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크로아티아 관계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망명 정부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유럽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Flag_of_the_Chechen_Republic.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Flag_of_Ingushetia.svg.png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1280px-Flag_of_Adygea.svg.png
아디게야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북오세티야 국기.png
북오세티야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Flag_of_Karachay-Cherkessia.svg.png [[파일:Flag_of_Kabardino-Balkaria.svg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다게스탄 국기.png
다게스탄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Gagauzia.svg.png
가가우지아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터키 국기.svg
터키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대만 국기 대각선 병합.pn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조선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청나라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소련





1. 개요
2. 역사적 관계
2.1. 19세기
2.2. 20세기
2.3. 21세기
3. 갈등
4. 대사관
5. 여담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러시아크로아티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양국은 소련 해체,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에 수교했고 교류, 협력이 활발하다.


2. 역사적 관계[편집]



2.1. 19세기[편집]


오늘날 크로아티아에 속한 지역은 근대 오스트리아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오스트리아 제국은 슬라브계 신민들을 2등 신민으로 간주하였고, 이에 반발한 크로아티아 지식층은 민족주의 차원에서 크로아티아 민족의 정체성과 역사를 정의하기 위해 분투노력하게 되었다. 일부 크로아티아인 지식층은 범슬라브주의에 경도되었다. 러시아 제국은 오스만 제국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견제하려는 차원에서 범슬라브주의를 내세우고 세르비아인불가리아인 등 정교회를 믿는 슬라브족들을 지원하였다. 물론 크로아티아인들은 정교회가 아니라 주로 가톨릭을 믿었기에 세르비아이나 불가리아만큼 러시아 문화와 큰 접점이 있던 것은 아니었지만, 당장 자신들을 억압하는 오스트리아 제국이나 헝가리 왕국을 견제해준다는 점을 이유로 크로아티아 지식인들 사이에서 범슬라브주의에 입각한 친러 감정을 가지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2.2. 20세기[편집]


양국은 91년 소련 해체, 크로아티아 독립전쟁 발발 이후인 1992년 5월 25일부로 수교했다. 소련 해체가 갑자기 하지만 나름 평화롭게 이루어진 것과는 반대로 유고슬라비아 해체는 수년 간의 전쟁과 제노사이드를 거치며 진행되었다. 크로아티아가 유고슬라비아에서 갑자기 독립하는 과정에서 크로아티아군은 무기와 군수물자 등등이 턱없이 부족하였고, 1991년부터 1995년까지 이어진 크로아티아 독립전쟁 동안 크로아티아군은 세르비아군에게 일방적으로 밀리던 상황이었다. 러시아는 소련 해체 이후 군축으로 필요없어진 군수물자 상당량을 크로아티아 측에 판매 혹은 양도하였다. 양국의 이해관계가 일치했던 것이다. 크로아티아 언론에 의하면 1992년부터 1997년까지 러시아에서 150여대의 비행기가 군수물자를 싣고 크로아티아를 오고갔다. 독립 이후 크로아티아군MiG-21을 주력 공군기로 굴렸는데, 유고슬라비아 연방에서 물려받은 것은 아니고 독립 직후 러시아에서 떨이로 사온 것이다.

양국은 90년대 체제 변혁 과정에서 모두 심각한 경제난과 인력 유출을 경험하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2.3. 21세기[편집]


2000년대 이후, 양국의 교류와 협력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크로아티아가 2013년에 유럽연합에 가입한 뒤에도 양국의 교류, 협력이 활발하다. 러시아 기업들이 크로아티아에 많이 진출했다. 그리고 러시아인들이 크로아티아에 이주 및 정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러시아의 전 체스선수 가리 카스파로프는 2014년에 푸틴 정권의 탄압을 피하기 위해 크로아티아로 귀화했다.

양국은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러시아어는 크로아티아에서 주요 외국어로 지정되어 있다.

2020년초부터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퍼지기 시작하면서 양국은 큰 피해를 입었다. 2021년 2월 17일, 크로아티아측은 유럽연합의 승인 이전에 스푸트니크 V를 도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11월, 크로아티아에서 코로나19 백신을 맞을려는 러시아인들이 늘어났다.#1#2

2020년 11월 16일, 양국의 외교장관이 회담을 가지며 합의문을 교환했다.#

2023년 1월 30일, 조란 밀라노비치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지원을 비판하고 러시아가 패하지 않는다고 발언하자 논란이 일어났다.#


3. 갈등[편집]


양국은 교류와 협력이 존재하지만, 일부 갈등이 존재한다. 2018년에 세르게이 스크리팔 암살 미수 사건이 일어나자 크로아티아는 유럽연합과 미국과 협력하면서 러시아 외교관 추방 정책에 참가했다.#

크로아티아는 친서방 국가에 러시아가 세르비아를 밀어주는 경향이 있고 90년대에 유고슬라비아 내전 당시에 훈련받은 크로아티아군우크라이나군의 훈련을 실시하는 등 크로아티아가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에 갈등이 존재한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일어나자 크로아티아측은 러시아를 비판했다. 그리고 양국간에 갈등이 생겨났다. 크로아티아의 플렌코비치 총리는 자그레브에서 추락한 러시아 드론과 관련해 명백한 위협이라고 밝혔다.#(러시아어)

7월 22일, 러시아 정부가 그리스, 덴마크,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크로아티아 등 5개국을 비우호국으로 추가시켰다.#


4. 대사관[편집]


자그레브에 주 크로아티아 러시아 대사관, 모스크바에 주 러시아 크로아티아 대사관이 존재한다.

크로아티아는 러시아 외교관을 추방한다고 밝혔다.# 러시아도 맞추방을 가졌다.#


5. 여담[편집]


2007년 11월 20일, 러시아 갑부가 크로아티아 축구 대표팀에게 영국을 이기면 벤츠를 선물한다고 발언한 적이 있었다.#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9:21:03에 나무위키 러시아-크로아티아 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