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재봉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노재봉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비서실장

대한민국 제22대 국무총리
노재봉
盧在鳳 | Ro Jai-bong


파일:노재봉 국무총리.jpg

출생
1936년 2월 8일 (88세)
경상남도 마산부
(現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본관
광주 노씨[1]
재임기간
제15대 대통령비서실장
1990년 3월 17일 ~ 1990년 12월 27일
제22대 국무총리[2]
1991년 1월 23일 ~ 1991년 5월 23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노준용[1], 어머니 제주 고씨[2]
형제자매
3남 2녀 중 장남
배우자
지연월
자녀
1남 1녀
학력
마산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 / 학사)
브리검 영 대학교 (정치외교학 / 석사)
뉴욕 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 / 박사)
신체
178cm, 70kg, A형[3]
의원 선수
1
의원 대수
14
경력
암스트롱주립대학교 조교수
서울대학교 전임강사
서울대학교 조교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조교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부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장
정치사상연구회장
한국학술협의회장
대통령 정치 담당 특별보좌관
제15대 대통령비서실장
제22대 국무총리
제14대 국회의원 (전국구 /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 당무위원
민주자유당 고문
명지대학교 석좌교수
제2대 서울디지털대학교 총장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정치가, 제22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2. 생애[편집]


1936년 2월 8일 경상남도 마산부(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서 라전모방[3] 창업주인 아버지 노준용(盧峻容)과 어머니 제주 고씨[4] 고두성(高斗成)의 딸 사이의 3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5] 마산고등학교(12회),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6], 뉴욕 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외교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전공은 국제정치사상으로 토크빌, 민족주의 등이 주요 연구 대상. 1970년대에는 신민당 이철승 대표최고위원에게 중도통합론이라는 아이디어를 제시한 바 있다. 또 1987년 6.29 선언 완성 참여자이기도 하다.

1988년 "광주 사태김대중 씨의 외곽을 때리는 노련한 정치 기술에 의해 발생한 것이다"라는 발언이 논란이 되면서 강경보수로 평가받았다. 그리고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 추진 등의 배경까지 감안해 1988년 말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외교담당특별보좌관에 임명됐다.

1990년 3월부터 같은 해 12월까지는 대통령비서실장을 역임하며 내각제 개헌을 지지했고, 12월 27일 국무총리에 임명됐다. 재야 현대사학자 임영태는 저서 <대한민국 50년사> 2권에서 노재봉 내각 출범을 노태우의 '마지막 카드'라고 평했는데, 전자는 내각제요, 후자는 내각제 실패를 대비한 마지막 후계포석이었다. 훗날 김윤환 의원도 후자에 대해 청와대가 노재봉을 강영훈 전 총리, 박태준 민자당 최고위원과 함께 대선후보로 고려했다고 말했다.

취임 이후 학생운동 및 노동운동 등의 재야 민주화세력에 대한 탄압이 격화됐다. 언론을 동원해 조직적으로 좌경세력으로 몰아붙였고, 시위는 시종일관 강경진압이었다. 이로 인해 4월 26일 명지대생 강경대가 쇠파이프에 맞아 숨지는 사태가 일어났다. 안 그래도 그해 2월에 수서지구 택지 특혜 분양 사건[7]이 터지면서 노태우 정권에 대한 의혹과 불신이 깊어지는 와중에 그는 5월 10일 KBS1 <시국 어떻게 풀 것인가>라는 특집 대담에서까지 고압적인 자세를 유지했다.

당시 사회자가 "노 총리가 들어선 이후 의원 외유 사건, 수서사건, 강경대 군 사건 등으로 시끄러운데, 그 자체만으로 책임져야 하지 않겠는가?"라고 묻자 노재봉은 "내각 사퇴가 시국 수습이라는 주장에 관해서는 행정적 차원과 정치적 차원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 정치적 차원에선 모르겠으나 행정적 차원에선 물러날 체계가 아니다. 시끄러우니까 물러나라는데, 앞으로도 민주화 과정에서 시끄러운 일이 많으리라 생각한다"라고 했던 것이다.

이것으로 노재봉의 총리 생명은 끝났다. 이런 발언으로 여론이 더 악화된 데다 학생들과 재야 세력까지 들고일어났으며, 여당인 민주자유당 내에서도 비판이 일어났다. 이에 대해 민주계인 김수한 전 의원은 "퇴계로에서 시위 현장을 지켜보니 공안통치가 아닌 무법천지"라고 했으며, 그는 이기붕차지철까지 들먹이면서 "그런 사람들이 대통령을 모시지 않았으면 그런 일은 없었을 것"이라 하여 결국 노태우가 추진하려던 내각제는 물 건너갔고, 그로 인하여 같은 해 5월에 사퇴했다. 심지어 나중에는 상기한대로, 이철승의 중도통합론[8]이란 아이디어를 제공했던 사람임이 밝혀지면서, 재평가할 여지조차 사라졌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됐다. 그러나 김영삼 정부 때인 1995년 민자당을 탈당했고 이듬해인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이후 2002년부터 3년간 서울디지털대학교 2대 총장을 지냈다.

2019년 디지털타임스 인터뷰에서 총리 재임 당시 서울시의 도시경관 정비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고 했다. 그때는 서울시가 총리 직속의 조직이었으니 이것저것 해 볼 수 있었다고. 전체적으로는 관료주의의 병폐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가 예로 든 이야기였다.

2020년 8월에는 성창경 기독자유통일당 대표의 유튜브 영상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고려연방제 통일을 위한 북한의 포석이라고 주장했다.

2021년 10월 30일 노태우국가장에서 추도사 낭독을 했는데, 여기서 "(노태우·전두환육사 1기 졸업생들에게) 한국 정치는 우선 국방의식이 전혀 없는 난장판으로 인식됐던 것”이라며 “이것이 그들로 하여금 통치 기능에 참여하게 되는 계기였고, 1기 장교들의 숙명이라고 할 수밖에 없었을런지도 모른다”고 말해 군부의 12.12 군사반란과 군사정권 탄생을 옹호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 #, #, 영상자료 그러나 전 대통령에 대한 영결식 중 고인의 일생에 대한 평가를 하는 자리에서 나온 발언이었던 만큼 정치계나 언론 또한 이를 크게 문제 삼지는 않았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9]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7,923,718 (38.5%)
당선 (1위)
초선[10]
1996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강남 갑

[[무소속|
무소속
]]

16,232 (14.25%)
낙선 (4위)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4. 둘러보기[편집]


파일:민주자유당 심볼.svg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제14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김영삼[B]
박태준[B]
김재광[C]
노재봉[B]
권익현
이만섭
정석모[B]
안무혁
이원조[B]
최병렬[B]
김종인[B]
김광수[B]
박재홍[B]
강선영
정시채
최운지[B]
강용식
박영수[B]
김영진[B]
강신옥[B]
서상목
윤태균
박구일
곽영달
이명박
이환의
강인섭
김동근
최상용[B]
주양자[B]
이현수
노인도
구천서[B]
조용직[D]
구창림[D]
박근호[F]
유성환[F]
이재명[F]
정옥순[F]
김찬두[F]
김사성[F]
이연석[F]
이민헌[F]
이수담[F]
배길랑[G]
김정숙[F]
김현배[F]
박승웅[F]
진경탁[F]
김무성[G]
허세욱[F]
김영순[G]
[B]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임기 중 사퇴.[C] 임기 중 사망.[D] A B 승계 후 사퇴.[F] A B C D E F G H I J K L M N 승계.[G] A B C 승계 전 사퇴.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9 22:27:23에 나무위키 노재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해은공파 30세 재(在) 항렬.[2] 국무총리 서리 수행. (1990년 12월 27일 ~ 1991년 1월 22일)[3] 아버지 노준용의 고향인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 나전리에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4] 장흥백파[5] 1977년 9월 대전 회상사에서 발행된 광주노씨세보 58쪽 참조.[6] 53학번 입학동기인 지연월과 결혼하였다.[7] 통칭, 수서 비리라고 하던 그 사건이다.[8] 말이 중도통합론이지, 여당인 민주공화당에 유화적인 스탠스를 취하는 관제야당이 되자는 소리였다. 김영삼을 비롯한 다른 민주인사들에게 사쿠라라는 소리까지 들었다.[9]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비례대표제로 개칭[10] 95.2.27: 민주자유당 탈당으로 인한 의원직 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