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독 국경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통일 이전의 동서독 국경을 다룹니다. 통일 이후의 동서독 국경에 대한 내용은 그뤼네스반트 문서
그뤼네스반트번 문단을
그뤼네스반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관련 문서

<^|1><height=34><bgcolor=#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1. 개요
2. 역사
3. 구성
4. 접경지역: 치헤리-뵈크비츠 마을의 경우
5. 관점
6. 갤러리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 독일어: Innerdeutsche Grenze / deutsch-deutsche Grenze
  • 영어: Inner German border
1945년 나치당이 통치하던 독일연합군에게 패전 후 연합군의 동서 분할 점령으로 독일이 분단되면서 생긴 경계선이었다. 1990년에 독일이 재통일되면서 현재는 유적지가 된 곳이다. 지금도 주(州) 경계선으로 기능하고 있다. 철의 장막을 이루던 것 중 하나.

베를린 장벽과 마찬가지로 독일에 있는 냉전 시대의 대표적인 상징 중 하나. 독일어로는 "Innerdeutsche Grenze"라고 하며, 직역하면 '독일 안의 경계선'이다. Grenze는 국경 외에 단순히 경계라는 뜻도 있다. 사실 동독을 별개의 나라로 생각하지 않았던 서독 입장에서는 경계라고 번역하는 쪽이 더 적절할지도 모른다.


2. 역사[편집]


1952년 이전에는 통과가 비교적 쉬웠으나, 그 이후에는 통과가 어렵게 넓은 도랑을 설치했다. 1967년 이후부터는 요새화가 진행되었다. 동독 측의 빌무트하우젠(Billmuthausen) 마을은 1978년에, 에를레바흐(Erlebach) 마을은 1986년에 "경계선과 너무 가깝다"는 이유로 철거되기도 했다.

동서독 통일 3개월 전 1990년 7월 1일에 철폐되었다. 철폐 후의 변화는 그뤼네스반트 참고.


3. 구성[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System_of_gdr_border_fortification.jpg
동서독 국경선 중 동독의 군사시설 그림
1. 국경선(동서독 통일 전에는 동서독의 실질적인 군사분계선)
2. 국경 말뚝[1]
3. 동독 영토비석
4. 동독측 비무장지대
5. 차량 방호용 도랑
6. 동독비무장지대 철조망[2]
7. 동독측 비무장지대와 이어져 있는 통문
8. 지뢰 매설 구역
9. 차량 방호용 콘크리트 도랑
10. 탈출 방지용 가로등이 비추는 구역
11. 동독 국경군 도보 순찰로
12. 탈출 방지용 가로등
13~16. 동독 국경군 GOP
17. 군견
18. 탈출 방지용 감지 사이렌
19. 동독 민통선과 지나치게 가깝다고 판단된 촌락에 철조망 대신 축조한 콘크리트 장벽
20. 동독 민통선 철조망
21. 동독 민통선 통문
22. 동독 민통선 검문소


4. 접경지역: 치헤리-뵈크비츠 마을의 경우[편집]


치헤리에 세워진 표석: "독일은 나뉘어질 수 없다. 치헤리, 1958년 6월 17일"[3]

니더작센(서독)의 치헤리(Zicherie) 마을과 작센안할트(동독)의 뵈크비츠(Böckwitz) 마을은 각기 다른 주에 속해 있었지만, 한 생활권인 사실상 하나의 마을이었다. 그러나 동서독이 분단되면서 이 두 마을도 강제로 갈라졌다. 1987년판 <LIBRARY OF NATIONS - 독일편>에서 이 마을을 소개한 바를 보면, 1945년 7월 1일 소련군이 뵈크비츠로 들어와 치헤리 마을과의 사이에 경계선을 세웠다. 그날 이후로 두 마을 사이에는 사실상 자유 통행이 어려워졌고 당분간 학생들의 통학만 허용되었으나, 그마저도 끝내는 중단되었다. 처음 몇 년간은 외진 길로 돌아가거나 소련군에게 술을 뇌물로 주면 통과할 수 있었지만 동독 경비대가 배치되면서는 그조차도 할 수 없게 되었고, 1952년 5월에는 두 마을 사이에 높이 3m의 나무 담이 쳐졌다. 그리고 뵈크비츠 마을의 거주민 중 스무 가족은 후방 작센으로 쫓겨났는데, 추방된 가족 중 한 가족만 빼고는 이후 동독을 탈출하여 치헤리 마을로 돌아왔다고 한다. 1960년대 들어서 장벽은 더욱더 단단해졌다.

이 장벽으로 당연히 이산가족도 생겼지만, 독일 재통일로 장벽이 무너지고 통일되면서 두 마을은 다시 합쳐졌다.#


5. 관점[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9px-Hier_ist_deutschland.jpg
서독의 시점: "여기는 독일의 끝이 아닙니다. 저쪽 땅도 조국입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renzer_nato_attack.jpg
동독의 시점: NATO 공격으로부터의 방어선.

지도를 보면 동독 국경이 서독 쪽으로 튀어나온 곳이 있다. 여기는 풀다 갭(Fulda gap)이라고 해서 소련군 기갑부대가 프랑크푸르트로 최단거리로 밀고 내려와 서독을 관통, 전선을 양분하고 프랑스까지 진격할 것이 우려되는 곳이었다. 프랑크푸르트가 서독 수도 역할을 맡지 못한 한 이유이기도 하며, 미 육군 제5군단이 상시 주둔하여 소련군을 감시하는 요주의 지역이었다.


6. 갤러리[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Point_alpha_nebel.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Innerdeutsche_Grenze_beim_Grenzmuseum_Schifflersgrund.jpg
동서독 경계선에 설치된 군사시설 사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Herleshausen_border_crossing.jpg
A4 아우토반 위에 설치되어 있던 서독 경계검문소. 헤센 주 키르히하임에서 작센괴를리츠까지 이어지는 노선으로 동독 정부가 지정한 서베를린 행 '통행로' 중 하나였다. A4 아우토반을 통해 서베를린으로 가는 방법은 A4 아우토반을 타고 동쪽으로 직진하다 게라 인근에서 A9 아우토반과 합류하여 북쪽으로 방향을 돌려 서베를린까지 가는 방식이었다. 해당 검문소는 서독 헤센 주와 동독 에어푸르트 구 경계 상에 존재하던 헤를레스하우젠(서)/바르타(동) 검문소이다. 사진은 서독 측 검문소인 헤를레스하우젠 검문소.

파일:Inner-German_border_near_Lubeck.jpg
Auch drüben ist Deutschland(저쪽도 독일입니다)!
1987년 9월 뤼베크 부근의 서독측 경계선.


7.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5:06:43에 나무위키 동서독 국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의 군사분계선에도 이런 말뚝이 일정 간격으로 박혀 있다.[2] 한국으로 치면 남방한계선과 유사하다.[3] DEUTSCHLAND IST UNTEILBAR. ZICHERIE 17.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