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재현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파일:국방부장관.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해군 출신}}}
해병대 출신}}}




초대

이범석

제2대

신성모

제3대

이기붕

제4대

신태영

제5대

손원일

제6대

김용우
{{{#!wiki style="margin: -5px -1px; 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b1eb; font-size: 11px"
제7대
김정렬






제12대

장도영

제13대

송요찬

제14대

박병권
{{{#!wiki style="margin: -5px -1px; 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11px"
제15대
김성은



제16대

최영희

제17대

임충식

제18대

정래혁

제19대

유재흥




제20대

서종철

제21대

노재현
{{{#!wiki style="margin: -5px -1px; 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b1eb; font-size: 11px"
제22대
주영복



제23대

윤성민

제24대

이기백

제25대

정호용



제26대

오자복

제27대

이상훈

제28대

이종구

제29대

최세창



제30대

권영해

제31대

이병태
{{{#!wiki style="margin: -5px -1px; 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b1eb; font-size: 11px"
제32대
이양호

제33대

김동진



제34대

천용택

제35대

조성태

제36대

김동신

제37대

이준



제38대

조영길
{{{#!wiki style="margin: -5px -1px; 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80; font-size: 11px"
제39대
윤광웅

제40대

김장수




제45대

송영무

제46대

정경두
{{{#!wiki style="margin: -5px -1px; 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A5034; font-size: 11px"
제47대
서욱

-2 {{{#fff [[틀:역대 대한제국 군부대신|{{{#fff 대한제국 군부대신}}}]] · [[틀:역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부장|{{{#fff 임시정부 군무부장}}}]]}}}
[[:분류:둘러보기 틀/직위/군인|{{{#FFF ※ 관련 직위 둘러보기}}}]]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21대 국방부 장관
노재현
盧載鉉 | Roh Jae-hyun


파일:노재현 국방부장관.png

출생
1926년 8월 4일
경상남도 마산부
(現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사망
2019년 9월 25일 (향년 93세)
서울특별시
본관
교하 노씨

석봉(碩峯)
재임기간
제20대 육군참모총장
1972년 6월 2일 ~ 1975년 2월 28일
제14대 합동참모의장
1975년 2월 28일 ~ 1977년 12월 29일
제21대 국방부 장관
1977년 12월 20일 ~ 1979년 12월 14일

[ 펼치기 · 접기 ]
자녀
딸 노경선
친인척
사위 허명수
종교
천주교 (세례명: 요셉)
학력
창신고등보통학교 (졸업)
육군보병학교 (졸업)
육군포병학교 (졸업)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 6기)
신체
180cm, 80kg
경력
제21대 국방부 장관
한국종합화학공업 사장
한국화학연구원 이사장
한국비료공업협회 회장
군사 경력
임관
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 (3기)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47년 ~ 1977년
최종 계급
대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
합동참모의장
주요 보직
제7보병사단장
육군포병학교장
육군군수기지사령관
제2군단장
육군참모차장
참전
6.25 전쟁
베트남 전쟁


1. 개요
2. 생애
3. 기타
4. 대중매체에서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제21대 국방부 장관.


2. 생애[편집]


1926년 경상남도 마산부에서 태어났다. 창신고등학교 졸업 후 1947년육군사관학교 3기로 임관했다. 병과포병이었다. 육군포병학교장, 30사단장, 육군군수사령관, 대한민국 육군본부 감찰감, 육군참모차장 등을 거쳐 1972년에 육군참모총장에 올랐다.[1] 1975년에는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에 올랐다. 1977년 전역했고 이어서 국방장관에 올랐다.

1979년 12.12 군사반란 당시 국방장관 공관에 있다가 총소리에 놀라서 미8군 사령부로 도피했다. 그것까진 그렇다 쳐도 신군부 제1공수특전여단이 용산 국방부를 습격하기 직전 그곳으로 돌아와 신군부에게 잡혔다. 안전할뿐만 아니라 상황 파악과 지휘가 모두 용이한 미8군 사령부에서 실병력이 없는 국방부로 돌아온 것은 의문이다. 이러한 국방장관의 본분을 망각한 용렬한 행적이 후세에 비판받고 있다. 만약 전두환의 쿠데타가 아니고 북한의 침공이었다면 그 피해는 상상을 뛰어넘어 어마무시하였을 것이다.[2] 안전한 미8군 사령부에서 머무르며 전두환의 쿠데타 때 쿠데타를 진압하려 애쓴 장태완 장군에게 진압을 명령해 수도 인근 사단들의 지휘권을 일임하였다면 쿠데타는 진압당했을 것이다.[3] 당시는 계엄 상태로 계엄사령관이 모든 상황을 주도하여 관리했기에 아무리 국방장관이라고 하더라도 부대 지휘권을 마음대로 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지만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 전에는 제주도를 제외한 지역들에서 계엄령이 내려진 부분계엄 상태였기에 국방부 장관이 일선 부대를 지휘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했다.[4] 또한 장태완 장군이 모든 진압 기회를 놓쳐버린 후에서야 연락해서 장태완 수경사령관에게 사실상 무장해제하고 반란군에게 백기투항하라는 것과 다름없는 지시를 내렸다.[5]

파일:external/tv03.search.naver.net/201105271430437561.jpg

12.12 군사반란 직후인 1979년 12월 14일에 사퇴하였다. 그 후에 한국종합화학공업 사장, 한국화학연구원 이사장, 한국비료공업협회장 등을 지냈다. 2019년 9월 25일 세상을 떠났다. 향년 93세. 시신은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3. 기타[편집]


  • 재벌가와 혼맥이 있어 딸 노경선이 허명수 GS건설 부회장과 결혼하여 슬하에 아들 둘을 뒀다.


4. 대중매체에서[편집]


  • 1993년 KBS <다큐멘터리 극장>에서는 배우 민지환이 연기했다.


  • 1996년 MBC 드라마 <제4공화국>에서는 배우 서학이 연기했다. 국방부에서 숨어 있다 발견된 후 보안사로 끌려온 뒤에 반란군 군 후배들에게 무지막지하게 털린다. 예비역 대장이자 국방 장관이 육사 8기수 아래인 소장 전두환에게 "총소리에 놀라 뒷구멍에 숨어 있는 사람이 서류 내용은 알아 뭐합니까, 빨리 서명하시오."라며 털리고 "나는 자네들 편이야"라고 뒤늦게 빌붙으려다 5기수 아래인 중장 유학성에게 "잔말말고 서명하시오."라고 털린다.

  • 2005년 MBC 드라마 <제5공화국>에서는 배우 신국이 연기했다.[6] 반란군들에게 대놓고 모욕을 당하지는 않지만 "장관님, 대통령께 가면 뭘 해야 하는지 아시겠지요?"라는 전두환의 은근한 협박에 눈치껏 기어 정승화 체포를 승인해야 한다고 최규하에게 말한다. 세월이 흘러 5공 청문회 당시 쿠데타를 막지 못한 이유를 묻는 국회의원들에게 "북한의 남침 우려로 어쩔 수 없었다"는 변명만 늘어놓았다.

  • 2023년 영화 서울의 봄에서는 오국상이라는 배역명으로 등장하며 배우 김의성이 연기했다.

5. 둘러보기[편집]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DAA520; border-right: 10px solid #DAA52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color=#373a3c,#dddddd><tablebgcolor=#003764><width=30%><rowbgcolor=#575757> 직위 || 명단 ||
|| 경제기획원장관 ||<colbgcolor=#ffffff,#1f2024> 태완선남덕우신현확 ||
|| 국토통일원장관 || 김영선김용식신도성유상근이용희 ||
|| 외무부장관 || 김용식김동조박동진 ||
|| 내무부장관 || 김현옥홍성철박경원김치열구자춘 ||
|| 재무부장관 || 남덕우김용환김원기 ||
|| 법무부장관 || 신직수이봉성황산덕이선중김치열 ||
|| 국방부장관 || 유재흥서종철노재현 ||
|| 문교부장관 || 민관식유기춘황산덕박찬현 ||
|| 농수산부장관 || 김보현정소영최각규장덕진이희일 ||
|| 상공부장관 || 이낙선장예준최각규 ||
|| 건설부장관 || 장예준이낙선김재규신형식고재일 ||
|| 보건사회부장관 || 이경호고재필신현확홍성철 ||
|| 교통부장관 || 김신최경록민병권황인성 ||
|| 체신부장관 || 신상철문형태장승태박원근이재설 ||
|| 문화공보부장관 || 윤주영이원경김성진 ||
|| 총무처장관 || 서일교심흥선심의환 ||
|| 과학기술처장관 || 최형섭최종완 ||





[1] 이 때 육군참모총장을 놓고 채명신과 경쟁을 하고 있었다. 대내외적으로 유능한 장군으로 인정받은 채명신이 유력했지만 채명신은 박정희의 장기 집권에 대해 직언을 하면서 제대로 찍혔고, 결국 박정희는 노재현을 육군참모총장으로 임명한 반면 채명신은 예편시켰다.[2] 당시는 남한과 북한의 전력 차이가 거의 나지 않던 시절이다. 국지전은 둘째치고 전면적 침공전이었다면 국가의 운명이 갈릴 수도 있었던 문제. 실제 반란 과정에서 노태우가 휴전선 전방의 9사단을 서울로 빼내오는 짓까지 하는 바람에 더 변명의 여지가 없는 일이 되었다.[3] 수도기계화보병사단만 동원해도 특전사령부 휘하 공수여단이 주력이었던 반란군 정도는 충분히 진압할 수 있다. 장태완 수경사령관이 수도기계화보병사단, 11사단, 26사단, 9공수여단 등을 동원할 수 있었다면 오히려 반란군이 항복을 검토해야 했을 것이다.[4] 부분계엄의 경우 명령계통이 대통령-국방장관-계엄사령관으로 이루어지며 전국계엄의 경우 대통령-계엄사령관으로 명령계통이 확립된다.[5] 물론 이 시점은 이미 노재현이 계속 숨어있다가 반란군 세력에게 붙잡힌 이후의 얘기지만 그 이전에 도망다니는 와중에 조금씩 사태 파악을 하면서 반란군 측에 점점 기울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출처는 장태완 장군의 수기.[6] 제4공화국 드라마에서는 김치열 법무장관 역을 맡았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9 22:33:53에 나무위키 노재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