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F. 케네디

최근 편집일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에드먼드 제닝스 랜돌프
윌리엄 브래드포드
찰스 리
레비 링컨 시니어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존 브레킨리지
시저 어거스트 로드니
윌리엄 핑크니
리처드 러쉬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윌리엄 워트
존 M. 베리엔
로저 토니
벤자민 프랭클린 버틀러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펠릭스 그런디
헨리 D. 길핀
존 J. 크리텐던
휴 S. 레가르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존 넬슨
존 A. 메이슨
네이던 클리포드
아이작 투시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리버디 존슨
존 J. 크리텐던
케일럽 쿠싱
제레미아 S. 블랙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에드윈 스탠튼
에드워드 베이츠
제임스 스피드
헨리 스텐베리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윌리엄 M. 에버츠
에버니저 R. 호어
아모스 T. 아커만
조지 헨리 윌리엄스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에드워즈 피에르폰트
알폰소 태프트
찰스 데번스
웨인 맥베이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벤자민 H. 브레스터
어거스트 갈랜드
윌리엄 H. H. 밀러
리처드 올니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저드슨 허몬
조셉 맥케나
존 W. 그릭스
필랜더 C. 녹스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윌리엄 헨리 무디
찰스 보나파르트
조지 W. 위커샴
제임스 C. 맥레이놀즈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토마스 와트 그레고리
A. 미첼 팔머
해리 M. 도허티
할런 F. 스톤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존 G. 서전트
윌리엄 D. 미첼
호머 스틸 커밍스
프랭크 머피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로버트 H. 잭슨
프랜시스 비들
톰 C. 클라크
J. 하워드 맥그래스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임스 P. 맥그래너리
허버트 브로넬 주니어
윌리엄 P. 로저스
로버트 F. 케네디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8대
니콜라스 카젠바흐
램지 클라크
존 N. 미첼
리처드 클라인딘스트
제69대
제70대
제71대
제72대
엘리엇 리처드슨
윌리엄 B. 색스비
에드워드 H. 레비
그리핀 벨
제73대
제74대
제75대
제76대
벤자민 시빌레티
윌리엄 프렌치 스미스
에드윈 미스
딕 손버그
제77대
제78대
제79대
제80대
윌리엄 바
자넷 레노
존 애쉬크로프트
알베르토 곤잘레스
제81대
제82대
제83대
제84대
미셸 무케이지
에릭 홀더
로레타 린치
제프 세션스
직무대행
제86대
제87대

매튜 휘태커
윌리엄 바
메릭 갈랜드





로버트 케네디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미합중국 제64대 법무장관
로버트 F. 케네디
Robert Francis Kennedy


파일:robert f kennedy.jpg

출생
1925년 11월 20일
미국 매사추세츠 브루클라인
사망
1968년 6월 6일 (향년 43세)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엔젤레스
국적
[[미국|

미국
display: none; display: 미국"
행정구
]]

재임기간
제64대 법무장관
1961년 1월 21일 ~ 1964년 9월 3일
서명
파일:로버트 케네디 서명.svg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조지프 패트릭 케네디 시니어, 어머니 로즈 피츠제럴드
형제자매
조지프 주니어 (1915 ~ 1944)
(1917 ~ 1963)
로즈마리
(1918 ~ 2005)
캐슬린 (1920 ~ 1948)
유니스 (1921 ~ 2009)
패트리샤 (1924 ~ 2006)
(1928 ~ 2020)
에드워드 (1932 ~ 2009)
배우자
에델 스카킬[1](1928년생, 1950년 결혼)
자녀
캐슬린 (1951년생)
조셉 (1952년생)
로버트 주니어 (1954년생)
데이비드 (1955 ~ 1984, 약물중독사)
코트니 (1956년생)
마이클 (1958 ~ 1997, 사고사)
케리 (1959년생)
크리스 (1963년생)
맥스 (1965년생)
더글라스 (1967년생)
로리 (1968년생)
학력
파일:하버드 대학교 아이콘.png 하버드 대학교 (정치학 / 학사)
파일:버지니아 대학교 문장.svg 버지니아 대학교 로스쿨 (법학 / LLB)
병역
파일:미합중국 해군기.svg 미합중국 해군 수병 전역
신체
175cm
소속 정당

의원 선수
초선 (상원)
의원 대수
88
약칭
바비 (Bobby)



파일:64_-_robert_francis_kennedy.png

미국 법무부 공식 초상화

1. 개요
2. 생애
2.1. 초기
2.2. 법무장관 시절
2.3. 상원의원 시절
2.4. 피살
3. 기타
4. 가족관계
5. 선거 이력
6. 소속 정당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미국정치인.

미합중국의 케네디 행정부에서 64대 법무장관을 지냈으며, 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대통령 선거 후보로 경선에 참가했으나, 당해 요르단계 미국인에게 암살당했다.

미합중국 제35대 대통령존 F. 케네디의 동생으로 케네디 정권의 가장 핵심 인물 중 하나였다. 쿠바사태, 케네디가의 저주, 마릴린 먼로 스캔들로 미국인들의 머릿속에 깊이 각인되어 있는 정치인이다.


2. 생애[편집]



2.1. 초기[편집]


1925년 매사추세츠 주 브룩레인에서 9남매중 일곱째로 태어나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버지니아 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한 후 변호사 자격증을 얻었다. 로스쿨을 졸업할 무렵인 1952년 형인 존 F. 케네디가 상원의원에 출마하자 형의 선거운동을 도왔다. 1953년에는 매카시즘으로 유명한 조지프 매카시 상원의원이 이끄는 상원 위원회 법률고문으로 활동하였다.

1960년에는 형 존 F. 케네디가 대통령에 출마하자 대통령 선거 운동 사무장으로 선거 운동을 관장하였다. 원래는 형과 나이 차이도 있고 해서 데면데면한 사이였다고 한다. 그러다가 형의 상원의원 선거운동에 참여한 것을 계기로 형에게 큰 신임을 얻게 되었고 이후 존 F. 케네디의 모든 선거전에서 선거본부장을 맡으며 선거전을 총지휘하게 되었다.

2.2. 법무장관 시절[편집]


1960년 대통령 선거에서 존 F. 케네디가 당선되자 로버트는 35세의 나이에 법무장관에 발탁되는데, 당연히 이러한 장관 인사를 두고 족벌인사, 정실인사라는 비난이 빗발쳤다.[1] 이후 형의 신임으로 내각에서도 대통령의 심복으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원래 법무장관은 그 직책의 특성상 국정 전면에 나서는 경우가 거의 없다. 대부분의 경우 국무장관, 국방장관, 재무장관 등이 내각에서 주요한 정책을 담당하면서 매스컴을 타는 경우가 많으며 서열도 법무장관에 앞선다. 혹은 국내 이슈로 인해 노동부, 복지부, 상무부, 주택도시부 장관 등이 그때그때 나서는 경우가 종종 있어도 법무장관이 언론에 나오는 경우는 그렇게 흔치 않다. 정치 스캔들이 터져도 특별검사가 언론에 나오지 법무장관이 나올 일은 별로 없다. 하지만 로버트의 경우 대통령의 핵심측근으로서 이들에 앞서 전면에 나서는 경우가 많았다. 때문에 어쨌거나 역대 법무장관 중에서는 상당히 유명세를 얻게 되었다.[2]

로버트 케네디 법무장관과 존 F. 케네디 대통령 둘만 1962년 여름 대통령 집무실과 각료회의실에 녹음장치를 설치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존 F. 케네디 사후에는 248시간 분량의 회의기록, 12시간의 전화통화 내역을 로버트 케네디 법무장관의 지시로 케네디 도서관으로 옮겨졌으며 특히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43시간의 녹음 부분은 1983년, 2001년에 나누어져 공개되었다. 이 녹취 대화록은 존 F. 케네디 대통령과 로버트 케네디 법무장관의 국정수행능력을 평가하는 아주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하지만 이 자료로 인해 그가 미사일 위기 당시 쿠바 침공을 일관되게 주장한 초강경파였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그가 생전에 이 사건에 대해 했던 발언들에 대한 신빙성을 의심하는 지적도 제기되었다.[3]

2.3. 상원의원 시절[편집]


1963년 11월 22일, 존 F. 케네디의 암살 이후 린든 B. 존슨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하였고 얼마 후 1964년 상원의원 출마를 위해 법무장관직을 사임했다.

그해 11월 상원의원 선거에서 현직 상원의원을 제치고 뉴욕주 상원의원이 된 로버트 케네디는 민권법안의 통과에 큰 기여를 하였고, 한창 진행중이던 베트남 전쟁의 수행에 관하여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면서 진보 세력의 추앙을 받게 되었다.

1968년 대통령 선거에 예비 후보로 출마하여 여러 주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민주당의 차기 대선 후보로 확정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었다.[4] 그러나 캘리포니아 주 경선에서 승리한 직후인 6월 5일 로스엔젤레스에 위치한 앰배서더 호텔에서 지지자들에게 연설을 하고 나서 앰배서더 호텔의 주방으로 빠져나왔다.

2.4. 피살[편집]


주방 복도에서 마주치는 지지자들에게 일일이 인사를 하던 로버트 케네디는 당시 16세 소년 후안 로메로와 악수를 하는 순간, 미리 접근하고 있던 시르한에게서 8발[5]의 총격을 받고 3발을 맞아 그 자리에서 쓰러졌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fk_assassination.jpg

피격 직후의 모습. 오른쪽은 피격당하는 순간 악수를 나눈 16세 소년 후안 로메로 (당시 호텔 주방 보조원).

로버트 케네디는 3발을 맞았는데 머리에 맞은 한 발로 치명상을 입었고 근처 병원으로 이송되어 응급 조치를 받았지만 다음날 새벽 1시경 사망하였다. 경찰의 조사에 따르면 시르한 비샤라 시르한은 요르단계 이민자로서 평소에 로버트 케네디의 친이스라엘적인 행동에 불만을 품고 범행을 저질렀다. 원래 재판에서 사형이 선고되었으나 나중에 캘리포니아 주에서 사형제가 폐지되어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6] 여담으로 이때 시르한을 기소한 검사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로스쿨을 나와 법조계에서 활동했던 밴드 오브 브라더스의 실제 인물 린 캄프튼. 2016년에도 계속 복역 중이며, 2016년 초에 감형을 요청했으나 허락되지 않았다.

로버트 케네디가 암살 당함에 따라서 몇 해 전 존 F. 케네디, 그리고 불과 두 달 전인 1968년 4월 마틴 루터 킹 목사를 잃었던 미국인들은 충격에 빠졌다. 특히 1968년 대통령 선거에서 로버트 케네디는 민주당의 가장 유력한 후보였기에 로버트 케네디를 지지하는 사람들도 많았으나 결국 암살당하면서 로버트 케네디가 대통령으로 당선되는 것을 볼 수 없었다. 케네디 형제의 암살은 미국 정치지형상 진보(민주당)와 보수(공화당)의 균형에도 오랜 영향을 끼치게 되어 70~80년대까지 여진이 지속되었다는 평가도 많다.

만일 로버트 케네디가 68년 선거에서 승리해 취임했다면 형과 같은 만 43세가 되는데, 로버트가 생일이 더 늦기에 43세 2개월로 형의 기록을 반년 경신할 수 있었을 것이다. 물론 선거를 거치지 않은 승계 최연소인 시어도어 루스벨트를 이길 수는 없었겠지만.

장수한 동생 에드워드 케네디(테드 케네디, 1932 ~ 2009) 상원의원 역시 다음 선거인 1972년 선거에서 대통령의 꿈을 꾸고[7], 실제로 당선 가능성도 높게 여겨졌지만 여비서의 의문사 일명 차파퀴딕 스캔들로 인해 대통령 경선에서 낙마하고 말았다. 그렇게 닉슨은 (곧 사임하지만) 짧게나마 수명 연장을 했다. 이후 1980년 선거에서 지미 카터를 대신할 인물로 부상하지만 경선에서 패배했다. 에드워드 케네디는 1994년 선거에서 밋 롬니를 이기는 등 피선거권이 주어지는 30세(1962년)에 보궐선거로 당선된 이래 반세기에 가까운 46년 292일을 8선 상원의원으로 지냈다. 뇌종양 투병 속에서도 버락 오바마에 대한 지지를 호소했으며, 결국 약 1년 뒤에 병으로 사망했다.

이후 민주당은 전당 대회에서 부통령 허버트 험프리를 대선후보로 내세우지만 리처드 닉슨에게 패배했다. 거기에 민주당의 분열 크리까지 겹치면서 선거인단을 제외하고는 간발의 차로 패한 것. 아마 로버트 케네디였다면 당선되었을 확률도 컸을 것이다. 그랬다면 1968년(68혁명 항목 참조)은 완벽하게 실패하지만은 않은 해가 되었을 것이며, 존 F. 케네디 - 린든 B. 존슨으로 이어진 민주당 주도 정국은 당분간은 유지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또 워터게이트 사건와 같은 불명예스런 사건도 없었을 것이다.[8] 여러 의미로, 로버트 케네디의 죽음은, 특히 미국 진보 진영에게 비극적인 사건이었다.

이후 2001년 11월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로버트 케네디의 탄생 76주년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미국 법무부 청사의 이름을 로버트 F. 케네디 빌딩으로 바꾸었다.

한편 후안 로메로가 이 사건에 대해 회고를 했는데 로버트 F. 케네디가 자신이 총탄을 맞은 와중에도 다들 무사하냐는 말을 남겼다고 하며 자신도 PTSD와 '그때 내가 악수를 하지 않았다면...'이라는 죄책감에 시달렸다고 회고했다.

백인이었지만 미국 흑인 민권 운동에 묵묵히, 하지만 꾸준히 참여하여 흑인 사회에서 인기가 매우 좋았다. 그가 암살당했을 때는 마틴 루터 킹을 잃은 후 얼마 안 되었던 때라 흑인 사회에선 '우리에게 조금 더 좋은 쪽으로 세상을 바꾸려는 사람은 다 죽는다.'는 절망에 빠져들었다.

3. 기타[편집]


  • 마피아히트를 다룬 서적에서는 법무장관 당시에 조직적 수사로 마피아들을 제압하려 한 것의 복수로 마피아가 암살했다고 하는 음모론이 있다.

  • 또 다른 음모론은 쿠바 미사일 위기 때 소련을 전면공격하지 않고 평화적으로 해결한 케네디 형제에 대한 커티스 르메이 등 군부 강경파와 CIA 등의 분노로 요얘된다. 그들은 형 존 F. 케네디가 쿠바 습격 작전을 축소한 탓에 공격이 실패했으며, 이 때문에 결국 쿠바 미사일 위기가 생겨났고, 이때 소련에게 전면 핵전쟁을 걸었다면 미국의 피해도 컸겠지만 핵전력에서 뒤쳐지는 소련을 아예 멸망시켜 미국의 세계지배를 이룰 절호의 기회였는데 존 케네디가 겁을 먹고 도리어 아예 발을 빼게 되어 미국은 소련에 끌려다니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런 주장은 최근 모건 프리먼이 나레이션을 맡은 다큐 같은 곳에서도 나왔고,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같은 영화에서도 묘사되었듯 당시 미 군부 내의 초강경파들이 주장한 것처럼 전쟁을 확장했다면 3차 대전으로 빠질 위험이 상당했다. 그리고 당시 군부와 CIA는 어떻게든 전면전으로 확장하려고 대통령에게 왜곡되거나 제대로 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하는 등 횡포가 심했다. 로버트 케네디도 형의 뜻을 따르고 있었고 자신이 집권하면 당시 테트 공세 등 격화되던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을 철수시키겠다는 주장을 했었으므로 군부 강경파와 CIA가 이번에는 미국이 발을 빼지 않도록 로버트 케네디를 암살했다는 주장. 하지만 당시 베트남 전쟁을 축소, 혹은 종전하겠다고 주장한 것은 민주당 공화당할 것 없이 모든 후보들이 한 주장이었고, 현임 대통령 존슨조차 재선을 포기하기 직전까지 베트남전 축소를 공약으로 걸었었다. 그리고 캄보디아 침공, 핵협박까지 동원해가면서 베트남전을 끝낸 것은 공화당의 닉슨이었다.

  • 파일:external/steven-culp.com/steven-culp-thirteen-days-still-01.jpg

스티븐 컬프[9]가 마릴린 먼로의 삶을 다룬 〈노마진과 마릴린〉(1996년), 쿠바 미사일 위기를 배경으로 한 〈D-13〉(2001년)에서 두 차례 로버트 케네디 역으로 출연했다.

  • 파일:external/cache.reelz.com/78157.jpg

미국 TV 미니시리즈 〈케네디가( 家)〉(Kennedys. 2011년)에서는 배리 페퍼[10]가 로버트 역으로 출연했다. 화려하지만 스캔들, 잔병 치레에 시달리는 형과는 대조적으로 가정적이고 사생활도 깨끗하며, 나이와 경력으로 자신보다 한참 위인 FBI 국장 에드가 후버를 상대로도 주눅들지 않는 바람직한 정치인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형의 피살 후 형수인 재클린을 각별히 배려하는 모습도 나온다.[11]

  • 올리버 스톤 감독의 1995년 영화 〈닉슨〉에서는 로버트 F. 케니디의 암살이 노골적으로 밥 호스킨스가 분한 존 에드거 후버의 음모로 묘사된다. 존 에드거 후버를 만난 리처드 닉슨이 로버트 F. 케네디가 있는 한 대통령 당선이 어렵다고 말하자 이에 후버는 "그럼 그 사람이 출마를 안 하면 되겠군요."이라고 말하고 이에 닉슨은 "그 사람이 왜 출마를 안 하겠소?"라면서 손사레를 치지만 결국...

  • 저메키스 감독의 〈포레스트 검프〉에서도 존 F. 케네디 암살과 함께 간단히 언급된다. "형제는 힘든가봐요."

  • 2006년 부시 집권기에 그를 주인공으로 한 영화 〈바비〉가 개봉되었다. 에밀리오 에스테베즈가 감독을 맡았으며, 부시에 질려있던 많은 할리우드 스타들이 영화에 대거 출연해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 2019년작 마틴 스콜세지 감독 영화 〈아이리시맨〉에서 등장한다. 잭 휴스턴이 맡아 지미 호파(알 파치노 분)를 청문회에서 조사하는 역할로 연기했다.[12][13]

  • 〈워해머 40,000〉에서는 이오지마 전투당시 납치당해 카발의 일원이 된 데이먼 프라티니스라는 인물이 암살한 것으로 나온다.

  • 넷플릭스에서 케네디 대선 캠프 때부터 사망하기까지의 일생을 담은 4부작 다큐시리즈 <로버트, 우리가 사랑한 케네디>를 제작했다. 대체로 유익하다는 평.

  • The New Order: Last Days of Europe에서는 1964년 대통령 후보로 나온다. 진보적인 아젠다를 내세우면서 강력한 민권법, 사회보장제도와 국영의료법 제정 등을 추진한다. 하지만 민권법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분노 지수를 잘 조절하지 못하면 암살당하며 스트롬 서먼드가 대통령으로 취임하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14]

  • 트라이얼 오브 더 시카고 7에서 로버트 케네디 암살 이후의 민주당 경선과 관련된 이야기가 나온다. 암살 직후의 분위기를 알 수 있는 영화.

  • 정계 유력인사들의 파티에 자주 초대 받았던 배우 리처드 버튼에 의하면 언론 담당이었던 피어 샐린저(Pierre Salinger)가 연 파티에서 20세기 최고의 발레리나 중 한 사람으로 여겨지는 마고 폰테인(Margot Fonteyn)을 침실로 헐레벌떡 데려가 급히 관계를 맺고 나왔다고 한다.

4. 가족관계[편집]


케네디가(家) 중에서도 자식이 많았던 걸로도 유명하다. 현재 남아있는 대부분의 케네디가(家)의 인물들은 절반 이상이 이 사람의 후손일 정도.[15] 의친왕 제롬 보나파르트[16]총, 7남 4녀로 자세한 것은 아래 참조. 그중 막내 딸은 생년월일에도 나오듯이, 부친이 암살 당한 후에 태어난 유복녀이다.

3남
이름
로버트 프란시스 케네디 (Robert Francis Kennedy)
1925년 11월 20일 ~ 1968년 6월 6일
결혼
이름
에델 스카켈 케네디 (Ethel Skakel Kennedy)
1928년 4월 11일 ~ 현재
결혼
1950년 6월 17일
자녀
1녀
이름
캐슬린 하팅턴 케네디 타운센드 (Kathleen Hartington Kennedy Townsend)
1951년 7월 4일 ~ 현재
남편
데이빗 리 타운센드 (David Lee Townsend)
1947년 ~ 현재
자녀
1녀
이름
메건 앤 케네디 타운센드 (Meghan Anne Kennedy Townsend)
1977년 11월 7일 ~ 현재
슬하 2남 1녀
2녀
이름
매브 파헤이 케네디 타운센드 (Maeve Fahey Kennedy Townsend)
1979년 11월 1일 ~ 2020년 4월 2일
슬하 1남 1녀[17]
3녀
이름
로즈 캐서린 케네디 타운센드 (Rose Katherine Kennedy Townsend)
1983년 12월 17일 ~ 현재
4녀
이름
케리 소피아 케네디 타운센드 (Kerry Sophia Kennedy Townsend)
1991년 11월 30일 ~ 현재
1남
이름
조지프 패트릭 케네디 2세 (Joseph Patrick Kennedy II)
1952년 9월 24일 ~ 현재
전처
셰일라 브루스터 라우치 (Shelia Brewster Rauch)
1949년 3월 22일 ~ 현재
자녀
1남
이름
조지프 패트릭 케네디 3세 (Joseph Patrick Kennedy III)
1980년 10월 4일 ~ 현재
슬하 1남 1녀
2남
이름
매튜 라우치 케네디 (Matthew Rauch Kennedy)
1980년 10월 4일 ~ 현재
슬하 2녀
아내
앤 엘리자베스 켈리 (Anne Elizabeth Kelly)
1957년 4월 3일 ~ 현재
2남
이름
로버트 프란시스 케네디 주니어 (Robert Francis Kennedy Jr.)
1954년 1월 17일 ~ 현재
전처
에밀리 루스 블랙 (Emily Ruth Black)
1957년 10월 15일 ~ 현재
자녀
1남
이름
로버트 프란시스 케네디 3세 (Robert Francis Kennedy III)
1984년 9월 2일 ~ 현재
1녀
이름
캐슬린 알렉산드라 케네디 (Kathleen Alexandra Kennedy)
1988년 4월 13일 ~ 현재
아내
메리 캐슬린 리차드슨 (Mary Kathleen Richardson)
1959년 10월 4일 ~ 2012년 5월 16일
자녀
2남
이름
존 코너 리차드슨 케네디 (John Conor Richardson Kennedy)
1994년 7월 24일 ~ 현재
2녀
이름
키라 레모인 케네디 (Kyra LeMoyne Kennedy)
1995년 ~ 현재
3남
이름
윌리엄 핀바 케네디 (William Finbar Kennedy)
1997년 ~ 현재
4남
이름
에이든 카오맨 비에케스 케네디 (Aidan Caohman Vieques Kennedy)
2001년 ~ 현재
아내
셰릴 루스 하인스 (Cheryl Ruth Hines)
1965년 9월 21일 ~ 현재
3남
이름
데이빗 앤서니 케네디 (David Anthony Kennedy)
1955년 6월 15일 ~ 1984년 4월 25일
2녀
이름
메리 코트니 케네디-힐 (Mary Courtney Kennedy-Hill)
1956년 9월 9일 ~ 현재
전남편
제프리 로버트 루헤 (Jeffery Robert Ruhe)
1952년 ~ 현재
전남편
폴 마이클 힐 (Paul Michael Hill)
1954년 8월 13일 ~ 현재
자녀
1녀
이름
시얼샤 로이진 힐 (Saoirse Roisin Hill)
1997년 5월 22일 ~ 2019년 8월 1일
4남
이름
마이클 레모인 케네디 (Michael LeMoyne Kennedy)
1958년 2월 27일 ~ 1997년 12월 31일
아내
빅토리아 데니스 기포드 (Victoria Denise Gifford)
자녀
1남
이름
마이클 레모인 케네디 주니어 (Michael LeMoyne Kennedy Jr.)
1983년 1월 9일 ~ 현재
슬하 2남 1녀
1녀
이름
카일 프란시스 케네디 (Kyle Francis Kennedy)
1984년 7월 6일 ~ 현재
슬하 2남
2녀
이름
로리 기포드 케네디 (Rory Gifford Kennedy)
1987년 11월 14일 ~ 현재
슬하 1남
3녀
이름
메리 케리 케네디 (Mary Kerry Kennedy)
1959년 9월 8일 ~ 현재
전남편
앤드루 쿠오모[18] (Andrew Mark Cuomo)
1957년 12월 6일 ~ 현재
자녀
1녀
이름
카라 에델 케네디-쿠오모 (Kara Ethel Kennedy-Cuomo)
1995년 1월 11일 ~ 현재
2녀
이름
머라이어 마틸다 케네디-쿠오모 (Mariah Matilda Kennedy-Cuomo)
1995년 1월 11일 ~ 현재
3녀
이름
미카엘라 안드레아 케네디-쿠오모 (Michaela Andrea Kennedy-Cuomo)
1997년 8월 26일 ~ 현재
5남
이름
크리스트퍼 조지 케네디 (Christopher George Kennedy)
1963년 7월 4일 ~ 현재
아내
셰일라 싱클리어-버너 (Sheila Sinclair-Berner)
1962년 12월 4일 ~ 현재
자녀
1녀
이름
캐서린 버너 케네디 (Katherine Berner Kennedy)
1990년 ~ 현재
1남
이름
크리스토퍼 조지 케네디 주니어 (Christopher George Kennedy Jr.)
1992년 ~ 현재
2녀
이름
사라 루이즈 케네디 (Sara Louise Kennedy)
1994년 ~ 현재
3녀
이름
클레어 로즈 케네디 (Clare Rose Kennedy)
1998년 ~ 현재
6남
이름
매튜 맥스웰 테일러 케네디 (Matthew Maxwell Taylor Kennedy)
1965년 1월 11일 ~ 현재
아내
빅토리아 앤 스트라우스 (Victoria Anne Strauss)
1964년 2월 10일 ~ 현재
자녀
1남
이름
매튜 맥스웰 테일러 케네디 주니어 (Matthew Maxwell Taylor Kennedy Jr.)
1993년 9월 18일 ~ 현재
1녀
이름
캐롤라인 섬머 로즈 케네디 (Caroline Summer Rose Kennedy)
1994년 12월 29일 ~ 현재
2녀
이름
노아 이사벨라 로즈 케네디 (Noah Isabella Rose Kennedy)
1998년 7월 9일 ~ 현재
7남
이름
더글라스 해리먼 케네디 (Douglas Harriman Kennedy)
1967년 3월 24일 ~ 현재
아내
몰리 엘리자베스 스타크 (Molly Elizabeth Stark)
자녀
1녀
이름
라일리 엘리자베스 케네디 (Riley Elizabeth Kennedy)
1998년 8월 ~ 현재
2녀
이름
메리 맥콜리 케네디 (Mary McCauley Kennedy)
2001년 8월 ~ 현재
3녀
이름
로웬 프란시스 케네디 (Rowen Frances Kennedy)
2004년 2월 ~ 현재
1남
이름
조지 스카켈 케네디 (George Skakel Kennedy)
2007년 4월 ~ 현재
2남
이름
다니엘 보루 케네디 (Daniel Boru Kennedy)
2012년 1월 ~ 현재
4녀
이름
로리 엘리자베스 캐서린 케네디 (Rory Elizabeth Katherine Kennedy)
1968년 12월 12일 ~ 현재
남편
마크 다니엘 베일리 (Mark Daniel Bailey)
1968년 11월 25일 ~ 현재
자녀
1녀
이름
조지아 엘리자베스 케네디-베일리 (Georgia Elizabeth Kennedy-Bailey)
2002년 ~ 현재
2녀
이름
브리짓 캐서린 케네디-베일리 (Bridgit Katherine Kennedy-Bailey)
2004년 ~ 현재
1남
이름
제커리 코클랜드 케네디-베일리 (Zachary Corkland Kennedy-Bailey)
2007년 ~ 현재


5.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64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뉴욕


3,823,749 (53.47%)
당선 (1위)
초선


6. 소속 정당[편집]


소속
기간
비고


1952 - 1968
정계 입문
사망


7. 둘러보기[편집]





[1] 이 때 JFK는 "나도 기뻐하고 우리 어머니도 기뻐하는데 대체 누가 이 인사를 반대하는지 모르겠다."고 기자들에게 능글맞게 대꾸하기도 했다. 당시 로버트의 법무장관직 임명은 FBI 국장 에드가 후버가 형 케네디의 사생활을 약점으로 삼을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 후버의 상관 자리에 믿을만한 인사가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단순한 장관이 아닌, 형의 '정치적 경호실장' 역할을 했던 셈.그야말로 문자 그대로의 Attorney General[2] 이러한 '실세 측근 법무장관'으로서 로버트 케네디의 위상이 윤석열 정부의 첫 법무장관에 임명된 한동훈비슷하다는 평도 나온다.[3] 하지만 로버트 케네디는 자신을 굳이 온건파라고 지칭하지도 않았다. 그의 온건파 이미지는 쿠바 미사일 위기보다는 1960년대 말 대선 출마를 전후로 린든 존슨의 베트남 전쟁 수행에 관한 비판 수위를 높이면서 부각된 것이다.[4] 당시 같은 민주당 소속의 존슨 대통령은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 내 반대 여론의 증가로 인해 재선 출마를 포기한다고 선언한 상태였다.[5] 데이비드 사우스웰의 책에 의하면, 그 대부분의 총격은 뒤에서 날아온 것이었다.[6] 같은 이유로 캘리포니아 주에서 범행을 저지른 희대의 살인마 찰스 맨슨도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7] 여기는 당선됐다면 취임시 만 40세 9개월. 더 어리다![8] 특히 당시 미국 정부의 신뢰 실추를 계기로, 미국 강경 보수 시대의 서막을 연 로널드 레이건이 본격적으로 정계의 주목을 받게 된 것도 의미심장하다.[9] 위기의 주부들 시즌 1에서 브리 반 드 캠프의 남편, 웨스트 윙에서 미국 하원의장 등으로 출연한 바 있다.[10] 전쟁 영화 〈위 워 솔저스〉에서 종군기자 조 갤로웨이로 출연했다. 그보다도 〈라이언 일병 구하기〉의 다니엘 잭슨 이병 역으로 나왔었다.[11] 극중에서 재클린 역으로는 과거 탐 크루즈의 부인이었던 케이티 홈즈가 출연했다.[12] 로버트가 1953년 조지프 매카시의 법률 고문으로 재직했던 시기에 실제로 있었던 사건이다. 매카시즘에 대해 안다면 짐작할 수 있겠지만 로버트의 이후 정치 행보와는 다수 상반되는 경력이라 이 경력 때문에 진보 성향의 일부 청년층은 그를 다소 불신하기도 했다.[13]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로버트, 우리가 사랑한 케네디'에서는 로버트가 정치권에서 주목받기 시작한 계기가 된 사건으로 묘사된다. 이후 뉴욕 상원의원 선거에 출마해 유세 과정에서 컬럼비아 대학교를 방문한 로버트에게 한 대학생이 이와 관련된 질문을 하자 '의견 차이로 인해 6개월 만에 그만뒀고, 매카시즘에 반대한다'고 해명한다.[14] 스트롬 서먼드는 최악의 대통령 자리를 두고프란시스 파커 요키와 경쟁하는 수준이며, 민권법을 폐지한다.[15] 큰형 조셉은 2차대전 참전 중에 전사하여 후손이 없었고, 작은형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아들이 후손없이 사망했고, 살아남은 딸 1명만이 후손을 남겼다. 때문에 '케네디'라는 성을 물려준 사람은 본인과 남동생 뿐이다.[16] 두 사람 모두 생전 각자의 가문에서 수장이 되지는 못했으나 이들의 후손이 가문의 수장이 되었다.[17] 2020년 4월 2일 카누 침몰 사고로 막내아들 기디언 맥킨과 함께 사망했다.[18] 전 뉴욕 주지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04 03:09:55에 나무위키 로버트 F. 케네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20:02:56에 나무위키 로버트 F. 케네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