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딘 수흐바타르

덤프버전 :

담딘 수흐바타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담딘 수흐바타르
Дамдины Сүхбаатар[1][2] | ᠳᠠᠮᠳᠢᠨ ᠤ ᠰᠦᠬᠡᠪᠠᠭᠠᠲᠤᠷ[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ukhbaatar.jpg

이름
몽골문자: ᠳᠠᠮᠳᠢᠨ ᠤ ᠰᠦᠬᠡᠪᠠᠭᠠᠲᠤᠷ
키릴문자:Дамдины Сүхбаатар
출생
1893년 2월 2일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치하 몽골 후레[4]
사망
1923년 2월 20일 (향년 30세)
파일:복드 칸국 국기.svg 복드 칸국

1. 개요
2. 활동
3. 평가
4. 이야깃거리



1. 개요[편집]


몽골의 정치인, 군인, 혁명가.

몽골인민공화국국부격으로 인정받으며, 지금도 몽골에서는 칭기즈 칸과 함께 몽골 화폐에 얼굴이 들어가는 국가적인 영웅이다. 몽골 화폐 100투그릭 이하에는 모두 이 사람의 얼굴이 들어간다.


2. 활동[편집]


1893년 가난한 유목민 가정에서 태어났다. 16세 때 후레러시아국경도시 캬흐타를 잇는 역전마차의 마부가 되었으며, 채 20살이 안된 1911년 몽골이 일단 중국으로부터 독립하자 몽골군에 입대했다. 그는 러시아 혁명의 영향으로 공산주의자가 되었고, 1918년 정부 인쇄소의 식자공이 되었다.

1919년 몽골은 중국 군벌 쉬수정이 주도한 외몽골 출병으로 인해 자치를 취소당하고 1921년까지 중화민국의 직접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에 수흐바타르는 1920년 처이발상 등과 몽골 인민당을 결성해 중국으로부터의 무장독립운동을 시작했다. 그 와중에 러시아가 1차대전과 혁명으로 제정이 무너지고 내전이 일어나자 러시아 적군에 쫓기던 러시아 백군의 일파인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복드 칸을 구출시켜 일종의 연합 정권을 구축하였다. 이후 운게른과 복드 칸은 중화민국으로부터 몽골을 독립시키 위해 노력했고 그들의 바램대로 중국과 소련의 영향력에서 벗어난 독립국가를 세우려는 희망에 부풀었다.

그러나 중국 군벌이건 러시아 백군이건 몽골 독립엔 관심없다고 생각한 수흐바타르는 1921년 인민의용군을 결성해 본인이 인민군 총사령관에 오르고, 먼저 몽골-러시아 국경지대에서 아직도 얼쩡대던 중국군을 먼저 격파한 뒤 블라디미르 레닌과의 협상을 통해 러시아 적군의 지원까지 받아 6월 30일에 수도 후레(울란바토르)까지 진격해 러시아 백군을 격파, 운게른을 축출하고 7월 10일 후레에서 인민정부를 수립하고 몽골의 독립을 선포한다.

이때 수흐바타르와 보토, 단잔 등의 인민당 관계자들은 복드 칸 겨울궁전에 찾아가 복드 칸을 알현하고, 복드 칸에게 국가원수 겸 군주로서의 지위는 유지하되 시대 변화에 맞추어 인민정부를 구성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건의를 올렸으며 복드 칸은 이를 수락한다. 사실상 정권을 접수한 인민당이었지만, 복드 칸은 독립을 주도한 인물 가운데 한명인데다가 종교적인 권위도 같이 지녀 몽골인들의 신망이 있었기에 예우를 해준 것으로 보인다. 실제 몽골은 복드 칸이 1924년 사망한 뒤에야 몽골 인민 공화국을 선포한다.

그리고 수흐바타르는 세계에서 두번째로 공산주의 국가로 거듭난 몽골에서 군무상이 되었다.

그러나 허망하게도 몇년 안가 1923년 젊은 나이에 결핵으로 요절하고 만다. 여담으로 이를 두고 지금도 몽골에선 허를러깅 처이발상이 담딘 수흐바타르를 독살했다는 식의 음모론이 종종 도는데, 명확한 증거가 있는건 아니라 믿거나 말거나 수준이긴 하다.[5]


3. 평가[편집]


담딘 수흐바타르는 독립전쟁을 이끌어 공을 세운 후 일찍 요절해 딱히 이렇다할 과(過)도 없었기에, 공산주의 체제가 끝나고 민주화가 된 1990년 이후에도 몽골의 개국공신, 독립영웅 취급을 받고 있다. 지금도 투그릭 지폐에는 수흐바타르의 초상이 들어가고 있고, 울란바토르 중심 광장에는 여전히 수흐바타르의 동상이 서 있다.

일각에선 몽골을 공산화해 결과적으로 소련의 위성국이 되었다는 점을 비판적으로 보기도 하지만, 많은 몽골 국민들은 소련의 위성국으로라도 독립을 이룬 게 중국에 합병당하고 한족에게 땅 빼앗기다시피 한 내몽골이나 아예 러시아령으로 합병당한 부랴트보다는 훨씬 나았다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스탈린이 몽골 내정에 많이 간섭하긴 했지만, 소련의 위성국이 되지 않았으면 후일의 민주화도 요원한 것은 사실이었다. 그리고 욕은 후임자대신 다 먹어주었고 이후 공산정권 자체도 중간에 산자수릉깅 저릭암살당한 것을 제외하면 결과적으로 무혈 민주화라는 해피엔딩으로 해체되었으니 지금 와선 굳이 그를 열렬하게 깔 이유가 남아있는 세력도 별로 없다.

정리하자면 평범하게 살던 한 노동자가 인생 막바지 3년을 정말 정열적으로 화려하게 타오르고 순식간에 사라진 셈이다. 하지만 그가 남긴 잔불들은 이후 몽골 현대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고, 젊은 나이에 조국의 독립과 공산화를 완수한 뒤 자신의 동료아랫나라의 공산당 권력자처럼 독재자가 되지 않고 요절해버려 몽골의 영웅이 되었다는 점에서 체 게바라와도 비슷한 측면이 있다.


4. 이야깃거리[편집]


몽골 수도이기도 한 울란바토르(Улаанбаатар)라는 도시 이름은 몽골어로 '붉은 영웅'이라는 뜻으로 수흐바타르를 기리기 위해 지은 이름이다. 또 몽골의 동남부에 위치한 수흐바타르 아이막, 북부 러시아 국경도시 수흐바타르 시도 그의 이름에서 딴 지명이다. 울란바토르 중심에 있는 수흐바타르 광장도 그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다. 수흐바타르 광장 연혁을 보면 재미있는 게, 담딘 수흐바타르가 이 도시로 개선할 때 말이 지금의 동상 자리에 오줌을 쌌고, 이걸 길조로 여긴 몽골인들이 그 자리에 말뚝을 박아놓았는데, 후에 도시정비사업을 하면서 이 말뚝이 발굴되어 말뚝이 있던 곳에 수흐바타르 동상을 세워두고 그 동상을 중심으로 광장을, 광장 북쪽에 몽골 국회의사당을 만들었다고 한다. 몽골 훕스골 호수에 있는 몽골군의 유일한 함정인 수흐바타르 역시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것이다. 내륙 해군#몽골군 참조.

몽골 내에서 칭기즈 칸과 수흐바타르의 우열에 대한 평가는 정치적 이해 관계까지 얽혀들어 상당히 복잡하다. 몽골의 민주화를 이끈 민주당 등지에서는 민족주의 등으로 칭기즈 칸을 좀 더 추켜세우는 한편[6], 공산주의 시절 집권 여당이었던 몽골 인민당같은 구 공산당 계열 정당에선 수흐바타르를 좀 더 추앙하는 경향이 있다. 일례로, 2013년 수흐바타르 광장의 이름을 민주당이 집권한 울란바토르 시의회에서 '칭기즈 칸 광장'으로 바꾸었다가 인민당의 강한 반발을 샀고, 2016년에 행정법원이 제동을 걸어 원래 이름으로 환원한 바 있다. 수흐바타르를 추앙하는 쪽 견해를 살펴보면, 칭기즈 칸의 업적이 위대하기는 하나 그는 오래 전 인물이고, 수흐바타르가 몽골을 독립시키고 근대국가로 출발시켰으니 현대 몽골인들에겐 그의 영향력이 더 크다고 보고 있다. 그 외 수흐바타르는 침략자를 물리친 수호자였다는 점에서 더 높게 보는 경우도 있다.

수흐바타르가 사망한 후 그의 시신은 몽골의 국립묘지인 알탄올기 묘지에 안장되었으나, 1954년 수흐바타르 광장에 영묘가 세워지면서 동료였던 허를러깅 처이발상과 함께 영묘에 안장되었다가, 2005년에 수흐바타르 광장을 칭기즈 칸 광장으로 리모델링을 하면서 철거되었다. 영묘가 있던 자리에는 칭기즈 칸의 동상이 세워졌고, 수흐바타르와 처이발상의 시신은 몽골 라마교 성직자 감독 아래 화장되어 알탄올기 묘지에 재안장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17:16:05에 나무위키 담딘 수흐바타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키릴 문자 표기.[2] 몽골식 이름은 '부계명 + 자기 이름'으로 직역하면 '담딘의 자식 수흐바타르'란 뜻이다. '-ы' 또는 '-ийн'은 몽골어에서 소유격을 뜻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몽골식으론 '담디니 수흐바타르'가 정확한 표현이지만, 한국식으로는 '담딘 수흐바타르'가 맞다. 한국은 몽골과 반대로 사람 이름에 소유격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이다.[3] 몽골 문자 표기.[4]몽골 울란바토르.[5] 이오시프 스탈린블라디미르 레닌을 독살했다느니 식인을 했다느니 하는 음모론이 도는걸 보면, 저 동네에서 으레 도는 음모론인 듯도 하다.[6] 몽골이 공산화되었을 시절 소련 때문에 칭기즈 칸을 내세울 계제가 아니었던 게 한 몫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