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팔로 조약

덤프버전 :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바이마르 공화국
소비에트 러시아

라팔로 조약

독일어
Vertrag von Rapallo
러시아어
Рапалльский договор
영어
Rapallo Treaty

1. 개요
2. 과정
3. 여담


1. 개요[편집]


1922년 4월 16일 이탈리아 왕국의 라팔로[1]에서 바이마르 공화국소비에트 러시아가 체결한 조약. 당시 패전국과 공산국가라는 이유로 국제사회에서 왕따였던 독소 양국이 외교적 활로를 모색하고자 체결한 조약으로, 이를 통해 독일과 러시아는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근 10년 만에 처음으로 외교관계를 정상화했다.


2. 과정[편집]


1차 대전의 종결 이후 독일과 러시아는 모두 외교적으로 왕따였다. 독일은 패전국이라는 이미지와 더불어서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한 막대한 보상금과 영토 상실 및 군비 축소를 감당해야 했으며, 공산국가였던 소비에트 러시아 역시 모든 국가들로부터 기피받는 대상이었다. 게다가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을 통해 독일이 러시아로부터 뜯어낸 영토는 독일의 패배 이후 온전히 반환된 것이 아니라 일부 영토가 폴란드를 비롯한 중부 유럽의 신생 국가들에게 돌아갔기 때문에 소련 역시 베르사유 체제에 대한 불만이 강했다.[2]

이런 상황에서 프랑스는 신생 소비에트 러시아에 '너네가 제국이었던 시절에 우리가 빌려줬던 차관도 갚아'라면서 압박을 가했고 이에 러시아는 차관 반환은 무시하고 비밀리에 독일과 외교적 교섭을 진행했다. 독일 역시 러시아의 제안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러시아가 채무 문제에서 배째라 모드로 나오자 프랑스가 독일의 배상금을 통해 채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독일을 압박했던데다가 외교적으로 고립무원인 상황에서 우호적인 관계를 지닌 국가가 절실했고 이 시기 막 경제발전계획을 추진하던 소련의 막대한 시장은 패전 이후 엉망진창이었던 독일의 산업계를 다시 부흥시킬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게다가 재군비를 꿈꾸고 있던 한스 폰 젝트 휘하의 독일 군부 역시 정계가 러시아와의 외교 교섭을 진행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찬성했다. 러시아에서 각종 신무기를 비밀리에 테스트하면서 재무장을 진행할 수도 있는데다가, 독일과 러시아가 제휴해서 과거 독일과 러시아가 점령했던 지역에서 새로 독립한 폴란드를 군사적으로 찍어누를 수도 있다는 판단이 들었기 때문. 적의 적은 나의 친구[3]

1921년 5월 무렵부터 독일 총리 요제프 비르트와 소비에트 러시아 인민위원장 블라디미르 레닌의 지시하에 물밑교섭이 이루어졌고 1922년 4월 16일 전적으로 조약이 체결된다. 조약의 핵심 내용으로는 다음과 같다.

  1. 독일은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에 따른 배상권을 완전히 포기한다.
  2. 그 대신 러시아는 해당 조약으로 상실한 영토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지 않는다.
  3. 양국의 외교 관계는 정상화될것이며 쌍방간에는, 통상에 있어서 최혜국 대우가 적용될 것이다.

독일과 러시아의 전격적인 조약은 전 유럽에 큰 충격을 안겨주었고, 양측은 모두 원하던 대로 외교적 고립 단계에서 어느 정도 탈피해 국제적으로 목소리를 내는 지위에 오르는데 성공한다.

이후 독일은 전 외무장관 파울 폰 힌체를 중심으로 소비에트 러시아[4], 중국 국민당과 3각 동맹을 체결하여 국제적 고립을 탈피하려는 시도를 하였으나 국민당의 영수 쑨원의 지위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1922년 6월 천중밍영풍함 사건으로 쑨원의 2차 광동정부가 붕괴되고 1922년 9월에 독일이 쑨원, 소비에트 러시아와 3각 동맹을 체결하려 시도했다는 문서가 공개되자 독일은 쑨원과의 모든 관계를 부정하면서 독중소 3각 동맹은 백지화되었다.


3. 여담[편집]


  • 라팔로 조약이 체결되기 직전 낌새를 맡은 영국이 다급하게 독일의 외무장관 발터 라테나우(Walter Rathenau)에게 회담을 제의했는데, 이 때 라테나우가 장고를 거듭하다가 라팔로 조약의 체결을 강행하면서 되뇌인 말은 지금도 외교가에서 아주 유명하다. "Le vin est tiré. Il faut le boire.(포도주 병을 땄으면 잔에 따르는 수 밖에.)"[5] 정작 라테나우 본인은 독일 내 극우파의 반발로 얼마못가 암살당했다.
  • 라팔로 조약을 통해 독일과 소련은 양측의 젊은 장교들을 교환학생 형식으로 파견했는데 에리히 폰 만슈타인, 게오르기 주코프, 발터 모델 등 훗날 독소전쟁 시기 굵직굵직한 활약을 한 각국의 장성들이 대거 포함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3:37:17에 나무위키 라팔로 조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제노바 근처에 있는 소도시이다.[2] 물론 미영프 입장에서는 무시할만한 얘기였는데 이유는 러시아가 중간에 전쟁에서 빠졌다. 전쟁의 거의 대부분의 기간동안 이들과 함께 싸운건 사실이지만 정작 막판에 빠져버린것도 모자라 영토까지 할양한 소비에트 러시아가 곱게 보일 리가 없다. 심지어 레닌은 독일의 도움을 받아 러시아로 돌아간 것이다. 심지어 전쟁에 빠지지 않고 참여한 러시아 제국을 멸망시킨 것도 레닌과 소비에트 러시아다.[3] 다만 군부의 찬성이 정부의 외교정책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는지를 놓고서는 학자들마다 의견이 엇갈리는 편이다. 현재의 정설은 '영향이 있기는 했지만 그리 크지는 않았다' 정도이다.[4] 소련은 1922년 12월 30일에 선포되었다.[5] 라테나우 본인이 만든 격언은 아니고 프랑스의 유명한 속담이다. 동아시아권으로 치면 기호지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