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덤 다이스(Random Dice): PvP 디펜스/덱/협동전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랜덤 다이스(Random Dice): PvP 디펜스/덱



1. 개요
2. 목록
2.1. 태극 계열
2.2. 콤보 계열
2.3. 태달 계열
2.4. 빛검 계열
2.5. 지뢰 계열
2.6. 서폿 덱
2.7. 초고층 등반 덱
2.7.1. 달검조
2.7.2. 콤보



1. 개요[편집]


보스를 원콤을 내는게 대세라 중상위권에선 CC기 주사위는 거의 쓰지 않으며 보통 서폿은 전암소, 역전암 등등 딜러에게 버프를 주는 주사위를 채용하며 달콤한정으론 SP를 공급해주는 전이덱을 서폿으로 채용한다.
컨트롤 덱으로는 원해조 등이 있다.
밑에는 요즘 협동전에서 쓰는 덱들이 서술되었다.

6.4.0 패치이후 슬라임 보스의 등장으로 45라운드 이후 슬라임+기사 ,슬라임+레온등의 조합이 나옴으로써 앞보스인 슬라임을 잡더라도 분열된 개체를 조준하는 딜레이로 인해 뒷보스 스킬을 맞는경우가 생겨 고층등반에 어려움을 겪고있다.
이후 눈덩이 주사위가 추가되며 슬라임을 어느정도 극복하게 되었다.


2. 목록[편집]



2.1. 태극 계열[편집]




파일:태극 주사위.png
태극
파일:양분 주사위.png
양분
파일:고장난 성장 주사위.png
고장난 성장
파일:조커 주사위.png
조커
파일:성장 주사위.png
성장
통칭 쌍태극.
좋은 카드수급 효율과 태극주사위만 있으면 쓸수 있다는 높은 접근성 덕분에 저클래스 혹은 퀵매치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덱이다.
보통 서폿 없이 양쪽이 태극을 드는 쌍딜러 방식으로 사용된다.

여담이지만 저클래스에서 저 양분 자리에 광전사... 를 넣은 해괴한 덱을 은근 많이 만날 수 있는데, 대부분 봇이다. 차라리 스위치나 적응을 들자.

2.2. 콤보 계열[편집]


파일:조커 주사위.png
조커
파일:달 주사위.png

파일:복제 주사위.png
복제
파일:양분 주사위.png
양분
파일:콤보 주사위.png
콤보
통칭 복달양콤. 사용가능 스펙은 12달,10콤
콤보 특성의 추가로 만들어진 덱이다.
보통 뉴비를 버스태워 주거나 쌍딜러 방식으로 사용된다.
달에 붙은 복제가 어마어마한 속도로 복제를 뱉는다는걸 이용해서 콤보수를 쌓는 방식이다.
보통 400콤정도를 쌓으면 공간이 부족해서 더 쌓을수 없게되며 200웹정도를 목표로 한다. 그 이상을 본다면 매지션과 레온스킬을 맞아 공간을 비워주면 된다.
필드는 축복을 사용하며, 맑은 칸에 조커 흐린 칸에 콤보를 넣는다.
요즘은 양분보다는 조율을 넣는게 더 이득이다


2.3. 태달 계열[편집]


파일:태양 주사위.png
태양
파일:달 주사위.png

파일:균열 주사위.png
균열
파일:조커 주사위.png
조커
파일:눈덩이 주사위.png
눈덩이
흔히 태달균덩 혹은 태달균눈 [1]이라고 부르며 태달 협동덱중 가장 흔한 덱. 11달은 105+,12달은 159+를 간다.
배치는 유저마다 다르게 하는데,
보통 특성을 끼고 4달 7~9태 1~2균 1~2스 1~2덩배치를 하는 편이다.필드는 금광 혹은 프리즘.

도전모드에서 하는경우 태양특성을 끼고 4태 배치를 하는것이 보통이며 이경우 도전4태라고 부른다. 12달의 경우 105+

파일:태양 주사위.png
태양
파일:달 주사위.png

파일:성장 주사위.png
성장
파일:고장난 성장 주사위.png
고장난 성장
파일: 조커 주사위.png
조커
통칭 도전쌍태. 매우 높은 카드수급 효율을 자랑하는 덱이다.
현존하는 모든 협동덱중 분당 카드수급량이 가장 높다.
단 12클래스 달이 있어야되며 높은 카드수급량을 대가로
자주 판을 깔아서 빌드업을 해야한다는 귀찮은 단점이 있다.
필드는 분해기.


2.4. 빛검 계열[편집]


파일:태양 주사위.png
태양
파일:충전 주사위.png
충전
파일:수호자 주사위 2.png
수호자
파일:달 주사위.png

파일:빛의 검 주사위.png
빛검
파일:눈덩이 주사위.png
눈덩이
파일:조커 주사위.png
조커
통칭 @달검눈(덩)
빛검의 퍼딜로 보스의 체력을 깍고 딜주사위로 막타를 치는 덱이다. 현재 가장 보편적인 협동덱으로 태달균눈보다 멀리간다는 장점이 있다.
필드는 배치를 편하게 하기 위한 축복을 채용하며
12달,11검 이상의 유저만 사용할수 있는 고스펙 전용덱이다.
저점의 경우 태양 수호자 충전순서대로 낮다.
충전의 경우 257 슬라임까지 뒷보스를 맞지 않으며
태양과 수호자는 170전후 슬라임 뒷보스부터 맞는다.
즉 태양,수호자는 170이상 충전은 257이상을 간다.
이는 12검 기준으로 빛검의 클래스에 따라 저점은 달라진다.
충전특성이 생긴 이후 충전도 방치가 가능해 태양과 수호자는 사장되었다. 저점은 서폿이 SP를 얼마나 줬냐에 따라 갈린다.

파일:태양 주사위.png
태양
파일:충전 주사위.png
충전
파일:달 주사위.png

파일:빛의 검 주사위.png
빛검
파일:눈덩이 주사위.png
눈덩이
파일:조준경 주사위.png
조준경
통칭 태(충)달검눈조
배치의 경우 5~6검 1~2딜주 3달 3조 1눈으로 한다.
필드는 퀀텀필드를 채용하며 일반적인 검눈덱에 비해 저점이 더 높다는 장점이 있다. 태양 200+ 충전 300+(12검 기준)
13검의 경우 900라를 가는등 오히려 지뢰덱보다 더 많이 간다..

2.5. 지뢰 계열[편집]


파일:태양 주사위.png
태양
파일:달 주사위.png

파일:지뢰 주사위.png
지뢰
파일:빛의 검 주사위.png
빛검
파일:스위치 주사위.png
스위치
통칭 콜로 태달검지
배치는 1태 2달 4~5검 6~7지 1스
서폿쪽 라인 슬라임을 잡기 위해 콜로세움 필드를 채용한다.
다른 지뢰덱과 다르게 태양의 딜이 약하므로 지뢰클을 꽤 탄다.

파일:충전 주사위.png
충전
파일:달 주사위.png

파일:지뢰 주사위.png
지뢰
파일:빛의 검 주사위.png
빛검
파일:조준경 주사위.png
조준경
통칭 퀀텀 충달검지조. 지뢰덱 하면 이 덱으로 통할정도로 많이 쓰인다.
배치는 1~2충 2달 4검 4~5지 1~2조
서폿쪽 슬라임을 조준경이 붙은 검으로 처리하는 덱이다.
지지검달충
지검조충지 이런식으로 배치하며 퀀텀과 조준경의 자리를
검달검퀀지
바꿔 쉽게 천검작을 할 수 있다. 다른 지뢰덱들과 다르게 지뢰를 딜러 혼자 굴리면서 뭉쳐야 하므로 어느정도 숙련도가 필요한 덱이다. 저점은 12달 12검 11지 기준으로 600라 이상을 간다.

2.6. 서폿 덱[편집]


현시점 쓰이는 서폿덱은 대부분 역전암이다.
전암소의 경우 프리즘 필드가 없으면 올별이 힘드나
역전암의 경우 어떤 필드를 들어도 반드시 올별을 할 수 있다.
만약 역행이 없어서 전암소를 쓰는 경우 선택구매를 통해
역행을 사는것을 추천한다.

* 역행 + 암살 + 전이
파일:조커 주사위.png
조커
파일:시간역행 주사위.png
역행
파일:암살 주사위.png
암살
파일:전이 주사위.png
전이
파일:적응 주사위.png
적응

*역행 + 전이 + 암살 +조율
파일:조커 주사위.png
조커
파일:시간역행 주사위.png
역행
파일:암살 주사위.png
암살
파일:전이 주사위.png
전이
파일:조율 주사위.png
조율


통칭 역전암. 현재 사용되는 유일한 서폿덱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시간역행을 사용해 매우 많은 양의 보스전이를 보내기 때문에 충전과의 상성도 매우 좋으며, 암살 풀필드로 역행을 사용하면 금방 올7성을 하는 모습도 보여준다.
현재 최고의 서폿덱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 덱 하나로 모든 덱을 서폿할 수 있다.
sp 보내는 양부터 빠른 올7성, 안전성까지 빠지는 부분이 없다.

이후 다른 주사위와의 눈금을 바꿀 수 있는 조율 주사위가 출시됨에 따라, 새로운 서폿덱이 만들어졌다.
바로 적응 대신 조율 주사위를 장착하여, 고눈금을 전이 주사위로 옮기고 보스전이가 아니라면 보스전이가 뜰 때 까지 눈금을 뺐다가 다시 넣는걸 반복하며 최대의 SP 효율을 노리는 역전암조인데, 이는 다만 조율을 적응 대신 끼는 만큼 SP 효율 계산 난이도가 극악으로 치솟는데다, 그럼에도 리턴값이 난이도 상승치에 비해 크지 않은 편이라 서폿 고인물에게만 추천된다. 그래도 만약 숙련된다면 계속해서 조율을 이용해 눈금을 옮김으로써 이론 상 6성 쌍보전 까지도 확정적으로 얻을 수 있고, 역행 쿨타임이 부족 할 때는 역행 주사위에 고눈금을 넣음으로써 쿨타임을 벌 수도 있다. 또한, 역행 고눈금을 확정적으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기에 라운드당 시간이 적은 도전모드에서 SP를 많이 전달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수준.


2.7. 초고층 등반 덱[편집]



2.7.1. 달검조[편집]




파일:태양 주사위.png파일:조커 주사위.png 파일:눈덩이 주사위.png
태양 or 조커 or 눈덩이
파일:달 주사위.png

파일:빛의 검 주사위.png
빛검
파일:조준경 주사위.png
조준경
파일:스위치 주사위.png
스위치


파일:복제 주사위.png
복제
파일:암살 주사위.png
암살
파일:회복 주사위.png
파일:지진 주사위.png
회복 또는 지진
파일:조커 주사위.png
조커
파일:적응 주사위.png
적응
통칭 태달검조/달검조/빛달눈복암회 혹은 복암지. 필드는 프리즘 혹은 플라즈마를 사용한다. 태달검조/빛달눈 딜러는 조커가 없기 때문에 배치가 힘들며, 달검조 같은 경우에는 딜주사위를 넣지 않기때문에 안그래도 고생하던 서폿이 더 고생해야 한다. 또한 서폿은 전이 없이 복제 이득만으로 초고층 등반 및 올7성을 해야 한다. 시간도 굉장히 오래 걸리기 때문에 딜러와 서폿 모두가 지치는 덱이다. 딜러는 달과 조준경을 각각 3개씩 놓고 배치를 하며, 서폿은 딜러가 빛의 검 주사위로 깎아놓은 보스의 체력을 회복이나 지진으로 마무리한다. 다만 타이밍이 회복이나 지진의 타이밍이 조금이라도 엇갈리는 순간엔 보스를 잡지 못할 수 있다.

지뢰와 빛검 주사위를 동시에 사용하는 지뢰덱은 양쪽의 수고 없이도 이 덱만큼은 아니지만 600~800의 매우 높은 라운드를 갈 수 있어 이 덱을 사용하는 유저들을 이제는 찾기가 힘들다.


2.7.2. 콤보[편집]




파일:조커 주사위.png
조커
파일:달 주사위.png

파일:조율 주사위.png
조율
파일:복제 주사위.png
복제
파일:콤보 주사위.png
콤보


파일:시간 주사위.png
시간
파일:조커 주사위.png
조커
파일:괴도 주사위.png
괴도
파일:조율 주사위.png
조율
파일:양분 주사위.png
양분

괴도 주사위의 추가로 사실상 무한 콤보가 가능해지고 시간주사위 만으로도 풀 공속이 가능해져서 생긴 덱이다. 영상에서는 5천콤보로 끝났지만 이론상 무한 콤보가 가능하기에 손목이 허락하는 한 무한웨이브가 가능하다.

[1] 사람에 따라 태달눈균,달태균눈이라고도 부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2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3;"
, 3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2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3;"
, 3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01:35:53에 나무위키 랜덤 다이스(Random Dice): PvP 디펜스/덱/협동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