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학

덤프버전 :

성(性)과 제도

[ 펼치기 · 접기 ]
가정과 제도
결혼
귀천상혼 · 난혼 · 동성결혼 · 동질혼 · 만혼 · 부부 · 시민결합 · 생활동반자법 · 이혼 · 일부다처제 · 일부일처제 · 일처다부제 · 매매혼 · 조혼 · 졸혼 · 파혼 · 혼전임신 · 혼외출산 · 국제결혼
가족
가족구성권 · 가족사회학 · 건강가정기본법 · 다문화가정 · 혼전 동거 · 시험관 아기 · 여성폭력방지기본법 · 유사가족 · 이주배경인구 · 임신 · 원하지 않는 임신 · 입양 · 한부모 가족 · 딩크족 · 청소년 부모
관련 문서
틀:성과 범죄 · 간통 · 불륜 · 낙태 · 근친상간 · 혼인빙자간음죄
성 문화
성행위
틀:체위와 성교
성인물
틀:성인물
성산업
틀:성산업
성 이념
주요 개념
몸 긍정 · 상호교차성 · 성교육 · 성별 · 성소수자 · 성소외자 · 성 역할 · 성 정체성 · 성차별 · 성적 지향 · 섹슈얼리티 · 양성평등 · 적극적 우대조치 · 젠더 · 젠더 감수성 · 젠더 권력 · 퀴어 이론
여성주의
(페미니즘)

틀:페미니즘 · 틀:대한민국의 여성정책
대한민국의 여성인권단체 · 여성들의 행진 · 여성주의 치료 · 여성 우월주의 (여존남비) · 자유의 횃불 · Title IX
남성주의
(매스큘리즘)

가부장제 · 남성 우월주의 (남존여비) · 탈갑옷 운동
관련 문서
남성학 · 여성학 · 퀴어학 · 대한민국의 젠더 분쟁 · 성 관련 비하표현 (성소수자 비하명칭) · 생리휴가 · 양성평등채용목표제 · 양성평등연대 · 여성 징병제· 이렇게 입으면 기분이 좋거든요 · 자국 이성 혐오 · 펜스 룰 · My Stealthy Freedom · World Hijab Day · Bill C-16 · MGTOW · 레드필



1. 소개
2. 관련 문서


1. 소개[편집]


Men's Studies
男性學

남성학은 페미니즘, 여성학에 자극되어 1990년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남성, 남성주의, 성역할, 정치 등의 주제를 학문적으로 다루는 새로운 학문 영역이다. 아직 30년 정도밖에 되지 않은 새로운 연구 분야이기도 하다. 남성주의 이론 등의 주제를 포함하며, 젠더학에 영향을 받은 인문학과 사회 과학의 실천 연구 등을 포함한다.

성평등에서 남성학이 발달할 여건이 이전부터 존재함에도 불구하고[1] 늘 성의 평등에 대해 자유롭게 발언할 수 있는 담론에서 여성학이 발달한 반면 남성학이 많이 발달하지 않았다.[2]

일본에서는 1980년대 후반부터 연구가 시작됐다. 이 학문의 제 1인자로 꼽히는 무사시 대학의 조교 다나카 유키는 남성학의 목표에 대해 "지금까지 별로 주목하지 않았던 남성 특유의 고민과 갈등의 윤곽을 명확히 하고, 해결의 실마리를 찾는 것"이라고 말했다.다나카 유키 발언 출처 성별에 얽매이지 않는 다양한 방법을 실현하는 점에서 여성학과의 공통점이 있다.

한국 남성학은 KCI 학술 총 통틀어 6건 밖에 안된다.한국 내 남성학을 개괄하려면 이 논문을 참고바람. 한국에서 남성학은 단지 여성주의적 사고를 가진 연구자들이 여성학의 곁다리 겸 남성혐오적 연구를 하고자 할때 이용되는데 그치곤 하는데, 예를 들면 자신의 남성성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주변을 의식하며 스트레스를 받는 남성일수록 남들에 비해 3.5배에 달하는 폭력성을 보인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남성학 관련 도서로는 심리학을 배경으로 하는 "우리 안의 남성", 사학 배경의 "제국주의와 남성성", 그 외에도 "남성성과 문화", 남성성/들 등을 꼽을 수 있다.

대학에서 배우려면 예시 1 예시 2, 예시 3 등의 케이스가 있다. 관련 협회로는 미국심리학회 분과 남성심리학회, 미국 남성학 협회 두 군데가 유명하다. Michael Kimmel등의 교수가 있다.

남성학 저널로는 Psychology of Men and Masculinity (SJR 1.288), Men and Masculinities (SJR 0.926) 등이 유명하다.

남성학에 대해 읽어볼 만한 글


2.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8 20:04:04에 나무위키 남성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역사적으로 과거 남성들이 여성들보다 사회, 경제적 지위 조건이 더 자유로워왔다. 2003년, 한국사회학회 -변화와 세습.[2] Critical Men’s Studies have been regarded as politically biased and ‘unscientific’ because of the emancipatory claims implied in gender research. The connection to policymaking and what is considered as socially relevant questions has also been a recurrent point of criticism. Doing critical men's studies in a state feminist country: reflections on gender research in Sweden, Luleå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