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파키스탄 관계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망명 정부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유럽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Flag_of_the_Chechen_Republic.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Flag_of_Ingushetia.svg.png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1280px-Flag_of_Adygea.svg.png
아디게야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북오세티야 국기.png
북오세티야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Flag_of_Karachay-Cherkessia.svg.png [[파일:Flag_of_Kabardino-Balkaria.svg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다게스탄 국기.png
다게스탄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Gagauzia.svg.png
가가우지아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터키 국기.svg
터키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대만 국기 대각선 병합.pn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조선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청나라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소련





1. 개요
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2.2. 21세기
3. 대사관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러시아파키스탄의 외교에 관한 문서이다. 러시아와 파키스탄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파키스탄이 반소 무자헤딘을 적극 지원하면서 사이가 상당히 틀어졌다. 오늘날 두 국가가 사이가 떫떠름한 중요한 이유 중 하나로는 옆나라 숙적이 친러국가인것도 있다.

다만 미국과 사이가 틀어지고 중국과 튀르키예가 친러화되면서 파키스탄도 친러화 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2. 역사적 관계[편집]



2.1. 20세기[편집]


소련은 파키스탄이 영국에서 독립한 후 서로 수교를 맺었다. 그러나 명목상의 수교 외에는 소련이 공산주의 국가로서 국가 무신론정책을 펼친 것과 미국에서 파키스탄의 페샤와르 공군 기지 이용을 대가로 막대한 원조금을 제시하는 바람에 파키스탄측에서 거리를 두었다. 당시에는 아직 투르키스탄 5개국(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이 소련에서 독립하기 전이었고, 미국 공군이 해당 지역을 타격할 군사 요충지로 페샤와르가 꼽혔기 때문이다. 1958년 집권한 아유브 칸 정권은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밀당을 반복하는 외교 정책을 벌였다. 다만 1965년 제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에서는 소련의 주선 하에 인도와 파키스탄 양국이 정전 협정을 맺기도 했다.

이후 이슬람 사회주의 성향의 줄피카르 알리 부토가 파키스탄의 지도자가 되면서 소련과 파키스탄의 우호관계는 잠시나마 증진되었다. 부토 정권은 1972년 소련의 지원 하에 카라치에 제철소를 건설하였다. 그러나 양국의 관계 개선도 잠시 1977년 무함마드 지아울하크의 쿠데타로 부토의 파키스탄 인민당 정권이 붕괴되면서 양국의 관계는 다시 냉각되었다.

소련이 아프간을 침공하여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이 발발하자 미국은 소련 견제를 위해 무자헤딘을 지원한다. 이 과정에서 미국은 파키스탄을 무자헤딘 지원 협력 파트너로 삼고 파키스탄의 ISI는 미국 CIA와 협조하에 반소 무자헤딘들을 지원하였다. 파키스탄은 아프가니스탄의 파슈툰인 무자헤딘들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면서 아프가니스탄에서 자국의 영향력 증대를 꾀했다. 당시 파키스탄은 친중 국가였으나, 중국과 소련은 서로 국경 분쟁 등으로 사이가 벌어진 상황이었고 파키스탄은 미국 외에도 중국과 협력하면서 반소 무자헤딘들을 지원하였다.

당시 파키스탄이 주로 지원한 것은 이슬람 근본주의 성향의 막장으로 유명했던 헤크마티아르 군벌이었고, 그 헤크마티아르 군벌은 탈레반에 흡수되었다.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이 종료되고 90년대에 파키스탄은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과 수교/지원한 반면, 러시아는 파키스탄을 견제하기 위해 북부동맹을 지원했다.


2.2. 21세기[편집]


소련 해체 이후 파키스탄은 러시아와 수교했다. 파키스탄이 친중정책을 실시하고 있고 중국과의 협력이 크다보니 러시아와의 협력이 적은 편이다.[1] 하지만 최근에 들어서면서 파키스탄은 미국과 사이가 틀어지면서 러시아와의 협력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파키스탄은 러시아와의 관계가 개선되었고 예전과 달리 파키스탄은 친중, 친러정책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그리고 러시아내에도 일부 파키스탄인들이 거주하고 있고 소수의 파키스탄인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다.

파키스탄이 탈레반 관련 문제로 미국과 서방과의 갈등이 생기자 러시아와의 관계를 개선하려는 경향이 생겨나고 있다.# 양국은 상하이 협력기구의 정회원국이다. 러시아는 경제난을 겪고 있는 파키스탄에 인프라 건설 등 16조원을 투자하기로 밝혔다.#

2021년 5월 28일에 러시아의 니콜라이 슐기노프 에너지부 장관과 샤프카트 알리한 주러 파키스탄 대사가 파키스탄 내 1,000km 가스관 건설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인도와 중국이 그동안의 외교적 갈등을 접고 러시아와 밀착하는 과정에서, 파키스탄 역시 중국-인도와 입장을 같이 하고 있다. 국제사회에서 파키스탄에게 러시아 규탄에 동참할 것을 요구하였으나 파키스탄의 임란 칸 총리는 이를 거부하면서 "왜 인도에는 말 못하는가"라고 반박하며 "우리는 특정 진영 속하지 않는다"고 발언하였다.#

러시아측이 폭우로 인한 극심한 수해를 입은 파키스탄에게 음식, 천막, 정수기를 지원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측이 파키스탄에게 석유와 천연가스를 제공하기로 했다.#(튀르키예어)

2023년 3월 3일, 러시아 측이 이란, 파키스탄과 협력해 아프간 인프라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최근들어 파키스탄은 러시아와 경제협력을 강화해서 경제침체를 극복시키고 브릭스 가입을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3. 대사관[편집]


이슬라마바드에 주 파키스탄 러시아 대사관, 모스크바에 주 러시아 파키스탄 대사관이 존재한다.


4. 관련 문서[편집]



[1] 반대로 러인관계에서는 교류, 협력이 활발한 편이고 인도는 러시아제 무기를 많이 수입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러시아/외교 문서의 r44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러시아/외교 문서의 r449 (이전 역사)
파키스탄/외교 문서의 r10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9:21:24에 나무위키 러시아-파키스탄 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