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대문 전투

덤프버전 :

대한제국 국권 피탈 과정

[ 펼치기 · 접기 ]
1875년 9월 20일
운요호 사건
일본의 근대적 군사 도발
1876년 2월 27일
강화도 조약
최초의 근대적, 불평등 조약 체결
1882년 7월 23일
임오군란
군란을 제압한 청군 주둔
1882년 8월 30일
제물포 조약
군란을 이유로 일본공사관 경비 병력 주둔
1884년 12월 4일
갑신정변
일본의 지원을 받은 급진개화파의 정변, 청군에 의해 진압
1885년 1월 9일
한성조약
갑신정변으로 입은 피해에 대한 사과 및 배상을 요구하는 일본의 함대 무력 시위. 이로 인한 조선과 일본의 협상
제물포 조약에 의거한 경비 병력 주둔 재확인
1885년 4월 18일
톈진 조약
갑신정변 이후 조선에 대한 청일 양국의 논의
파병된 청일 양국 군대 철수 및 향후 조선 출병시 상호 통지
1894년 7월 23일
갑오사변
동학 농민 운동 진압을 위해 청나라에 파병 요청, 제물포 조약톈진 조약을 빌미로 일본이 파병
전주 화약 후 조선의 양국 군대 철병 요청
이를 무시한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 친일내각을 구성하고 갑오개혁 추진
1894년 7월 25일
청일전쟁
서해 아산만 풍도에서 일본군이 청군을 기습하며 풍도 해전 전쟁 발발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에 반발한 동학의 2차 봉기
1895년 4월 17일
시모노세키 조약
청일전쟁에서 일본의 승리로 조선에 대한 청나라의 종주권 상실
1895년 4월 23일
삼국간섭
러시아, 독일, 프랑스의 압력으로 일본이 요동반도 반환
친일내각의 붕괴와 친러파의 대두
1895년 10월 8일
을미사변
일본이 명성황후 살해 후 친일내각을 재구성 하고 을미개혁 추진, 이에 항거한 을미의병의 발발
1896년 2월 11일
아관파천
고종이 감금돼 있던 경복궁을 탈출해 러시아 공사관으로 망명
친일 내각 몰락, 친러 내각이 구성되고 근대화 추진과 대한제국 구상
1896년 5월 14일
베베르-고무라 각서
일본제국이 한반도 세력권은 러시아 제국에 포함됨을 공인함.
러일 양국이 각국의 군대를 조선에 파견하는 것을 동의함.
1896년 6월 9일
로바노프-야마가타 의정서
일본제국과 러시아제국은 조선이 개혁을 추진하기 위해 차관을 도입하고자 한다면 합의하에 제공하고, 러시아와 일본에 한반도 내 전신선의 보호권이 있음을 명시. 양국은 한반도에서 소요사태 발생시 군대를 투입할 권한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함.
1897년 10월 12일
대한제국 선포
경운궁으로 환궁했던 고종이 황제에 오르고 제국을 선포, 광무개혁 추진
1898년 4월 25일
니시-로젠 협정
러시아와 일본 간 협정. 대한제국에 대한 내정 불간섭, 대한제국의 군사적 지원 요청 시 상호협상 없이는 응하지 않을 것, 한일 양국 간 경제적 교류에 대해 러시아가 저해치 않을 것을 약속
1902년 1월 30일
1차 영일동맹
일본이 대한제국에 특별한 이익이 있다고 영국이 승인
1904년 1월 21일
대한제국 중립선언
대한제국은 러·일간 전쟁 시 중립임을 세계 각국에 선언
1904년 2월 8일
러일전쟁
일본군의 러시아군 기습 공격으로 전쟁 발발. 일본군의 인천, 부산, 마산, 원산 상륙과 서울경운궁 점령
1904년 2월 23일
한일의정서
일본군의 대한제국 거점 주둔
1904년 8월 22일
한일 외국인고문 용빙에 관한 협정서
(제1차 한일협약)
외국인 고문을 두어 일본이 국정에 간섭(고문정치)
1905년 4월 1일
한일통신기관협정서
대한제국의 통신 주권 침해
1905년 4월 16일
대한제국군 감축
일본의 강요로 친위대 해산, 시위대진위대 감축
1905년 7월 29일
가쓰라-태프트 밀약
일본이 대한제국에 대해 종주권, 외교권을 대행할 것을 미국이 승인
1905년 8월 12일
2차 영일동맹
일본이 대한제국에 대해 정치상⋅군사상⋅경제상 특별한 이익이 있다고 영국이 승인
1905년 8월 13일
한국 연해 및 내하의 항행에 관한 약정서
대한제국의 연근해 주권 침해
1905년 9월 5일
포츠머스 조약
일본이 대한제국에 대해 관리, 감독, 보호할 것을 러시아가 승인
1905년 11월 17일
을사조약
(제2차 한일협약)
대한제국의 외교권 박탈, 일본인 통감이 외교권 행사(통감정치), 한국의 보호국
을사의병 발발
1907년 7월 20일
고종 황제 퇴위
헤이그 특사를 파견한 고종 황제가 이토 히로부미의 협박으로 강제 퇴위, 순종 황제 즉위
1907년 7월 24일
정미 7조약
(제3차 한일협약)
일본인 차관의 내정 간섭(차관정치)
부속각서에 대한제국 군대 해산 명시
1907년 8월 1일
대한제국 군대 해산
시위대 해산을 시작으로 8~9월 진위대 해산
남대문 전투, 정미의병 발발
1909년 7월 12일
기유각서
대한제국의 사법권⋅교도 행정권 박탈, 일본이 대행
한국의 속령
1909년 9월 1일
남한대토벌
10월 말까지 두달에 걸친 일제의 남한 내 모든 의병 소탕, 항일의병의 만주 이동
1909년 9월 4일
간도협약
조선과 대한제국의 간도영유권 시도 전면 수포화, 일본의 만주 철도부설권 확보
1910년 6월 24일
한일약정각서
대한제국의 경찰권 박탈, 일본이 대행
1910년 8월 29일
(체결일 8월 22일)
경술국치
(한일병합조약)
대한제국 멸망, 한반도의 식민지화
1951년 9월 8일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제2조 (a) 일본은 한국의 독립을 인정하고, 제주도, 거문도 및 울릉도를 비롯한 한국에 대한 일체의 권리와, 소유권 및 청구권을 포기한다.
1965년 6월 22일 한일기본조약 제2조 1910년 8월 22일 및 그 이전에 대한제국과 대일본제국간에 체결된 모든 조약 및 협정이 이미 무효임을 확인한다.





남대문 전투
南大門(なんだいもん(たたかい | 南大門(なんだいもん戦闘(せんとう
Battle of Namdaemun
(Battle of the South Great Gate)

파일:프랑스 언론 르 프티 주르날에 실린 기사.jpg
[1][2]
날짜
1907년 8월 1일 오전 9시경 ~ 오전 11시 50분경
장소
한성부 숭례문(남대문) 일대
원인
군대 해산 요구와 1연대 1대대장 박승환 참령의 자결
교전국
[[대한제국|

대한제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제국"
행정구
]]

[[일본 제국|

일본 제국
display: none; display: 일본 제국"
행정구
]]

지휘관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남상덕†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이준영†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하세가와 요시미치[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가지와라 요시히사†
병력
1연대 1대대
2연대 1대대
외 300명
총 1,500명
7중대
9중대
10중대
12중대
공병대
총 1,100명
결과
일본 제국승리
영향
전투 소식이 알려지며 지방의 대한제국 군인들이 봉기, 의병이 되어 정미의병 발발
피해 규모
68명 전사[4]
100여 명 부상
516명 포로
4명 전사[5]
30~40여 명 부상

1. 개요
2. 배경
3. 전개
4. 결말
5. 대중 매체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남대문 전투대한제국군 시위대 2개 대대 및 여러 부대가 군대 해산을 거부하고 일본군과 서울 숭례문 등지에서 벌인 전투다. 정미의병의 신호탄이 되어 의병 전쟁으로 확산되었다.


2. 배경[편집]


대한제국 군대 해산을 위해 통감부는 1907년 8월 1일 아침 7시에 서울 내 모든 대한제국군 지휘관들을 소집하였고 이들이 모인자리에서 병부대신 이병무가 순종황제의 조서를 낭독했다. 대한제국군을 해산한다는 것이었다.

이어서 일본군 주차 한국사령관 하세가와는 병사들은 무기를 반납하고 도수체조를 한다는 내용으로 10시까지 비무장으로 훈련본부로 집결시킨다는 세부사항을 지시하였다. 그리고 일본군은 한국군의 반발에 대비해 훈련원과 각 병영에 대기하였고 시위 1연대 1대대원들도 무기를 반납하고 훈련원으로 향하던 중이었다. 이렇게 해산식을 치를 예정이었는데 대대장 박승환 참령은 이를 장병들에게 알리지 못하고 자신의 방에서 유서를 쓰고 "대한제국 만세"를 외친 뒤 권총으로 자결하였다.[6]

유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군인은 국가를 위하여 경비함이 직책이어늘

이제 외국이 침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홀연히 군대를 해산하니

이는 황제의 뜻이 아니요, 적신(賊臣)이 황명(皇命)을 위조함이니

내 죽을지언정 명(命)을 받을 수 없다.

군인이 능히 나라를 지키지 못하고 신하가 능히 충성을 다하지 못하면 만 번 죽어도 아깝지 않다.#


이에 격분한 장병들이 남상덕 참위를 비롯한 대대 일부 장교들의 지휘에 따라 무기고를 부수어 반납했던 총과 실탄을 꺼내 일본 육군과 교전을 시작하였다. 당시 대한제국 장병들이 사용하였던 소총은 베르단, 그라 소총 등의 볼트액션 소총이었다.[7]


3. 전개[편집]


파일:자결한 민승환.jpg
박승환의 자결과 시위대의 봉기
8시 30분 1연대 1대대가 봉기하고 바로 옆 병영에 있던 2연대 1대대 역시 무기를 반납하고 해산식장으로 향하려던 참이었다. 마침 그때 제2연대 1대대는 대대장 이기표 참령이 며칠전 군을 통제하는 회의에서 해임되어 격앙되어 있었다. 이럴때 이웃 대대로부터 총성과 함성이 들리더니 1연대 1대대원 세 명이 총을 쏘며 달려왔다. 박승환의 자결 소식을 들은 제2연대 1대대 병사들도 무기고를 파괴하고 무기를 되찾은 후 일본 육군과 격전에 대비하였다. 이 때가 9시로 제1연대 1대대, 제2연대 1대대원들은 일본군과 전면전에 들어간다. 그리고 두 대대 이외에도 300여 명의 다른 부대들도 항전에 참여하면서 두 대대의 병영이 있던 숭례문에서 서소문(소의문)에 걸친 지역에서 대한 제국군 2개 대대와 이들을 진압하려는 일본군 사이에서 약 오전 9시부터 시작되어 1연대 1대대의 병영이 함락된 11시 50분까지 약 3시간에 걸친 시가전이 벌어진다.

물론 일본 육군 측도 한국군의 해산 때 약간의 소요 사태가 벌어질 것을 예상하고, 감시 병력을 배치했지만 대한제국 육군 1개 대대당에 겨우 1개 중대만 배치했다. 하지만 대신 호치키스 기관총을 배치해 압도적인 화력 우세를 가지고 있었다. 1연대 1대대와 2연대 1대대에 각각 일본 육군 보병 10중대와 9중대가 붙었다. 여기에 공병대와 기관총 부대가 더해졌다.

일본 육군은 재빠르게 투입되었다. 한국군은 일본군 선두가 접근하는 것을 알고 맹렬한 화력을 쏟아부었다. 이 때문에 일본군은 전황이 이상하게 돌아가자 즉각 증원군을 요청하고, 9시 30분 일본군은 대기 중이던 10중대 전 병력을 투입한다. 하지만 일본군의 공세를 막아낸 1연대 1대대는 오히려 10시부터는 무서운 기세로 일본군에 총공세를 했다. 이때부터 일본군 10중대는 공격을 멈춘채 대치 상태에 들어간다.

그러다 일본군은 남대문(숭례문) 문루 위에 2정의 기관총을 설치하고 병영을 내려다 보며 사격을 하였다. 이것은 한국군에게는 굉장히 불리했는데, 당시 서울에서는 숭례문흥인지문이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 한국군의 병영이 남대문 근처에 있었는데, 일본군이 성루에 기관총을 설치한 것이었다. 참고로 숭례문과 돈의문까지의 성곽의 높이는 평균 8m에서 13m정도로 웬만한 민가들보다 2, 3배 이상 높았다.

한편 일본 육군 9중대는 10시 20분경부터 기관총을 앞세우고 제2연대 1대대 병영 뒷문을 향해 총공격을 했다. 일본군은 기관총 돌격을 감행하지만 한국군은 벽과 철문을 이용해 방어하며 집중 사격했다. 때문에 일본군이 기관총 엄호를 받으며 시도한 돌격을 막아낼 수 있었다. 고전이 계속되자 10시 30분 일본군 지도부는 일본 육군 12중대와 7중대 병력을 증파한다. 증원 부대인 12중대를 고전하고 있던 제9중대에 붙여 한국군 육군 제2연대 1대대를 집중 공격한다.

증원군이 붙은 일본군은 계속해서 밀어붙였고, 9중대장 가지와라 요시히사(梶原義久) 육군 대위는 2연대 1대대 병영 부분을 돌파했다. 하지만 가지와라 대위와 함께 영내에 돌입한 9중대는 한국군 집중 사격에 노출되었고 이 교전에서 가지와라 대위가 전사했다. 그런데 갑자기 병영에 있는 벽에서 큰 소리가 들려왔다. 일본 육군 공병대가 설치한 폭약이 터지는 소리였다. 화염과 연기에 한국군은 순간적으로 당황했다. 이 틈을 타 일본 육군 7중대, 12중대가 잇따라 병영 안으로 돌입했고, 한국군은 마지막 저항을 해보지만 2연대 1대대는 10시 50분에 일본군에 함락당하고 말았다.

이제 남은 대한제국 육군은 1연대 1대대 뿐이었다. 방금 전까지 2연대 1대대의 병영을 공격하던 일본 육군 제7중대, 9중대, 12중대와 공병대는 재빠르게 1연대 1대대 쪽으로 총부리를 돌렸다. 그러자 아직도 대치하고 있던 10중대는 마지막 총공세를 취하기 시작했다. 1연대 1대대 병사들은 마지막까지 용감하게 분투했지만 밀려오는 병력수를 이길 수 없었고, 떨어진 탄약을 보급받지 못해 결국 11시 50분 병영을 점령당한다.


4. 결말[편집]




역사스페셜 - 잊혀진 전쟁 1907 제1부[8]

1907년, 해아밀사사건(海牙密使事件)으로 허수아비에 지나지 않던 고종이 그나마 퇴위하는 비극과 훈련원에서의 조선 군대의 해산은 빈사의 목숨에 마지막 칼질이었다. 그로 인하여 참령 박승환은 자결, 이것이 도화선이 되어 무기고를 부수고 대한제국의 마지막 군인들은 남대문에서 일군과 처참한 교전을 벌였다.

박경리토지 중.

한국군이 분투하여 일본군도 단숨에 병영을 제압하지 못하고 3회에 걸쳐 돌격을 반복해야 했지만 전력의 차이가 명확했다. 애초부터 야포나 기관총 같은 중화기는 용산 육군 병기창을 비롯해 모조리 일본군이 장악한 무기고에 있었고, 소총 탄약(총알)도 거의 대부분이 일본군이 장악한 무기고에 있었다. 이 결과 소총 탄약이 개인이 소지한 10발 ~ 15발뿐이어서 저항에 한계가 있었다. 대한제국군은 탄약이 남아있는 동안에는 일본군의 공세를 막아내었다. 그러나 개인이 보유한 탄약이 모두 바닥나자 총탄도 없는 총으로는 도저히 일본군에게 저항을 지속할 수가 없었다. 개인이 보유한 10발~15발의 탄약과 극히 소량의 예비 탄약으로는 단시간의 저항밖에는 불가능했다. 결국, 탄약은 전투 중 금새 바닥나고 말았다. 그리고 기관총 제압 사격과 견제로 인해 병영 밖으로 나갈 수도 없었다. 결국 시가전은 일본군의 승리로 끝나고 말았다.

전투 결과는 기록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일본 측의 기록을 참조하면 일본군의 피해는 전사가 확실한 4명을 포함해 30명 ~ 40명의 부상자를 기록한 반면, 대한제국군은 68명의 전사자와 100여 명의 부상자, 516명의 '포로'를 낸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 외의 기록들은 대부분 신뢰성이 높지 않은 편. 자세한 것은 여기를 참고할 것

2개 대대의 규정상 정원이 장교와 사병을 합쳐 총 1,224명[9]에 다른 부대원들 300여 명이 참여했음을 감안하면 최대 850명 가량이 서소문을 통해 탈출에 성공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중 다수는 의병에 참가하였고, 남대문 전투의 소식이 퍼지면서 지방의 진위대가 전국적으로 봉기하게 된다. 봉기한 이들은 정미의병에 참가하여 항일 전선에 섰다.

덤으로 말하자면 이 교전에서 일본군이 사용한 소총탄은 보병이 7,215발, 공병이 350발, 기병 / 포병이 8발, 기관총탄은 1,138발, 황색화약이 1.6kg이었다고 한다. 일본군이 노획한 한국군의 무기는 소총 74정에 실탄 3,305발이었다.

귀스타브 샤를 마리 뮈텔 주교의 일기에 의하면 일본군은 사망했거나 부상을 입은 대한제국군 병사들을 들것에 싣고 가면서 헹가레를 치듯이 움직였다고 한다. 뮈텔 주교는 그 광경이 참담하다고 했을 정도.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남상덕 육군보병 참위에게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1990년에는 이준영(李峻永) 참위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이후 권중협 육군보병 정위(正尉), 오의선(吳儀善) 정위, 김순석(金順錫) 육군 특무정교(特務正校), 노덕세(盧德世) 참위, 장세정(張世禎) 참위 등에게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5. 대중 매체[편집]


  • 2018년 tvN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 22화 후반부~23화 초반부에서 주요적으로 묘사된다. 의병의 활동을 보고받은 이토 히로부미가 그로 인해 피해를 입은 이완용에게 대한제국 군대 해산을 지시했고 이에 따라 1907년 8월 1일 아침에 일본군은 대한제국군 시위대 본영들로 파견, 해산에 저항하는 시위대원들에 대한 사살 명령을 받는다. 동대문 시위대는 비무장 상태로 모였고 이병무로부터 해산 통보와 일본군이 나누어준 지폐 1장짜리 은사금을 받은 뒤 일본군의 위협에 그대로 해산당한다. 그리고 시위대 1연대 1대대장인 박승환 참령(소령)은 보고를 받고 자결 한다. 그 순간 권총 소리가 남대문 시위대에 울려퍼졌고, 각각 연병장과 무기고 앞에 있던 시위대원들이 이를 듣고 당황한다. 곧이어 박승환의 자결 소식이 들리자 연병장에 있던 준영이 유진의 고별사 중 "일본은 조만간 원수부를 장악하고 무관 학교부터 폐지하려 들 것이다."라는 말을 떠올리며 상황을 파악하여 일본이 군대 해산을 목적으로 무기 반납을 명하고 있음을 알린다.

연병장에 있던 일본군은 시위대의 심상찮은 분위기를 파악하고 즉시 사격을 실시, 시위대원들은 즉시 연병장을 달려나가 무기 반납이 진행되고 있던 무기고로 달려간다. 무기 반납과 무기 관리를 맡던 소수의 일본군을 제압한 후 시위대는 총과 탄약을 가지고 전투를 벌이지만 일본군이 남대문의 성곽에서 개틀링 기관총[10]을 비롯한 우세한 화력으로 밀어붙였고 설상가상으로 시위대의 탄약이 떨어진다. 장승구의 희생으로 시위대는 본영에서 빠져나갔지만 일본군은 성곽과 시내에서 토벌 작전을 펼친다. 이로 인해 많은 시위대들이 죽거나 포로로 잡혔고 이들을 도와주던 백성들도 피해를 입는다. 그러나 일부는 탈출하는데 성공하였고, 준영은 부상당한 입대 동기들과 함께 황은산의 의병에 합류한다.

  • 북한 영화 <<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 <<맹수 사냥군>>의 초반에 등장한다.



6.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8 18:39:12에 나무위키 남대문 전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프랑스 언론인 Le Petit Journal에서 남대문 전투를 묘사한 1907년 당시의 삽화. 삽화가가 직접 교전을 보고 그리지는 않아서 고증 오류가 심하다. 당시 대한제국군은 서양식 군복을 입은 지 오래인데도 왠 민병대 같은 흰색 한복을 입고 있고, 옆에 일본군에게 부상을 당했거나 무기를 들고 저항하는 사람들은 한복도 아닌 중국식 복색에 가깝다. 또한 당시 대한 제국군은 베르당, 그라스 등 유럽제 단발 볼트액션 소총을 썼으나 그림에선 롤링블럭 소총이며 구한말 준제식 소총으로 자리매김을 했었으나 1890년대 후반부론 마우저 M1871 소총과 러시아와 프랑스에서 대량으로 도입한 베르당 소총, 그라스 소총 그리고 1900년대 일본에서 제총 설비와 함께 들여온 30년식 소총으로 대체되어 제식 훈련용으로 전환되거나 경무대 등으로 넘어간 상태였고 대한 제국군은 당시 세이버를 썼는데 앞의 대한 제국군이 쓰는 칼은 전통 환도에 가깝다.[2] 다만 일본 육군이 흰색 군복을 입은 것은 의외로 고증이 맞을 수도 있다. 1904년까지의 일본군 하계 군복(메이지37년식)은 실제로 흰색이었으며, 이듬해 황색으로 변경되었으나 보급 부족으로 일선이 아닌 후방, 본토 부대들은 이후로도 상당 기간 동안 구형 흰색 군복을 입었으니 본토에서 차출된 조선주차군도 흰색 군복을 입었을 가능성이 높다.[3] 한국 주차군 사령관[4] 장교 11명 포함[5] 장교 1명 포함[6] 군도라는 기록도 있다.[7] 다만 러일전쟁 전 적지 않은 물량 수입과 함께 생산설비까지 들여온 30년식 소총도 적지 않게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8] 13분 36초부터 남대문 전투의 전투 과정이 재현된다.[9] 단 두 대대의 대대장이 확실히 공석이므로 실제 인원은 최대 1222명이다. 상술했듯 1연대 1대대장은 자살했고, 2연대 1대대장은 해임된 상태로 후임자가 아직 임명되지 않았다.[10] 소품 문제로 인한 고증 오류인데, 실제론 호치키스 기관총을 동원하였다.