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트모티프

덤프버전 :



【언어별 명칭】
독일어
Leitmotiv
영어
Leitmotif/Leitmotiv
한국어 뜻풀이
주도동기(主導動機)/유도 동기(誘導動機)
1. 개요
2. 오해
3. 사례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본래 무대극 관련 용어인물, 상황 등 반복되는 짧은 주제나 동기를 묘사할 때마다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주제선율을 말한다. 링크 오페라와 그 직계 후손인 뮤지컬에서 주로 사용하는 기법이다. 오페라의 유령에서 유령이 등장할 때마다 나오는 선율이나 레 미제라블에서 자베르가 등장할 때마다 나오는 선율 같은 것이 대표적인 예. 더 쉽게 말하자면 창작물에서 흔히 말하는 '캐릭터 송', '처형용 BGM' 같은 것들이 라이트모티프의 하위 갈래라고 볼 수 있다.

어떤 악구를 특정한 인물이나 사물과 연결시키는 기법은 실은 오래 전부터 행해져 바흐모차르트에서도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링크 이후 리하르트 바그너가 확립하고 이 기법을 널리 퍼트렸지만 창시자는 아니다. 예를 들면, 그의 악극 《니벨룽의 반지》에서는 ‘칼의 동기’ ‘운명의 동기’ 등이 장면의 변화에 따라서 갖가지 변형으로 나타난다. 라이트모티프라는 말은 바그너의 친구 H.볼초겐이 그의 논문 <‘신들의 황혼’에서의 동기>(1887)에서 처음으로 사용하여 유명해진 용어인데, 바그너의 후계자들에게 그 기법과 함께 계승되었다. 이 바그너의 작곡 기법은 모든 헐리우드 영화 음악의 근간이 되었고 에리히 볼프강 코른골드, 맥스 슈타이너, 버나드 허먼, 알프레드 뉴먼 같은 초창기의 저명한 작곡가들이 바그너의 음악극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영화 음악의 스타일에 대한 표본을 제시했고 존 윌리엄스, 한스 짐머, 하워드 쇼어 같은 작곡가들이 이러한 표본을 충실하게 이행했다.

해당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특유의 아이덴티티 멜로디나 특정 캐릭터의 공통되는 테마곡 멜로디를 만드는 걸 즐기는 제작자들이 있고 또 일부러 이런 라이트모티프를 찾아다니는 사람도 있다. 사실 기억력과 귀가 좋은 사람이라면 굳이 찾으려 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알아차린다. '특정 캐릭터나 상황에 같은 멜로디가 반복되는 개념'은 알고 있는 사람은 많은데 이 개념을 무엇이라고 지칭해야 하는지는 낯설게 여기는 사람이 많은데 '라이트모티프'가 바로 정확히 여기에 해당하는 개념이다. 인터넷에서도 대개 'OST 상호 연결', '프레이즈 공유' 등 여러 가지 말로 쓰인다.[1]

연출 기법이 발달한 현대에는 라이트모티프를 복선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집단이나 악역과 관련된 테마곡을 설정해두고 전혀 상관없어 보이는 캐릭터가 나올때 그 테마곡을 등장시킴으로써 복선을 깔아두는 식. 나중에 그 캐릭터에 대한 진실이 밝혀지면 관객, 독자들로 하여금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게 한다. 대표적으로 앨범끼리 유기적으로 복잡하게 얽힌 사운드 호라이즌의 곡들은, 전혀 다른 사건인데 동일한 라이트모티프가 등장해서 이게 그 사건 또는 그 인물임을 암시하는 경우가 많다.

라이트모티프의 기본 골자는 '음악'이므로, 음악에서의 기법을 충분히 활용하여 라이트모티프로 까는 복선을 숨겨두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정 인물의 과거나 미래 혹은 다른 형태의 모습을 묘사할 때는 음악을 변주한다거나 길이 또는 속도를 조절하여 원곡임을 알아차릴 수 없게 한 다음 알고보니 동일 멜로디임을 알 수 있게 하는 것.

혹은 아예 작품 자체를 관통하는 라이트모티프를 사용하여, 초반부에 들었던 멜로디가 후반부 최종 국면에 나옴으로써 감동과 임팩트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다만 라이트모티프를 너무 많이 사용하면 'OST 작곡을 우려 먹는거 아니냐'는 비아냥을 들을 수도 있으니 너무 남발하는 것도 좋지 않다.


2. 오해[편집]


아주 엄밀히 말하면 라이트모티프특정한 캐릭터나 장면 등을 상징하는 멜로디 테마에 해당하며, 아예 주제선율 자체를 다른 재편곡(커버)[2]으로 반복하는 것은 리프라이즈(reprise)라고 한다. 따라서 주제선율이 특정한 인물/사건/지역과는 상관없이 다른 노래에서 반복되는 것을 라이트모티프라고 지칭하는 것은 잘못된 용어 사용에 해당한다. 전반적으로 리프라이즈라고 부르는 것이 옳다.

다만 라이트모티프의 정의를 엄격하게 적용하는 연극/오페라계나 음악계와는 달리, 일반에서는 그저 '연극 뿐 아닌 개별 음악, 영화나 게임의 OST 등에서 한 작곡가가 만든 여러개의 음악, 혹은 한 작품 안의 여러 사운드 트랙 중 특정 음악들에게 공통적으로 공유되는 멜로디가 있는 경우' 정도로 쓰이고 있다.

3. 사례[편집]


사건이나 캐릭터의 테마곡 모음.

다수의 등장인물이 한번에 등장하는 히어로 팀업 무비를 중심으로 한 세계관이기 때문에 각 페이즈의 핵심이 되는 영화(특히 어벤져스 시리즈)에서 각 히어로의 테마곡을 변주해 사용하는 경우가 잦다. 단, 아이언맨은 개인 테마곡 대신 AC/DC의 히트곡들[5]을 사용한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레딧 분석글을 참조할 것.
  • 어벤저스 공동 테마[6]
  • 캡틴 아메리카 테마
  • 닥터 스트레인지 테마
  • 가디언즈 오브 더 갤럭시 공동 테마[7]
  • 앤트맨 테마
  • 블랙 팬서 테마[8]
  • 스파이더맨 테마[9]
  • 타노스 테마
  • 메이플스토리
각종 집단의 테마곡(leitmotiv)이 따로 있는 경우가 있다.
  • 검은 마법사의 테마 Dark Mage
  • 라라의 테마 Life Is Full Of Happiness
  • 베릴의 테마 Pulse Resonance
  • 블랙윙의 테마 Black Wing
  • 키네시스의 테마
  • 프란시스의 테마 The Doll Master
  • 호영의 테마 Riding on the Clouds
  • 사도의 테마 Apostles: 제목부터가 사도를 뜻하는 Apostles이며, 후술할 호영 200레벨 최종 퀘스트에서 카링이 나올 때 이 곡이 먼저 나왔고, 이후 신의 도시 세르니움에서 사도 하보크가 변신할 때 이 음이 나오면서 사도의 테마로 확정되었다. 또한 닥터Y한테도 이 곡이 쓰였다. 카링과 닥터Y가 사도와는 스토리에서의 접점은 없었지만 호영카인 퀘스트에서 카링과 닥터Y한테 이 곡이 나왔기 때문에 이 둘을 사도로 예상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후 카링 역시 사도로 밝혀졌다.
  • 미러스 엣지 카탈리스트
  • 타이틀 테마 #1[10]
  • 타이틀 테마 #2[11]
  •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사운드트랙
라이트모티프를 아주 훌륭하게 사용한 OST 중 하나. 가운데땅의 넓은 세계관을 표현하기 위해 지역별로 설정된 테마가 반복된다. 가장 두드러지는 셋은 샤이어 테마와 원정대 테마, 그리고 로한 테마이며, 세세하게 살펴보면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샤이어테마 - 추가로 호빗들의 테마 역할도 같이 수행한다. 주인공인 프로도와 샘 덕분에 3부작 내내 들을 수 있는 테마이다. 평화롭고 따뜻한 곡의 분위기는 스스로 지옥문에 걸어들어가야 하는 두 호빗의 처지와 대조되며, 프로도와 샘의 우정을 강조하거나 모든 걸 끝내고 다시 평화로운 일상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강한 열망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 원정대 테마 - 반지의 제왕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를 The Bridge of Khazad Dum의 라이트모티프이다. 원정대원 전원이 공유하는 테마인데, 원정대가 결성되기 전에는 부분부분만이 드러나다가 원정대가 결성되고 나서 완전하고 웅장한 형태가 비로소 연주된다. 그러나 모리아의 광산 속에서 간달프가 죽고 안두인 대하의 어느 강변에서 원정대가 깨지면서, 원정대 테마도 그에 맞춰 파편화되고, 악기 편성이 몇개쯤 빠지거나 가락이 몇 부분 깨지거나 하는 식으로 불완전하게 연주된다. 아라고른이 모란논 전투에서 모르도르의 검은 문으로 돌격할 때에야 비로소 다시 완전한 원정대 테마가 연주된다. 샤이어 테마와 함께 이 영화의 주인공격인 테마임에도 불구하고 정말 완전한 형태로 사용된 적이 없고, 덕택에 The Bridge of Khazad Dum처럼 웅장하고 영웅적이면서도 긴박한 재편곡은 영화 3편 내내 나오지 않는다.
  • 로한테마 - 에오윈, 에오메르, 세오덴 등 로한의 주요 인물들이 달고 다니는 테마. 펠렌노르 평원의 전투에서 로히림의 돌격 장면에 쓰이며 강한 인상을 남긴 테마다.
  • 요정테마 - 같은 요정이지만 깊은골로슬로리엔의 테마가 나뉘고, 여기에 저녁별 아르웬의 테마 두 개에 '요정의 쇠락' 테마까지 여러 가지가 있어서 영화를 한두번 봐서는 요정한테 전용 테마가 있긴 했었나 하고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요정은 본디 가운데땅을 인간에게 물려주고 떠날 운명이었고, 3시대 가운데땅의 요정은 그 탓에 쇠락하고 영향력이 매우 축소되어 종족 전체가 발리노르로 차례차례 떠나가는 처지였는데, 음악에도 이를 반영해 요정의 테마라는 걸 관중들이 기억하지 못하도록 일부러 존재감을 옅게 만들어 놓았다. 심지어 원정대원 중 유일한 요정인 레골라스마저도 원정대 테마를 쓰지 요정의 테마를 쓰진 않는다.
  • 모르도르테마 - 절대반지의 테마를 더욱 거칠고 사악하게 재편곡하면 모르도르 테마가 된다. 절대반지의 주인이 사우론임을 반영한 구성.
  • 아이센가드테마 - 철을 뚱땅땅뚱땅 두드리는 듯한 5/4박자 템포가 인상적인 테마. 아이센가드 소속 우루크하이들의 테마로도 쓰인다.
  • 곤도르미나스 티리스테마 - 보로미르도 공유하는 테마다.
  • 절대반지테마 - 주로 오프닝에 쓰였다.
  • '자연' 테마 - 간달프가 나방에 주문을 거는 장면과, 엔트의 마지막 행군(The Last march of the Ents), 그리고 펠렌노르 평원에서 로한군이 기마돌격을 할 때 쓰였다. 그렇게 자주 나오진 않지만 나올 때마다 중요한 장면에서 쓰였다.
  • 호빗 실사영화 시리즈
반지의 제왕과 마찬가지로 라이트모티프를 십분 활용하여 음악이 작곡되었다. 링크 참조
개요 문단에도 나온 사운드 호라이즌Revo가 음악을 맡아 라이트모티프가 서사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적극적으로 쓰였다. 게임의 여러 OST에서 메인 테마가 반복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중 각 캐릭터의 테마가 최종보스전에 등장해 카타르시스를 만들어낸 것이 특히 유명한데, 자세한 설명은 분석 영상을 참조.
캐릭터마다 테마곡이 있다.
용사의 테마, 젤다의 테마를 비롯해서 각 종족의 테마가 따로 있어서 관련된 장소는 그에 따른 테마가 나온다.


4. 관련 문서[편집]


[1] 다만 프레이즈 공유는 커버(음악) 문서에 리다이렉트 되어 있다. 리프라이즈(reprise)를 뜻하기 때문.[2] 재편곡이 아닌 편곡이라는 말도 이 라이트모티프처럼 잘못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 '곡의 분위기나 스타일을 새롭게 바꾸는 작업'은 편곡이 아니라 커버라고 하는 게 옳다.[3] 닥터후 테마곡은 원래부터 시즌별로 리믹스 된다.[4] 곡들이 모두 같은 멜로디를 공유한다.[5] Shoot to Thrill, Highway to Hell, Back in Black 등등[6] 역대 어벤져스 시리즈에서 어벤저스가 집결하는 장면에 쓰인 ost, 블랙 위도우의 트레일러 bgm 등에서 지속적으로 변주되어 사용되었다.[7] 사운드트랙뿐만이 아니라 데이비드 핫셀호프가 부른 가오갤2 엔딩곡도 잘 들어보면 라이트모티프를 활용했음을 알 수 있다.[8] 인피니티 워에서 캡틴 아메리카 일행이 와칸다로 향할 때 장면 전환을 위해 테마곡 특유의 전통 타악기 소리를 삽입한 것으로 가장 유명하다.[9] 주요 히어로 중 유일하게 미디어믹스가 활성화돼있었기 때문에 기존에 67년작 애니메이션에서 사용되었던 가장 유명한 테마곡을 재편곡해 사용했다.[10] 공식 OST에 수록된 곡이 아니라 이 음악에 공식적인 이름 표기는 없다. 해당 유튜브 링크에서는 RELEASE MAIN TITLE 이라고 표기되어 있으며, 인게임 OST 총 모음 영상에는 중간에 잘려있긴 하지만 3:32:40 부근에서 나오며 Release Introduction + Title Arp + Sweep + Swoop 라고 표기되어 있다.[11] 미묘하게 다르긴 하지만 사실 E3 2015 트레일러 뮤직(PSN)테마와 동일 곡이다.[12] 리월의 지역 선율은 암왕제군이 아닌 감우에게 사용되었다.[스포일러A] 시뇨라의 처형 부분이다.[13] 해당 테마곡은 이나즈마 고유 선율과 우인단 고유 선율이 번갈아 전개된다.[14] Homestuck의 작가 앤드류 허씨의 전작인 Problem Sleuth의 테마곡도 들어가 있다.[15] 리리스 공중보스전 테마곡은 아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1:34:12에 나무위키 라이트모티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