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망원경 프로그램

덤프버전 : (♥ 0)

파일:NASA_90950main_Observatories.jpg
1. 개요
2. 관측선



1. 개요[편집]


1979년 처음 제안되어 NASA에서 실행한 프로그램으로 4대의 우주 망원경을 쏘아 올려 적외선에서 감마선에 이르는 방대한 스펙트럼 영역에서 우주를 관측하는 거대과학 프로젝트이다.


2. 관측선[편집]


이름발사년도임무 종료관측 파장비고
허블 우주 망원경1990년 4월 24일현역가시광선, 자외선
콤프턴 감마선 관측선1991년 4월 5일2000년 6월 4일감마선 [1]자이로스코프 고장으로 인한 조기 퇴역 결정 및 궤도 이탈로 임무 종료[2]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1999년 7월 23일현역엑스선
스피처 우주 망원경2003년 8월 25일2020년 1월 30일적외선[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13:02:26에 나무위키 대형 망원경 프로그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파장이 짧은 엑스선도 관측 범위에 들어간다[2] 이 당시 아직 잘 가동되던 3개의 자이로스코프로 임무를 계속할 수 있었기 때문에 너무 섣부른 결정이라는 반발이 거셌지만, NASA에서는 안전상의 이유로 잘 통제된 궤도 이탈을 결정하여 남태평양에 추락했다. 다만 훗날에는 이렇게 버리는 것이 영 아까웠는지 케플러 우주 망원경이나 허블 우주 망원경 등은 자이로스코프 2개와 태양광을 이용한 곡예운전(...)으로 수명을 연장하거나 아예 우주왕복선 미션을 통한 수리를 진행했다.[3] 이 망원경은 4개의 망원경 중 유일하게 우주왕복선으로 발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