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하우

덤프버전 :

다하우
Dachau

파일:800px-Wappen_von_Dachau.svg.png
휘장

다하우의 위치
행정
국가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시간대
(UTC+1/+2)

바이에른

오버바이에른

다하우 군
인문환경
면적
34.96km²
인구
48,195명(2022년 12월)
인구밀도
1,379명/km²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정치
시장
플로리안 하르트만
[[독일 사회민주당|

사민당
]]

1. 개요
2. 다하우 강제 수용소
2.1. 주요 수감자
2.2. 다하우 해방 보복사건
2.3. 기타



1. 개요[편집]


바이에른 주에 속해 있으며 뮌헨에서 북서쪽으로 16km 떨어진 인구 4만 8천명 가량의 작은 도시다.

뮌헨 중앙역에서 S반 등의 기차로 20분 정도에 다하우 역으로 갈 수 있다.[1] 밑에 나오는 강제수용소 때문에 관광객이 도시 규모에 비해 많은 편이다. 대중교통으로 강제수용소에 갈 때는 다하우 역에서 726번이나 744번 시내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시내버스의 경우 뮌헨 대중교통패스 중 Inner pass는 적용되지 않으므로 주의. XXL 패스 등은 이용할 수 있다.


2. 다하우 강제 수용소[편집]


[[독일의 전쟁범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의 전쟁범죄
]]

[ 펼치기 · 접기 ]
전범과 재판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루돌프 헤스 | 마르틴 보어만궐석재판 | 발두어 폰 시라흐 | 발터 풍크 | 빌헬름 카이텔 | 빌헬름 프리크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알베르트 슈페어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알프레트 요들 |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 에리히 레더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카를 되니츠 |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 프리츠 자우켈 | 한스 프랑크 | 헤르만 괴링자살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볼프람 지퍼스 | 루돌프 브란트 | 발데마르 호펜 | 카를 겐츠켄

에르하르트 밀히

오스발트 포흘

빌헬름 리스트 | 로타르 렌둘릭 | 발터 쿤체

울리히 그라이펠트 | 베르너 로렌츠

오토 올렌도르프 | 에리히 나우만 | 파울 블로벨 | 베르너 브라우네 | 에두아르트 슈트라우흐 | 마르틴 잔트베르거 | 오이겐 슈타이믈레 | 발데마르 클링겔회퍼 | 하인츠 요스트 | 구스타프 아돌프 노스케 | 프란츠 직스

헤르만 호트 | 빌헬름 리터 폰 레프 | 게오르크 폰 퀴힐러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학살 사건
홀로코스트 | 바비야르 학살 | 벨라루스 초토화 |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 | 말메디 학살 | 바르샤바 봉기 진압
생체 실험
T4 작전
강제수용소
틀:나치의 주요 절멸수용소 | 다하우 강제수용소
기타
라이헤나우 강조 명령 | 국방군 무오설
※ 문서가 있는 경우에 한해서 서술. 기소 여부 및 판결에 대해서는 각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문서를 참고
※ 둘러보기 : 틀:파시즘, 틀:나치즘, 틀:뉘른베르크 군사법정 전범재판



Das Konzentrationslager (KZ) Dachau(독일어)
Dachau Concentration Camp(영어)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bf05538510ae42af7ba0ee9aa022fe1a.jpg
파일:external/www.letsgo-europe.com/ditch2_800.jpg
파일:external/redoubtreporter.files.wordpress.com/dachau-crematoria.jpg

"다하우, 이 곳에서 나의 고난이 시작됐단다." - 블라덱 슈피겔만, 만화 에서의 회상

1933년 3월 나치 독일에서 최초로 만들어진 수용소다. 1945년 4월 29일 해방되었다. 영어 발음인 '다카우'라고도 알려져 있다.

하인리히 힘러가 버려져 있던 군수 공장을 기초로 정비해 최초로 개관했을 때는 정치범수용소로 이용되었는데 곧 강제노역 목적으로 확대되었다가 나치홀로코스트가 본격화되면서 수많은 유대인들이 유럽 전역에서 끌려와 수용되었다. 집시, 동성애자, 독일오스트리아의 범죄자들은 물론 독일이 점령한 국가들의 국민들까지 잡아가둬 나치의 독재인권침해, 홀로코스트의 상징이 된 장소다. 서류상으로만 32,000명이 사망한 것으로 기록되었으며 해방 당시 3만 명의 수용자들 가운데 무려 만 명이 환자였다.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엄청난 존재감으로 인해 가려진 편이지만 다하우는 아우슈비츠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의 강제수용소이며 현재 독일 영토 내에서는 단연 최대 규모의 수용소였다. 산하에 노역소로 기능한 100여 개의 부설 강제수용소를 거느리기도 했는데, 독일 남부와 오스트리아에 흩어져 있었다. 무엇보다 나치가 세운 최초의 강제수용소로써 아우슈비츠를 비롯해 이후 나치의 여러 수용소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해방 후엔 전범 재판을 기다리는 친위대를 수용하는 용도로 사용했고 전후 독일에 주둔하던 미군의 기지로 이용되기도 하다가 1960년 재사용이 완전히 중지되었다.

수용소와 내부의 박물관전시관 입장은 무료이며 오디오 가이드는 3.5유로에 대여할 수 있다.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이 있으며 한국어는 없다. 부대 시설로 식당, 기념품점, 무료 화장실 등이 있다.


2.1. 주요 수감자[편집]




2.2. 다하우 해방 보복사건[편집]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인 1945년 4월 29일 미합중국 육군에 의해 해방될 때 이곳의 무장친위대 소속 경비병들은 항복했지만 미 육군 장병들은 대참상을 보고 분노해 그들을 즉결처형해 버렸다. 또한 해방된 수용자들에게 아예 복수하라고 삽 같은 걸 던져 주기도 했다. 이 경우 쳐맞는 걸로 끝나면 그나마 다행이고 시체의 얼굴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짓뭉개진 경비도 있었다. ## 당연하지만 이미 제3차 제네바 협약까지 비준된 상황이었으므로 항복한 독일군미군즉결처형한 것은 분명히 전쟁범죄에 해당된다. 뒤늦게 미 육군 장교가 나타나 제지했지만, 이미 500명 넘는 SS 대원들이 학살된 뒤였다. 학살을 막아야 할 장교들조차 이를 묵인했고 이 중 육군 군의관은 부상당한 SS 대원들의 치료를 거부하기도 했으며 실제로 처벌받은 미군은 없다. 그냥 놔두면 곤란해서 형식적으로 조사만 했을 뿐. 미군 내에서도 무장친위대, 일반친위대에 대한 증오가 막심하다는 증거. 이례적으로 학살치고는 여론이 긍정적인 편이다.[2] 다만 이때 살해된 상당수의 친위대원들은 학살이 극심했던 1933년~ 1944년 사이 수용소 근무자들이 아닌 교체된 신참들이었다.[3] 오히려 가장 극악하게 괴롭혔던 친위대원들은 그전에 서부전선의 다른 곳으로 차출되어 전사했거나 내륙 지역으로 미리 재배치된 상태였다. 물론 이들 대부분 종전과 함께 전사하거나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다.

일부 약삭빠른 무장/일반 친위대 경비대원들은 미군이 도착하자 수용자 복장으로 갈아입고 수용자인 것처럼 행동했지만, 그 동안 당한 수모에 악이 받친 수용자들을 앞세운 미군의 검문에 걸려 끌려 나왔다. 이후 이들의 생사는 불명.[4]#[5]

이 장면이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있으니 참조.[6] 다만 이 애니메이션에서는 사실과 다르게 적십자 깃발을 들고 항복하는 무장친위대 병사를 밀어내고 병원에 누워 있는 부상병들을 모두 끌어내 총살하는 것이고, 사진상으로는 처형에서 살아남은 SS 무장친위대 포로가 3명 정도 존재하는데 비해, 이 애니메이션에서는 전원 사망으로 처리. #

이 사건은 영화 셔터 아일랜드의 중요한 소재이기도 하다.

2.3. 기타[편집]


제1차 세계 대전으로 붕괴된 독일 제국과 같이 붕괴된 옛 바이에른 왕국의 마지막 왕세자 루프레히트 폰 바이에른과도 연관이 있는 장소다. 당시 루프레히트는 나치에 적극적으로 반대하여 이탈리아 왕국으로 추방당했는데 1944년 10월 연합국과 강화를 모색하려던 헝가리 왕국호르티 정권을 전복시키기 위해 헝가리를 침공한 독일군에 의해 체포될 뻔했다가 겨우 탈출했다. 그러나 일가족은 모두 체포되어 아이러니하게도 그들의 옛 영지가 있는 뮌헨 인근의 이 다하우 수용소로 이송되어 미군에 해방될 때까지 수감되었다. 그중 루프레히트 왕세자의 아내인 안토니아 왕세자빈은 가혹한 수감생활로 인해 건강을 크게 해쳐서 거의 죽을 뻔했다.[7]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아돌프 히틀러는 1차 대전 중에 루프레히트의 부하였다. 1차대전 당시 루프레히트는 독일 제국군 소속인 바이에른 왕국군을 지휘했는데 히틀러는 이 바이에른 왕국군 소속으로 참전했기 때문이다.

JTBC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에서도 소개되었다.

아트 슈피겔만에서 주요 배경 무대가 되기도 했다. 아트 슈피겔만의 아버지 블라덱 슈피겔만의 증언에 의하면 수용소 시설환경은 아니나 다를까 아우슈비츠를 뺨치는 환경에 벼룩으로 인해 웬만한 인원들이 티푸스에 감염되어 고생하는 것은 물론이고 이로 인해 생활 중 죽은 사람이 꽤 많이 나왔다고 증언했다.

한국어 위키백과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11:01:24에 나무위키 다하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Dachau Stadt역까지는 M-1존 가격이 적용된다.[2] 사실 아르덴 대공세에서 펼쳐진 말메디 학살로 인해 미군은 무장 친위대에 단단히 분노하여 연합군 사령부에서 친위대들은 더이상 교전권이 있는 단체로 취급하지 않겠으니 즉석에서 처형해도 죄를 묻지 않겠다고 공식문서화했으니 딱히 죄를 물을 생각은 없었을 가능성이 크다.[3] 물론 이 신참 놈들도 그다지 억울할 건 없다. 이놈들도 도긴개긴이었으므로 이 사건에 한해서는 학살을 정당화해도 문제가 없다.[4] 위의 언급들을 보아 빡치다 못해 단단히 야마가 돌아 버린 미군에게 집단 총살당했을 가능성이 높다. 독일 국방군조차 증오하는 사람들이 많은 판국에 어지간한 3군의 전범행위 동참에 항상 따라다닌 집단이 무장친위대였고 그야말로 이골이 날 대로 이골이 난 미군들이 경비병과 남은 장교들을 모조리 사살해 버렸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미군들도 말메디 학살 등 아군이 포로로 잡혀 옥고를 치르고 괴롭게 죽어간 동병상련 그 이상의 처지라 포로들의 앞에서 그들을 살려주고 싶은 사람들은 사실상 없었다고 봐도 충분했다. 즉, 격분한 미군들이 그들을 살려줄 리가 만무했다(...).[5] 이 동영상의 2:05부터 2:34 참조. 피골이 상접한 유대인 수용자들의 시체가 나오는 관계로 성인인증 필요.[6] 해당 애니메이션은 넷플릭스에서 제작한 《더 리버레이터: 500일의 오디세이》이다. 아메리카 원주민 출신으로 이루어진 부대를 이끄는 한 장교와 그 부하들의 서부전선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7] 그녀는 1954년에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