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바나가리 문자

덤프버전 :




데바나가리 문자
देवनागरी
Devanagari

파일:external/www.omniglot.com/devanagari_vwl.gif
파일:external/www.omniglot.com/devanagari_spec.gif
모음자

파일:external/www.omniglot.com/devanagari_cons.gif
자음자[1]

파일:external/www.omniglot.com/devanagari_num.gif
숫자


1. 개요
2. 사용 방법
3. 목록
3.1. 모음
3.2. 자음
3.3. 숫자
3.4. 복자음
4. 파생 문자
5. 여담



1. 개요[편집]


인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쓰이는 문자로, 브라흐미계 문자에 속하는 아부기다 문자 체계이다. 데바(देव)는 '신' 또는 '신성한'이라는 뜻이고, 나가리(नागरी)는 '도시의'라는 뜻이다. 즉, 데바나가리의 뜻은 '신성한 도시 또는 신들의 도시에서 사용되는 문자'라고 해석할 수 있다.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힌디어, 카슈미르어, 마라티어, 네팔어, 펀자브어를 표기하는데 사용된다. 그외에도 계통은 다르지만,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셰르파어, 네와르어에서 쓰이기도 한다. 범어(梵語: 산스크리트어) 표기에 사용하는 문자라 하여 범자(梵字)라고도 한다.[2]


2. 사용 방법[편집]


쓸 때는 글자와 모음부호를 먼저 쓰고 그 위에 줄(쉬로레까)을 긋는다. 데바나가리의 전신인 브라흐미 문자는 줄이 없었지만 이후 줄이 생겼다. 원래는 글자를 쓸 때마다 쉬로레까를 기입하는 게 정식이다. 원래는 문장 단위로 띄어쓰기를 했지만, 오늘날에는 영어와 마찬가지로 단어 단위로 띄어 쓰고 그 위에 줄을 그음으로써 하나의 단어임을 표시한다. 하지만 이 글자를 배운 사람들이라면 줄이 없어도 읽을 수 있다고 한다. 한글을 띄어쓰기 없이 붙여 써도 한국인들이 다 알아보는 것과 같다. 맥락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


3. 목록[편집]



3.1. 모음[편집]


글자
/k/에 모음이 붙은 모습
로마자
발음


a / ka
[ɐ] / [kɐ]

का
ā / kā
[ɑː] / [kɑː]

कि
i / ki
[i] / [ki]

की
ī / kī
[iː] / [kiː]

कु
u / ku
[u] / [ku]

कू
ū / kū
[uː] / [kuː]

कृ
r̥ / kr̥
[r̩] / [kr̩]

कॄ
r̥̄ / kr̥̄
[r̩ː] / [kr̩ː]

कॢ
l̥ / kl̥
[l̩] / [kl̩]

कॣ
l̥̄ / kl̥̄
[l̩ː] / [kl̩ː]

के
e / ke
[eː] / [keː]

कै
ai / kai
[ɑj] / [kɑj]

को
o / ko
[oː] / [koː]

कौ
au / kau
[ɑw] / [kɑw]


글자
/k/에 붙은 모습
로마자

क्
k
अं
कं
ṁ / kaṁ
अः
कः
ḥ / kaḥ


3.2. 자음[편집]


글자
로마자
발음

ka
[kɐ]

kha
[kʰɐ]

ga
[ɡɐ]

gha
[ɡʱɐ]

ṅa
[ŋɐ]

ca
[tʃɐ]

cha
[tʃʰɐ]

ja
[dʒɐ]

jha
[dʒʱɐ]

ña
[ɲɐ]

ṭa
[ʈɐ]

ṭha
[ʈʰɐ]

ḍa
[ɖɐ]

ḍha
[ɖʱɐ]

ṇa
[ɳɐ]

ta
[t̪ɐ]

tha
[t̪ʰɐ]

da
[d̪ɐ]

dha
[d̪ʱɐ]

na
[nɐ]

pa
[pɐ]

pha
[pʰɐ]

ba
[bɐ]

bha
[bʱɐ]

ma
[mɐ]

ya
[jɐ]

ra
[rɐ]

la
[lɐ]

ḷa
[ɭɐ]

va
[ʋɐ]

śa
[ʃɐ]

ṣa
[ʂɐ]

sa
[sɐ]

ha
[ɦɐ]


3.3. 숫자[편집]


0
1
2
3
4
5
6
7
8
9












3.4. 복자음[편집]


복자음 표

데바나가리 문자는 자음과 자음이 겹쳐져 새로운 모양의 글자가 되는 복자음이 매우 많다. 데바나가리 문자와 힌디어의 난이도를 크게 상승시키는 요인이다.


4. 파생 문자[편집]


이누이트어 등 캐나다 원주민 언어를 표기하는 데 쓰이는 캐나다 원주민 문자데바나가리 문자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5. 여담[편집]


글자 위에 그어진 직선인 쉬로레까 탓에 글자가 마치 빨랫줄에 매달린 것처럼 생겨서 유머소재가 되기도 한다. 류시화의 <지구별 여행자>에서는 데바나가리 문자를 처음 만든 사람이 천쪼가리에다가 글자를 쓰고 빨랫줄에 걸어서 사람들을 가르쳤는데, 사람들이 그 빨랫줄까지 따라 그리는 바람에 이런 모양이 되었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얼핏 보면 한글과 비스무리하게 생겨서 한때 표절(?) 논란이 일어나기도 했으나, 한글과는 전혀 기원이 다르다. 아니 애초에 이게 더 먼저 만들어졌는데 그 반대가 아니고? 모음+자음이라는 점에서 한글과 비슷한 체계로 느껴지긴 하지만 a 모음을 표시하지 않고 음운의 자질도 반영되지 않은 등 한글과는 체계상 차이가 있다. 이 외에 구자라트 지방에서 사용되고, 데바나가리 문자에서 쉬로레까를 없앤 구자라트 문자의 모양과 한글의 모양이 꽤 비슷해 보인다.

UTF-8에서는 3바이트 문자의 시작을 끊는 위치였으나 2009년 10월, U+0800 ~ U+083F에 사마리아 문자가 추가되면서 맨 앞자리를 뺏겼다.

한국어와는 다르게 콧소리가 들어가느냐 안 들어가느냐에 따라 사용 글자가 달라진다.
[1] 자음을 겹친 복자음이 매우 많으므로 문자 수는 이 표보다 훨씬 많다.[2] 한자문화권에서 '범자'라고 하면 실담문자를 가리킬 때가 더 많다. 동북아 대승불교에서 사용한 불경이나 문서들이 산스크리트어를 실담문자로 적었기 때문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01:15:13에 나무위키 데바나가리 문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