에도 전조등을 감싸고 있는 캡이 위로 올라가는 형태의 것이 달려 있었다. #


3.3. 항공기[편집]


항공기도 택싱라이트를 리트랙터블로 채용한 경우가 많다. 가장 정석적인 리트랙터블을 적용한 기종으로는 F-5가 있고, 랜딩기어(주로 노즈기어) 도어 측면에 택싱라이트를 달아서 랜딩기어를 폈을 때 도어가 열리면서 택싱라이트를 켜는 것 역시 넓게 보면 리트랙터블 라이트에 해당된다.
또한 A320의 경우 랜딩라이트가 주익의 뿌리부분 안쪽에 내장되어 있는 보통의 여객기들과는 다르게 주익 하단면에 숨어있는데, 랜딩라이트를 작동시키면 아래로 튀어나온다. 보잉 737도 주익에 내장된 랜딩라이트 외에 동체 하단에 리트랙터블 라이트가 추가로 한 쌍 더 있었는데, 랜딩라이트가 LED로 변경된 이후로 사라졌다.

3.4. 전차[편집]


파일:800px-Tanque_T-26B_modelo_1933_02.jpg
파일:T26_parola_4.jpg
T-26의 리트랙터블 라이트
전차 중에서도 T-26같은 경우, 수동식 리트랙터블 라이트를 채택했는데, 이 경우는 단순한 멋이나 부품 호환 문제로 달은 것이 아니라 등화관제등 용도로도 사용하기 위해 이 방식을 사용한 것이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11:36:27에 나무위키 리트랙터블 라이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순정 헤드램프는 아니며, 사제로 튜닝을 거친 버전이다.[2] 혹은 팝업 라이트.[3] 일반적으로 사람들 사이에서는 '리트랙터블 라이트' 라는 명칭보다는 이쪽이 좀 더 흔히 쓰인다.[4] 일명 リトラ[5] 전술했듯이 이걸 쓰게 된 이유가 규격제품 사용을 강제하는 미국 법규 때문이었다. 본래는 헤드라이트가 자동차의 주행 안전에서 중요한 부품인만큼 호환성을 높이고 수리비를 억제하려는 취지로 만들어진 일종의 소비자 권익 법안이었는데 현실에서는 일종의 보호무역 장벽처럼 작용했다. [6] 파손이 없어도 자연히 갈아야하는 부분 중 하나. 모터와 배선이 있는 공간이 완전히 차단될 수도 없고, 결국 계속 작동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전조등에 비해 수명이 짧을 수밖에 없다.[7] 일본에서 최초로 리트랙터블 라이트를 채용한 양산형 자동차 또한 1세대인 사반나 RX-7(SA22C)이다.[8] 세계 최초의 리트랙터블 라이트 장착차량.[9] 위로 올라오는 방식이 아닌 옆으로 180도 회전하는 방식이다.[10] 쿠페형은 원비아 타입[11] 1996년 기아자동차에서 생산권을 따와 생산한 기아 엘란이 바로 이 차종이다.[12] 엘란과는 달리 이름이 유사한 국내차 현대 엑셀과는 아무 연관이 없다.[13] 양산 라인에는 리트랙터블 옵션이 없지만, 컨셉카 시절의 디자인을 그대로 살린 마쓰다 공식 애프터마켓 키트가 존재한다.[14] 4세대의 경우 전조등이 뒤집혀 나오는 방식이다.[15] 5세대의 경우 세계 최후의 리트랙터블 라이트 장착 양산차량이다.[16] 열릴 때 위로 올라오지 않고 커버가 옆으로 돌아간다.[17] XJ220과 비슷한 방식.[18] 사실상 페라리의 마지막 리트랙터블 라이트 모델이다.[19] 21세기에 출시된 차량들 중에서 거의 유일하게 정식으로 리트랙터블 라이트를 채용한 특이한 케이스. 이는 데이토나가 통상적인 차량이 아닌, 특별한 한정판 모델이기에 가능한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특이하게 라이트가 튀어나오는 형식이 아니라 라이트를 덮고 있던 커버가 안으로 들어가면서 라이트가 드러나는 방식이다.[20] 크라이슬러 브랜드로 출시되었다.[21] 크라이슬러의 옛 중산층 브랜드.[22] 크라이슬러의 옛 최고급 브랜드.[23] 형제차 MX-6는 일반형[24] 미국에서는 머큐리 명의로 판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