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증

덤프버전 :



수학기초론
Foundations of Mathematics


[ 펼치기 · 접기 ]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수리논리학
논리 · 논증{귀납논증 · 연역논증 · 귀추 · 유추} · 공리 및 공준 · 증명{자동정리증명 · 귀류법 · 수학적 귀납법 · 반증 · 더블 카운팅 · PWW} · 논리함수 · 논리 연산 · 잘 정의됨 · 조건문(조각적 정의) · 명제 논리(명제 · 아이버슨 괄호 · · · 대우) · 양상논리 · 술어 논리(존재성과 유일성) · 형식문법 · 유형 이론 · 모형 이론
집합론
집합(원소 · 공집합 · 집합족 · 곱집합 · 멱집합) · 관계(동치관계 · 순서 관계) · 순서쌍(튜플) · 서수(하세 다이어그램 · 큰 가산서수) · 수 체계 · ZFC(선택공리) · 기수(초한기수) · 절대적 무한
범주론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계산가능성 이론
계산 · 오토마타 · 튜링 기계 · 바쁜 비버 · 정지 문제 · 재귀함수
정리
드모르간 법칙 · 대각선 논법 · 러셀의 역설 · 거짓말쟁이의 역설 · 뢰벤하임-스콜렘 정리 · 슈뢰더-베른슈타인 정리 · 집합-부분합 정리 · 퍼스의 항진명제 · 굿스타인 정리 · 완전성 정리 · 불완전성 정리(괴델 부호화) · 힐베르트의 호텔 · 연속체 가설 · 퍼지 논리
기타
예비사항(약어 및 기호) · 추상화 · 벤 다이어그램 · 수학철학
틀:논리학 · 틀:이산수학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철학 관련 정보 · 논리학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1. 개요
2. 논증의 목적
3. 논증이 아닌 것들
4. 논증의 형태
5. 타당성과 건전성
5.1. 타당성
5.2. 건전성
6. 기타



1. 개요[편집]


/ argument

독자들을 설득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정당한 근거나 일반적인 원리를 들어 주장#主張을 펼치는 것을 논증이라 일컫는다. 추론을 언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논변(論辯)"이라고도 불린다. 논리학이 다루는 중심 주제이다.

논증은 전제(premise)결론(consequence)으로 구성된다. 전제가 결론을 뒷받침하며, 보통 논증에는 하나의 결론과 여러 전제가 있다.

논증의 결론은 보통 바로 그 주장하고자 하는 내용이다. 반면 귀류법의 경우 상대방이 받아들이는 전제가 부조리한 결론을 도출시킨다는 것을 보이고자 할 수도 있다.

논증의 유형으로는 연역논증귀납논증 그외에도 비슷한 점을 추론하는 유추와 문제점에 대하여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문제 해결 과정 등이 있다.

논증에는 좋은 논증과 나쁜 논증이 있다. 좋은 논증이란 타당한 논증건전한 논증 둘로 나뉘며, 논리학에서 두 개념은 엄격히 구분된다.


2. 논증의 목적[편집]


논증의 목적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 새로운 지식정보의 효과적 산출
    • 과학적 탐구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논증이다. 예를 들어, '모든 금속은 열을 가하면 팽창한다. '와 '구리는 금속이다'는 전제를 통해 '구리는 열을 가하면 팽창한다' 라는 결론을 얻는다.

  • 논제에 관한 주체적 입장 갖기나 이해 증진
    • 논증을 통해서 논제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안락사 논란에 대해서, 나는 XXX하고 YYY하므로 안락사는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해, 고로 안락사에 찬성이야.'와 같은 논증이다.

  • 태도나 행동에 영향 주기
    • 주장이다. 예를 들면 '게임은 사람의 성향을 폭력적으로 만든다'라는 전제로 '그러므로 청소년은 게임을 해서는 안 된다'라는 결론을 이끌 수 있다. 이런 경우의 논증은 잘 알려진 예시를 근거로 사용하는 예증법이 많이 쓰인다.[1]


3. 논증이 아닌 것들[편집]


논증의 좋고 나쁨을 떠나 논증이 아예 아닌 것이다. 여기에는 논리적 오류도 있다.

  • 믿음이나 의견은 그 자체로는 논증이 아니다. 전제가 없기 때문이다. 그 믿음이나 의견을 지지하는 전제가 추가된다면 논증이 된다.
  • 묘사 또한 논증이 아니다. 묘사의 경우 어떤 사실에 대한 근거는 있지만, 그 근거로 무언가를 주장하려 하지는 않는다. 물론 어떤 묘사는 자연스럽게 어떤 결과로 귀결되기도 하지만, 묘사 자체에는 주장이 없다.
  • 설명도 원칙적으로는 논증과는 다르다. 초점을 두는 부분이 다르기 때문이다. 대개 논증의 목적은 어떤 주장이 참이라는 것을 보이는데 있다. 그에 반하여 설명은 그 주장이 참이라는 점을 이미 가정하고, '왜 그게 참인가?'라는 질문에 대답하는 것이 그 목적이기 때문이다.


4. 논증의 형태[편집]


논증은 귀납논증(inductive argument)과 연역논증(deductive argument)의 형태를 가진다.


4.1. 귀납논증[편집]


귀납논증이란 전제가 결론으로부터 반드시 따라나오지는 않는 논증이다. 예를 들자면:

1. A 지역의 백조는 하얗다

1. B 지역의 백조는 하얗다

1. C 지역의 백조는 하얗다

--

* 모든 백조는 하얗다

이 논증에서 A, B, C 지역의 백조가 하얀 것이 모든 백조가 하얀 것을 보장하지는 않는다(꽤 높은 확률로 맞긴 하겠지만). 마찬가지로 A, B, C 지역의 백조도 하얗고 근처 수십억 개 지역의 백조도 하얗다 하더라도, 어딘가에 검은 백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을 보장하지 않는다.

이런 논증을 귀납 논증이라 한다. 귀납 논증은 주로 여러 사실들로부터 하나의 기본적 원리를 끌어낼 때 사용된다.

더 자세한 내용은 귀납논증 문서 참조.


4.2. 연역논증[편집]


연역논증이란 결론이 전제로부터 반드시 따라나오는 논증이다.

귀납 논증이 새로운 사실을 이끌어 내는 데 적합하다면, 연역논증은 일반적 원리로부터 구체적인 사실들을 끌어낼 때 흔히 사용되고는 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연역논증 문서 참조.


4.3. 수사학적 논증[편집]


수사학적 논증은 상대방의 태도에 영향을 주는 설득의 측면을 강조한 논증이다. 일반적인 논증이 논증이 가지는 타당성을 중요시하는 것과 달리 수사학적 논증은 타당성도 중요하게 여기면서 동시에 설득력도 중요하게 여긴다. 즉 예증법이나 다양한 형태의 삼단논법, 유비추리 등은 타당성의 측면에서는 약하지만 설득력이 높기 때문에 수사학적 논증에서 자주 쓰인다.[2]


5. 타당성과 건전성[편집]


이 진술(명제, 전제와 결론)의 성질이라면, 타당성과 건전성은 진술로 이루어진 (연역)논증 자체의 성질이다.


5.1. 타당성[편집]


Validity

논증이 타당하다는 것은 그 전제들이 모두 일 때 결론도 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즉 논증이 타당하지 않을 때, 즉 전제들이 전부 참이면서도 결론이 거짓일 수 있을 때 그 논증을 "부당하다(invalid)"고 한다.

아래 예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어떤 논증이 타당하다고 해서 그 논증의 전제들과 결론 모두가 이라는 것이 보장되지는 않는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전제들 중 거짓인 명제가 있지만 결론이 참이거나, 전제와 결론이 모두 거짓인 타당한 논증이 얼마든지 있기 때문이다.

거짓 전제가 있지만 결론이 참인 타당한 논증

--

1)

* 전제1. 모든 고래물고기다: 거짓

* 전제2. 모든 물고기는 동물이다: 참

* 결론. 모든 고래는 동물이다: 참

2)

* 전제. 이재명대한민국의 제20대 대통령이다: 거짓

* 결론. 2+2=4: 참[3]


전제와 결론이 모두 거짓인 타당한 논증

--

1)

* 전제1. 모든 고래물고기다: 거짓

* 전제2. 모든 물고기는 조류다 : 거짓

* 결론. 모든 고래는 조류다: 거짓

2)

* 전제. 1+1=3: 거짓

* 결론. 지구는 태양계의 첫 번째 행성이다: 거짓



5.2. 건전성[편집]


soundness

논증이 '건전'하다는 것은 (i) 논증이 타당하고 (ii) 논증의 전제들이 모두 참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건전성⊂타당성이며, 어떤 논증이 건전하다는 것은 논증이 타당하다는 것의 충분조건이지만 필요조건은 아니다.

타당한 논증은 반드시 참인 결론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반드시 참인 결론을 보장하려면 타당한 논증이 아닌 건전한 논증이 필요하다.

실제 논리학에서 따지는 것은 건전성보단 타당성이다. 예컨대, 전제가 '신사임당은 남자다'와 '모든 남자는 한국인이다'이고 결론이 '신사임당은 한국인이다'인 논증이 있다고 하자. 이 논증은 타당성의 정의에 의해 타당하지만, 전제가 거짓이므로 건전하지는 않다. 논리학자들은 신사임당이 남자든 여자든, 모든 남자가 한국인이든 아니든 관심이 없고, 전제와 결론 사이의 논리적 관계에만 관심이 있다는 뜻.


6. 기타[편집]


과학적 방법론은 귀납논증과 관계가 깊다. 하지만 귀납논증의 특성상 과학적 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론의 참은 보장되지 않는다. 덕분에 인간과 동물의 생체가 활동하는 방식은 다 똑같다고 생각해서 동물들에게 임상실험한 약을 바로 실전에 사용했는데, 그러다 크리뜬게 탈리도마이드이다. 이 물질은 임산부의 태아에게 작용해서 팔다리를 다 짜리몽땅하게 바꾸는 해표증을 일으킨다.

그 외에도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있던 이런 귀납적 논증(/가설-검증 방식)으로 밝힌 과학적인 진리가 예외출현으로 뒤바뀌는 사례도 종종 일어난다. 즉, 우리가 알고 있는 세상을 움직이는 과학적인 이치가 예외가 발견되면 과학 이론은 언제든지 뒤집힐 수 있다. 다만, 과학 이론의 토대가 매우 단단하고, 이론을 매우 정교하게 쌓아 올렸으므로 쉽사리 빈틈이 발견되진 않을 것이다.

많은 과학자들이 이 빈틈을 발견하기 위해, 혹은 이를 통해 이론을 더욱 정교하고 튼튼하게 하기 위해 밤낮으로 연구하고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02:11:08에 나무위키 논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김용규, '설득의 논리학', 웅진지식하우스, 2007, p44[2] 김용규,'설득의 논리학',웅진지식하우스,2007,p76[3] 수학적으로 참인 명제를 결론으로 하는 모든 논증은 타당하다. 타당한 논증은 전제들이 참일 때 결론이 거짓인 경우를 생각할 수 없는 논증이다. 수학적으로 참인 명제는 거짓임을 생각할 수 없다. 따라서 수학적으로 참인 명제를 결론으로 가진 논증은 타당하다.(덧붙여, 이 논증의 형식 또한 타당하다.) '거짓임을 상상할 수 없다'는 수학적 명제의 성질은 '논리적으로 참'인 것으로 설명가능하다. 예컨데 '모든 총각은 남자이다.', '어떤 명제의 진리값은 참이거나 거짓이다'와 같은 명제가 그러하다. 총각과 명제의 정의( 또는 뜻)에 의해 두 명제는 참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논리적인 가능세계를 상상한다고 해도 위의 두 명제는 참이다. 수학적인 명제 또한 논리적인 명제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