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제

덤프버전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관련 문서

<^|1><height=34><bgcolor=#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1. 개요
2. 역사
3. 현재
4. 명성 및 신뢰도
5. 주요 제품군


1. 개요[편집]


독일제([1])는 독일에서 생산 혹은 제조된 상품을 뜻한다.

2. 역사[편집]


독일의 제조업 기술은 19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영국, 프랑스, 독일 중 가장 빠르게 산업혁명을 일으킨 나라는 바로 영국이다. 그 뒤로 프랑스, 마지막에는 독일이 공장에 기계를 도입했다. 독일은 국가 주도로 산업혁명을 시작하여 계획적으로 철도, 도로, 항구 따위를 건설하였다. 그 이후에 가솔린 엔진을 탄생시켜 헬리콥터, 오토바이, 인쇄기 등을 개발함으로써 독일 제조산업을 꽃 피웠다. 독일 제조산업이 굴러가게 한 원인에는 값싼 인건비와 생산 급속화가 있었다.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났음도 식량부족이란 재앙이 아닌, 제조산업의 원동력이라는 축복이 되기도 하였다.

독일의 제조업1800년대 후반 1900년대 초반에서야 빛을 보았다. 고체풀, 라이터, 마이크[2], 모노레일 등 현대세계를 구축하는 데 정말 많은 부분을 기여했다. 그 덕분에 독일은 최초로 엔진 자동차를 개발하였다. 19세기 중반에는 기관차 중 7분의 1만이 만이 독일제였지만 19세기 말에는 거의 80-90%가 독일제였다. 금속산업과 탄광산업도 발달하였는데, 석탄 채굴용 도구들도 처음에는 미제나 영국제를 사용했지만, 점차 금속기술력이 발달하자 독일제품이 그 자리를 차지하였다. 또한 독일제 주방용 칼은 전세계에서 알아주는 품질이 되었다.

3. 현재[편집]


18세기 초반에는 영국제나 프랑스제에 밀려 별로 환영을 못 받았다. 그러나 값싼 노동력과 빠른 생산속도에 힘입어 현대 독일은 영국과 프랑스를 능가하는 제조산업국가로 발돋움했다. 냉전 시기에 동독, 서독으로 갈려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서독은 유럽 제일의 강국으로 자리매김하였고 1990년 통일 이후에도 여전히 그러하다.

1980-90년대에 일본의 자동차산업이 갑작스럽게 발달하여 치고 올라왔음에도 불구하고 독일의 자동자산업은 흔들리지 않고 명성을 유지했다. 당시 일본의 차량 제조대수가 독일, 미국을 추월하였기에 미국의 자동자산업은 부진을 겪었지만, 독일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일제 자동차는 품질에 비해 값이 싸서 대중들이 몰렸지만, 그 무렵에도 독일제 차는 아무나 못 사는 고급차의 대명사였기 때문에 일본 자동차가 급부상해도 별 타격이 없었다. 2020년대에는 메르세데스-벤츠보다 더 좋은 차들도 많지만, 고급차의 대명사로 널리 알려진 브랜드가 여전히 벤츠나 BMW일 정도로 독일 자동차 산업의 기술력은 뛰어나다. 또한 대중용 자동차에서도 폭스바겐이 유명하다.

4. 명성 및 신뢰도[편집]


흔히 대중들 사이에서 독일제라 하면 고급, 정교한 기술력, 뛰어난 품질을 떠올릴 만큼 독일제는 믿고 쓰는 제품이라는 인식이 전세계에 널리 퍼졌다.

물론 여기에도 케바케가 있다. 독일제는 흔히 일본제와 비교되는데, 독일제는 품질이 뛰어나긴 하지만 가격이나 전통성을 가미한 기술력 등 가성비와 실용성이 돋보이는 일본제보다 떨어진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제법 있다.

5. 주요 제품군[편집]




'독일제'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제품은 바로 자동차일 것이다. 뛰어난 연비와 품질, 안정성을 자랑하는 독일제 자동차는 프리미엄 자동차의 기준이자 중심에 있다. 대중차 브랜드인 폭스바겐[* ['폭스바겐'이라는 이름 자체가 독일어로 '국민자동차'란 뜻이다. 우리나라에서 현대차 포지션을 생각하면 된다.]부터 명실상부 고급차의 대명사 노릇을 하는 메르세데스-벤츠, 우아하고 편한 벤츠의 성격과 상반되는 스포티한 주행감각의 대명사 BMW, 외계인 고문설이 나돌 만큼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독일제 스포츠카/슈퍼카의 정수를 보여주는 포르쉐까지 독일은 세계 자동차 제국의 어벤저스라고 칭할 수 있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독일제 손목시계 역시 시계 기술력의 본고장인 스위스에 이어 명성이 드높다. 가령 독일 시계의 최정점에 위치한 아 랑에 운트 죄네는 시계매니아들 사이에서 널리 알려진 빅5, 즉 세계 5대 명품 시계브랜드 중 하나이다. 이뿐만 아니라 글라스휘테 오리기날, 노모스, 몽블랑 등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명성을 떨치는 많은 명품 시계 제조사들이 대거 독일에 있다.

광학제품에서도 일가견이 있다. 광학제품을 넘어 명품의 영역으로 인식되는 라이카는 물론, 사진용 렌즈 3대 제조사[3] 모두가 독일에 기반을 두었다. 이 중 자이스라이카는 영화용 렌즈 시장에서도 점유율이 높다. 자이스는 ASML이 만드는 7 nm 이하 초미세공정 반도체 제조용 노광기에 쓰이는 렌즈와 거울 등 광학계를 납품한다.

화학제품이나 의약품도 독일제가 세계 시장을 호령한다. 강화유리, 살균제, 플라스틱, 타이어, 착색제, 페인트, 건축자재 등 석유화학으로 만들 수 있는 건 다 만드는 세계 최대의 종합화학회사 바스프 또한 독일에 본사가 있다.

생활용품 또한 독일제가 으뜸이다. 냄비, 부직포 행주, 주방용 칼이나 철제 집게 같은 조리 도구 등 품질 좋은 제품 상당수가 독일제이다. 굉장히 잘 부러지지 않아서 주부들도 싸구려 여러 개 살 바엔 비싼 제품 하나 사서 오래 사용하는 것이 낫다고 알아준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파일:Montblanc 로고.svg
파일:Pelikan Logo.png
파일:Lamy Logo.png
파일:Faber Castell Logo.png
파일:Kaweco Logo.png
파일:Staedtler Logo.png
파일:Rotring Logo.png
파일:Peter Bock Logo.png
파일:Schmidt Logo.png
파일:포르쉐 디자인 로고.svg
파일:슈나이더 로고.png



필기구나 학용품 시장도 일본과 양대산맥을 이룬다. 당장 백화점에 달려가서 만년필을 사면 열에 일곱여덟은 독일제일 것이다. LAMY 같은 저렴하고 실용적인 제품부터 Montblanc처럼 최고급으로 유명한 제품까지 종류도 다양하다. 종합 문구회사인 스테들러도 유명하다.

전자, IT 분야에서도 수준급이다. 세계 최대의 소프트웨어 업체인 SAP, 지멘스 등이 독일의 전자산업을 이끌어간다.반도체 분야에서는 시스템반도체로 유명한 인피니온이 있다. 무인주행자동차가 계속 연구 및 개발되면서 인피니온의 주가는 계속 상승하고, 양자컴퓨팅에도 독일 산업체들과 대학들과 공동연구하면서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지멘스는 일반가전에서 철수했지만[4] 산업용 전자제품군(스마트팩토리 등)으로 유명하다. 가정용 전자제품 기업으로는 밀레가 있다. 또한 보쉬도 한국에는 건설공구 기업으로만 많이 알려졌으나, 사실은 보쉬 및 지멘스 브랜드를 사용해 독일 가전제품의 주류로 자리잡았다.[5]

초콜릿도 벨기에, 스위스만큼은 아니지만 그에 크게 뒤지지 않는 맛있는 제품이 많이 나온다. 국내에서 인기 있는 초콜릿 중 하나인 리터 스포츠의 제품들도 전부 독일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23:47:32에 나무위키 독일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Made in Germany(Hergestellt in Deutschland)라고도 한다.[2] 단, 현대적 마이크를 개발한 미국의 대표적 발명가 토머스 에디슨[3] 자이스, 로덴스톡, 슈나이더 크로이츠나흐[4] 다만 하술한 것처럼 지멘스 브랜드의 가전제품은 여전히 출시된다. BSH 홈 어플라이언스 참조.[5] 전자산업 분야 전반적으로는 일반 소비자 대상인 B2C 시장에서는 동아시아 회사들에 자리를 넘기고 발을 빼거나 브랜드 라이센싱으로 돌리며, 회사 주력은 기업 대상인 B2B 시장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비단 독일뿐만 아니라 유럽의 전반적인 흐름으로, 옆나라 네덜란드필립스도 사정은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