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랑 슈바르츠

덤프버전 :




[ 20세기 수상자 펼치기 · 접기 ]
1936
파일:핀란드 국기.svg 라르스 알포르스 | 파일:미국 국기.svg 제시 더글러스
1950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로랑 슈바르츠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아틀레 셀베르그
1954
파일:일본 국기.svg 고다이라 구니히코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장피에르 세르
1958
파일:영국 국기.svg 클라우스 로스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르네 톰
1962
파일:스웨덴 국기.svg 라르스 회르만데르 | 파일:미국 국기.svg 존 밀너
1966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클 아티야 | 파일:미국 국기.svg 폴 코언 |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무국적) |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븐 스메일
1970
파일:영국 국기.svg 앨런 베이커 | 파일:일본 국기.svg 히로나카 헤이스케 | 파일:소련 국기.svg 세르게이 노비코프 | 파일:미국 국기.svg 존 톰슨
197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엔리코 봄비에리 |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멈퍼드
1978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피에르 들리뉴 | 파일:미국 국기.svg 찰스 페퍼먼 | 파일:소련 국기.svg 그리고리 마르굴리스 |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얼 퀼런
1982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랭 콘 |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 서스턴 |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야우싱퉁
1986
파일:영국 국기.svg 사이먼 도널드슨 | 파일:독일 국기.svg 게르트 팔팅스 |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프리드먼
1990
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드린펠트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본 존스 파일:미국 국기.svg 에드워드 위튼 | 파일:일본 국기.svg 모리 시게후미
1994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핌 젤마노프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피에르루이 리옹 |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장 부르갱 |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크리스토프 요코즈
1998
파일:영국 국기.svg 리처드 보처즈 | 파일:영국 국기.svg 윌리엄 티머시 가워스 | 파일:러시아 국기.svg 막심 콘체비치 | 파일:미국 국기.svg 커티스 맥멀런 | 파일:영국 국기.svg 앤드루 와일스(특별상)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 21세기 수상자 펼치기 · 접기 ]
2002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랑 라포르그 | 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
2006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오쿤코프 | 파일:러시아 국기.svg 그리고리 페렐만 | 파일:호주 국기.svg 테렌스 타오 | 파일:프랑스 국기.svg 벤델린 베르너
2010
파일:러시아 국기.svg 스타니슬라프 스미르노프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엘론 린덴스트라우스 | 파일:베트남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svg 응오바오쩌우 |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드리크 빌라니
2014
파일:브라질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르투르 아빌라 | 파일:캐나다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만줄 바르가바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파일:영국 국기.svg 마르틴 하이러 | 파일:이란 국기.svg 마리암 미르자하니
2018
파일:이란 국기.svg / 파일:영국 국기.svg 코체르 비르카르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레시오 피갈리 | 파일:독일 국기.svg 페터 숄체 | 파일:호주 국기.svg 악샤이 벤카테슈
2022
파일:프랑스 국기.svg 위고 뒤미닐코팽 | 파일:영국 국기.svg 제임스 메이나드 | 파일:미국 국기.svg 준 허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마리나 비아조우스카


Laurent Schwartz [1]
로랑 슈바르츠

파일:attachment/로랑 슈바르츠/Laurent_Schwartz2.jpg

로랑 슈바르츠는 프랑스수학자이다. 1915년 3월 5일 프랑스 파리에서 유대교 랍비의 가정에서 태어난 유대인이다. 2002년 7월 4일 파리에서 88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수학자 J.S. 아다마르[2]생질(누이의 아들)이며 친척중에 수학자가 많다.

유대인이었던 이유로, 제2차 세계 대전중에는 여러가지의 가명을 사용하였는데, 그것들 중 가장 많이 사용한 것은 로랑 셀리마르탱(Laurent Sélimartin)이었다.

분포이론을 통해 미분개념을 확장하여 이후에 측도이론과 적분개념의 확장하는 기틀을 마련했다. 그리하여 해석학과 분포이론의 밀접한 관련성을 입증하였다. 종전의 해석학은 연속함수를 분포이론은 이산함수를 주로 다루었다. 주요저서에 '분포 이론 Théorie des distributions'(1950∼1951)이 있다. 1950년 필즈상을 수상했다. 그 후에도 핵구조의 이론과 무한차원적분의 이론 등 현재 프랑스 함수해석의 중심 인물이다. 나비 수집가로도 유명하며 정치적 활동으로도 주목받았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레지스탕스에 참가, 트로츠키의 사상을 따랐으며 전후 프랑스 반체제운동의 중심인물이였다. 알제리 전쟁 때에는 장폴 사르트르 등과 함께 100인 위원회를 조직하여 민족 자립을 지지하고 베트남 전쟁시에는 버트런드 러셀 등과 함께 전쟁범죄 국제법정을 열기도 했다.

그의 분포이론을 간단하게 묘사하자면, 함수의 범위를 아주 크게 확장해 모든 함수에 대해 미분이라는 조작을 허용한 것이다. 일반적인 함수 f는 폐구간에서 정의된 매끄러운 함수(smooth function) [math(g)]에 대해 [math(f \to \int fg)] 의 값을 주는 (함수공간)→(실수)의 함수로, 즉 함수공간의 쌍대공간(dual space)의 원소로 생각될 수 있다. 이제 분포(distribution)를 이 쌍대공간의 임의의 원소로 정의하면, 임의의 분포에 대해 '미분'이라는 조작을 정의할 수 있다. [3] 이러면 불연속함수의 미분을 분포로서 항상 정의할 수 있을 뿐더러, 디랙 델타 함수[4] 같은 괴상한 대상들을 이 불연속함수의 미분[5]으로 해석하여 해석학의 분석범위에 넣는 것이 가능해진다. 로랑 슈바르츠의 업적에 대한 설명

지도 학생으로는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자크루이 리옹(Jacques-Louis Lions)[6] 로 정의하게 된다.], 질 피지에(Gilles Pisier)가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9:29:59에 나무위키 로랑 슈바르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주의: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의 헤르만 슈바르츠(Hermann Schwarz, 1843-1921)와 구분할 것.[2] 소수 정리를 독립적으로 최초로 증명한 두 수학자 중 한 명이다.[3] 정확히는 부분적분 공식 [math(\int (f')g = -\int f(g'))] 에서 착안하여, 분포 [math(g)]의 미분을 [math(f \to -\int (f')g)] 로 정의하게 된다.[4] 원점이 아닌 모든 곳에서 0의 값을 갖지만 원점에서 무한한 값을 지녀, 적분하면 1이 되는 성질을 갖고 있는 함수들의 집합이다. 엄밀히 말하면 분포로 일반적 함수의 관점에서는 설명할 수 없다.[5] 정확히는 음수일 때 0, 양수일 때 1의 값을 갖는 헤비사이드 계단 함수의 미분[6] 참고로 이 사람의 아들인 피에르루이 리옹(Pierre-Louis Lions)도 1994년 필즈상 수상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