닉스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닉스(동음이의어) 문서
닉스(동음이의어)번 문단을
닉스(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설명
3. 대중매체에서


1. 개요[편집]


닉스 (Νύξ / Nyx)
밤의 신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의 신으로 검은 날개를 가졌다고 한다. 로마 신화녹스와 동일시되었다.

닉스는 그리스어로 밤의 명사형이라고 한다. 현대 그리스어로 밤을 뜻하는 Νύχτα가 여기서 유래한 단어이다.


2. 설명[편집]


태초에 끝없는 공간인 카오스로부터 어둠을 뜻하는 에레보스와 닉스가 태어났고, 혹은 이들을 가이아의 자식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어찌 되었건 닉스와 에레보스 사이에서 낮을 뜻하는 헤메라와 푸른 하늘을 뜻하는 아이테르, 지하 세계의 뱃사공 카론이 태어났다고 한다.

'소설로 읽는 그리스 로마 신화'라고 하는 책에 의하면 인간에게 있어 "밤"은 '순간의 죽음'이라고 언급을 하며, 그 죽음 안에는 새로운 탄생의 씨를 간직하고 있다고 언급을 한다. 닉스는 밤, 즉 빛이 있기 이전에 존재했던 어둠을 지배하는 여신이라고 한다.

그 밖에도 의인화된 여러 신이 닉스로부터 태어났다. 처음에 가이아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지만 에레보스와 함께 카오스와 가이아 사이의 자녀, 혹은 우라노스처럼 가이아 혼자 힘으로 낳은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불화와 분쟁의 여신 에리스, 죽음의 신 타나토스, 잠의 신 휘프노스, 운명의 여신들인 모이라이, 파괴의 여신들인 케레스, 보복 및 율법의 여신 네메시스, 파멸의 신 모로스, 불평의 신 모모스, 꿈의 신 오네이로이, 아픔의 신 오이지스, 노쇠의 신 게라스, 애정의 신 필로테스, 기만의 신 아파테 등등을 남성과 관계를 하지 않고 낳았다고 한다.

참고로 위의 전승은 헤시오도스 신화다.

그리고 이자 어둠이며 공허라고 할 수 있는 카오스에서 태어난 '밤'에 해당되는데, 여기에서 말하는 의 의미는 그 카오스에 맞먹는 어둠, 암흑, 밤 그 자체의 개념을 의미하는 소멸과 죽음을 관장하는 거나 다름이 없다. 그렇다 보니, 무엇이든지 만들고 낳으며 자식을 생산하는 가이아와는 좀 달랐다고 한다.[1]

그렇다고 무조건 부정적인 것만 관장하는 것은 아니라서 어둠을 밝히고 풍요를 가져오는 긍정적인 면도 관장하고 마법의 여신 헤카테와도 연관이 있다. 인류에게 죽음이나 잠과 꿈을 가져올 수도 있었고[2], 죽음, 마법, 지옥과 같은 영역, 알려지지 않은 혹은 보이지 않는 모든 것, 존재의 숨겨진 측면들의 신비와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잠, 죽음, 지하세계, 종말, 공포, 신비, 놀라움, 잠을 포함한 밤의 모든 측면과 것들을 완전히 지배하고 인간들에게 일어날 일과 운명을 결정하고 종종 모든 생물의 삶을 통제하는 운명의 실과 관련되어 있고 남편인 에레보스처럼 어둠도 지배했으며, 의 빛과 의 어둠을 균형을 맞춘 역할도 맡았다. 또한 생각을 조종하거나 진실을 밝힐 수도 있었다.

그리고 죽음, 지하세계와 사후세계의 어둡고 강력한 면들에 영향을 미치고 무의식과 사후세계, 다른 영적 영역들을 나타낸다.

신들의 지배자인 제우스조차도 함부로 대하지 못하는 위대한 여신이며, 죽음을 비롯한 여러 원시적인 힘의 어머니라고 한다. 예를 들어 닉스의 자식 중 하나인 휘프노스가 헤라클레스를 괴롭히려는 헤라의 사주를 받고 제우스를 몰래 재운 적이 있는데, 이게 들켜서 응징당할 위기에 처하자 휘프노스가 마침 근처에 있던 닉스에게 보호해 달라고 빌었다. 그러자 제우스는 닉스의 개입이 두려워 어쩔 수 없이 넘어갔다고 한다.

이렇듯 천하의 제우스가 그리스 신화에서 가장 중요한 영웅인 헤라클레스와 관련된 일인데도 먼저 발을 뺀 걸 보면, 정말 무서운 영향력을 가진 여신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볼 때, 제우스의 형제이자 서열과 명예에서 제우스와 동격인 포세이돈하데스 역시 마찬가지로 닉스에게 함부로 대하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당장 포세이돈만 해도 제우스가 진정으로 명령을 내리자 힘으로 불만을 해결하려는 태도에 벌컥 화를 내며 제우스에게 역으로 엄포를 놓으면서도 이리스가 설득하자 마지못해 따르기는 했을 정도인데,[3] 그런 제우스가 먼저 스스로 물러났을 정도면 아주 굉장한 힘을 가졌다는 걸 의미한다.[4]

이유를 좀 더 설명하자면, 올림포스에서 가장 강력한 축에 속하는 헤라와 아테나가 제우스의 명령을 어기고 트로이 전쟁에 나가려고 하자, 둘 다 개박살내고 영원한 상처를 안고 살아가게 해 주겠다는 협박에 그 아테나가 겁을 먹고 얄짤없이 올림포스로 귀환했을 정도다. 게다가 초기 서사시인 호메로스일리아스에서도 제우스는 올림포스에 사는 모든 신들을 합친 것보다도[5] 강하다고 서술이 되고, 제우스가 스스로 "너네들이 좀 아니꼽다고 덤빌 거냐? 나 이만큼 세다."라고 했는데도 반항하던 모든 신들이[6] 단체로 데꿀멍했다. 이러한 절대적인 위상을 가진 제우스가 먼저 물러섰다는 건 정말 대단한 위업으로, 그만큼 닉스의 영향력이 상상을 초월한다는 증거다.

호메로스가 쓴 일리아스에서도 '제우스조차도 두려워하는 신'이라고 서술된다. 이것만 봐도 닉스의 신으로서의 격과 위치가 엄청나게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연하지만 본인의 힘 또한 그 영향력에 걸맞은 수준으로 지니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지 않고서야 휘프노스가 닉스에게 보호해 달라고 비는 것을 제우스가 알고 바로 발을 뺄 리가 없다.

게다가 닉스 본인의 위치 또한 티탄 신족이 등장하기 훨씬 전부터 세계를 다스리고 존재해 왔던 그 프로토게노이라서, 아무리 신들의 왕이라고 불리는 제우스라고 하더라도 함부로 대할 수 있는 신이 아니다. 게다가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에 따르면 닉스의 거처는 다름 아닌 타르타로스라고 하며, 그 타르타로스 안에서도 가장 무서운 곳이라고 한다.[7]

오르페우스교 전설에 따르면 창조신인 파네스[8]의 딸이자 계승자로서 자신의 계승자들(파네스와의 사이에서 낳은 우라노스, 우라노스의 막내 아들 크로노스, 제우스)에게 신탁을 통해 계속 충고했다. 파네스를 그녀가 낳았다는 전설도 있다.

고대 전체에 걸쳐 시인들과 예술가들의 상상력을 사로잡았지만 숭배의 대상은 아니었다. 즉, 크로노스처럼 개념으로만 생각했지, 숭배는 하지 않았다.

이현세의 학습만화에서는 퀴클롭스헤카톤케이레스들이 밤에 시끄럽게 구는 게 마음에 안 들어 우라노스가 이들을 타르타로스에 가둘 때 협조했다고 나온다.

닉스 또한 가이아에게 우라노스를 제외한 다른 프로토노게이들처럼 일체 대들었단 묘사가 없었다.


3. 대중매체에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20:51:48에 나무위키 닉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러면서 닉스가 관장하는 죽음은 인간과 신 모두 평등하게 적용되었으며, 그렇기에 닉스는 죽음의 어머니라는 이명으로 불렸고 티탄 신족이 등장하기 훨씬 전부터 활동했던 프로토게노이의 일원이었다보니, 그 어떠한 신들도 죽음을 관장하는 닉스에게 대항할 수도 거스를 수조차 없었다고 한다.[2] 그러면서 꿈과 잠의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지배할 수가 있었다.[3] 그러면서도 '내가 자기 부하가 아니라는 걸 명심하라고 전해라.'라며 경고하기는 했다. 다른 신들이었으면 제우스에게 감히 이런 태도조차 보이지 못하고 무조건 절대복종할 수밖에 없었다.[4] 제우스가 티탄들을 타르타로스에 가둔 것 때문에 가이아와 척을 졌을 때 가이아가 제우스를 벌하기 위해 타르타로스와 함께 낳은 재앙신 튀폰 하나한테 올림포스를 통째로 뺏긴 적도 있고 그녀의 자식들인 기간테스도 못 이겨서 헤라클레스를 데려와서 겨우 막았는데, 그런 가이아와 동급인 닉스의 분노를 사면 또 어떤 재앙이 닥쳐올지 제우스 입장에선 무서울 만도 하다. 거진 기간토마키아급의 재앙이 또다시 돌아오게 될 테니...[5] 물론 포세이돈과 하데스는 제외.[6] 다시 말하지만 포세이돈과 하데스는 제외했을 경우. 애초에 이 둘은 신들 중 최고 서열이자 제우스와 더불어 세계를 삼분해 지배하는 바다명계의 지배자들이며, 신들의 왕 제우스조차도 둘을 함부로 아랫사람 취급할 수는 없다.[7] 타르타로스에 갇힌 게 아닌, 밤이 될 때마다 낮(헤메라)과 자리를 바꿔서 밖에 나갔다 온다고 한다.[8] 크로노스가 품고 있던 알에서 태어난 태초의 빛과 생산성을 상징하는 최초의 신적 존재로, 성애의 신 에로스와 동일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